[유기농업] 우리나라 유기농업 현황과 장점,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우리나라 유기농업 현황과 장점,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유기농업이란
- 유기농업의 정의
- 유기농업이 대두된 배경
- 유기농업의 핵심
- 유기농업의 장점
2. 우리 나라 유기 농업의 현황
3. 왜 유기농업이 좋은가?
유기농업이 유리한 점을 든다면
4. 알레르기성 질환이 증가한다.
5. 수입 농산물의 문제성

유기농산물의 유통(마케팅)활성화 방안
Ⅰ. 서론
Ⅱ. 본론
1. 유통의 형태 변화
2. 친환경유기농산물의 특성과 유통원리
3. 친환경농산물 생산동향
4. 친환경농산물의 유통실태
5. 유통상의 문제점
6. 유통 개선방향
가.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교육․홍보 강화
나. 친환경농산물의 대량 소비처 개척
다. 친환경농산물의 전자상거래 적극 추진
라. 소비자와 자신있게 교류할 수 있는 생산지 만들기
마.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확보
바. 도농간 신뢰관계와 제휴관계를 토대로 한 직거래유통 활성화
사. 친환경농산물을 원료로 하는 가공사업 지원․육성
아. 환경보전형 지역농업시스템을 형성시키는 친환경농산물 유통 전개
자. 친환경농산물 정책지원자금 개선
Ⅲ. 결론

유기농 토양관리
Ⅰ. 머리말
Ⅱ. 토양의 생성 및 구성
1. 토양의 생성
2. 토양의 구성
3 토양의 물리적 성질과 작물생육
4. 토양 생물의 역할
5. 토양 부식(腐植)의 정의 및 역할
6. 토양공기 및 수분과 작물생육과의 관계
Ⅲ. 토양관리의 문제점
1. 토양오염(土壤汚染)
농약이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보르네오 섬의 교훈)
2. 제초제의 사용
3. 유기물의 사용량 감소
4. 외부자재 사용의 남용
Ⅳ. 유기농업의 토양관리
1. Codex 유기농업의 토양관련 내용
2. 유기농업의 효과적 토양관리
Ⅴ. 맺음말

세계 각국의 유기농업제도와 동향
Ⅰ. 개 요
Ⅱ. 국제기구의 유기기준
Ⅲ. 대륙별 유기농업 현황
1. 호주/오세아니아
2. 라틴아메리카
3. 유럽
4. 북아메리카
5. 아시아
6. 아프리카
Ⅳ. 주요 국가별 유기농업 현황
1. 쿠바
2. 독일
3. 중국
4. 미 국
Ⅳ. 맺음말

본문내용

ds(농작물 기준) : 대상 토양에 유기 농산물을 수확하기 전 최소 3년은 규정에서 정한 금지 물질을 살포할 수 없다. 토양 비옥도와 작물의 양분 공급은 경운, 윤작, 피복 식물 재배, 축산 분뇨, 작물 잔재물 및 규정에서 정한 허용 합성 물질로만 가능하다. 병해충 및 잡초 관리는 물리적, 기계적, 생물학적 관리 관리 방식으로 대응하고 이것이 충분치 않을 경우 규정에서 정한 생물?식물 물질 및 합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 livestock standards(가축 기준) : 도살 목적의 가축에 대해서는 the last third of gestation되는 날부터(가금류의 경우 출생 후 2일부터) 유기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100% 유기사료를 사용해야 하고 규정에서 정한 허용 가능한 비타민 및 영양제의 사용은 가능하다. 유우의 경우 처음 9개월은 80%만 유기적으로 생산된 사료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이후 3개월은 100% 유기 사료를 사용해야 한다. 성장 촉진을 위한 호르몬제나 항생제의 사용이 금지 될 수 있으나 예방 차원의 백신 사용은 가능하다. 가축은 초지 등의 외부 접근이 가능해야하나 건강, 안전, 가축의 생육과정상 또는 토양 및 수자원의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는 일시적으로 이동을 제한 할 수 있다.
- 모든 비 농업 원료는 그것이 합성 물질이든 비 합성 물질이든 규정에서 정한 National List of Allowed Synthetic and Prohibited Non-Synthetic Substances에 포함되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취급자(handlers)는 유기식품과 비유기 제품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고 금지된 물질에 접촉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라. 인증기관 지정 및 인증절차
- 인증기관 지정 : 인증기관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농무성이 정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전문 인력이 적정하게 확보되어 있는지? 보안 유지는 철저한지? 등의 요건을 심사하고 매년 검사자 등 인증 인력의 수행 사항 평가와, 인력 및 인증 활동에 대해서도 평가를 한다. 절차는 AMS(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에 인가 신청서를 제출하면 기준에 적합한 지를 심사(현장 심사 포함)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인증기관의 인가는 5년간 유효하며 갱신을 위해서는 만료 6개월 전에 신청을 해야 한다. 현재 58개의 민간, 주정부 및 해외 기관이 인증기관으로 지정되어있다
- 인증절차 : 인증을 받고자 하는 생산자, 유통업자 등은 인증기관에 신청 시 과거 3년간 토양에 살포한 물질 내역을 제시하여야 하며, 유기 농산물의 생산 방식 및 사용 자재, 장부 기장 내역 및 과정, 비유기 농산물의 혼입 방지 조치 등에 대한 자료를 포함하는 유기농 계획(organic system plan)을 제출해야 한다. 인증기관은 현장 검사를 실시하고 서류를 검토하여 정해진 기준과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을 하게 된다. 인증을 받은 후에는 유기식품으로 판매된 제품과 관련한 기록은 5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마. 표시기준 위반 시 처벌규정
국가 유기농 프로그램(NOP) 규정에 따라 생산, 유통되지 않는 제품으로 고의적으로 유기농제품으로 판매하거나 표시한 자는 최고 1만달러까지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
바. 미국 유기농관련 웹사이트
미국 농무성 농업마케팅(AMS) : http://www.ams.usda.gov/nop
미국유기농의 표준과 규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검색
유기농교역협회(OTA; Organic Trade Association) : http://www.ota.com
유기농제품, 성분, 유기농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에 대한 자료
미국 농무성 해외농무청(USDA FAS)
http://www.fas.usda.gov/agx/organics/ogranics.html
유기농에 관한 뉴스레터, 유기농 전시회와 행사일정, 유기농 산업소식 등
Ⅳ. 맺음말
이제 국제관계는 WTO의 출범과 FTA 등으로 국경을 초월한 무역을 해야 되는 관계로 특히나 생산비가 높은 우리나라 농업은 위기에 처해있다, 경지면적이 넓고 풍부하고 값싼 노동력을 이용해 생산된 수입 농산물과 가격경쟁이 이미 불가능하고 가면 갈수록 더욱더 심화 될 것이다.그리고 앞으로 국제인증을 받은 값싼 유기농산물과 가공품의 수입을 막을 방법도 없다, 벌써 인접한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 태국, 등지에서도 한국과 일본을 겨냥한 유기농산물을 다량재배하고 있고 유기농산물가공품은 이미 세계 각국에서 수입이 많이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와 풍토를 가지고 있어 다른 국가의 농산물보다는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친환경농업을 하는 농가들의 의식 수준 또한 높아 앞으로의 시장 경쟁력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이러한 우리 친환경농업을 한층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친환경농업에 지원하고 있거나 계획하고 있는 지원 정책에 한걸음 더 나아가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 정책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 호,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과 유통혁신 방안”, 「2001년도 상반기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한국유기농업학회, 2001.
박현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한 유통활성화 방안”,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 방안 토론회 결과보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2
조완형, “친환경유기농산물 소비?유통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05. 3
농림부, “친환경농산물 유통실태 조사결과”, 2004. 8
농민신문, “소비자를 읽어야 경쟁력이 보인다” 2005. 6. 27
석종욱, 국내 유기농업의 실태 및 문제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유기식품의 생산가격표시유통에 관한 CODEX가이드라인 (2004)
정진영, 유기재배 어떻게 하는 것인가? 한국유기농업협회 (2002.9)
손상목, 친환경유기농업의 주요핵심기술, 단국대학교 (2004.)
홍혜경, 국제유기인증제도와 일본유기인증제도. ASAC (2004.4)
농경과원예 환경농업부 이경모(2005)
이태근, 우리나라 친환경농업의 현황과 앞으로 나아갈 길(2004)
  • 가격3,8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7.03.2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