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금성이란...
2. 자금성 건축연혁
3. 자금성 조영계획
4. 자금성의 공간 조형성
5. 자금성의 건축물
6. 자금성의 건축 특징
7. 참고자료 (우진각 지붕, 맞배지붕,팔작지붕)
2. 자금성 건축연혁
3. 자금성 조영계획
4. 자금성의 공간 조형성
5. 자금성의 건축물
6. 자금성의 건축 특징
7. 참고자료 (우진각 지붕, 맞배지붕,팔작지붕)
본문내용
공사를 위한 모든 수단(건축재료 및 노동력)을 동원하였다.
셋째, 자금성의 조영은 그 어느 하나라도 의미 없이 지어진 것이 없고 조형성에 있어서도 그 어느 하나 상징성이 없는 것이 없다. 이러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는 조영물의 배경에는 오래 전에 중국에서 발생하여 이어져 내려온 중국적 사고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궁전의 배치는 엄격한 대칭과 중축선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 또한 중국적 사고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자금성내의 모든 궁전들은 구획을 나누어 구획마다 문과 담을 쌓았고 반드시 증정을 설치하였다.
여섯째, 건물의 구조체는 가능한 한 은폐시키지 않고 그대로 노출시켜 구조적 효과와 장식적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구조미를 보여주고 있다.
자금성의 건축적 특징을 토대로 중국 건축의 특징을 찾아보면 이러하다.
중국 건축물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나라의 건축이 종교건축을 중심으로 발달해온 반면에, 중국건축은 궁전건축을 중심과제로 발달해왔다. 자금성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궁전건축은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개개의 건축형식에서나 전체의 배치상태에서나 매우 웅장하고 화려하며 가장 완벽하다. 각종건축을 비롯한 그 밖의 건축물은 대부분 궁전건축을 모방·생략·축소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목조 본위의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명한 만리장성이나 도시와 촌락을 둘러싼 성벽도 건축물에 포함되는데 이런 건축물은 흙이나 벽이나 석재를 주요 건축자재로 이용했다. 그러나 이런 이질적인 재료로 지은 건축물도 대부분 목조 건축양식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건축은 목조 본위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중국건축은 평면 구성에 있어 매우 단순한 편인데, 대부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고, 그 밖의 복잡한 형태를 갖는 경우는 드물다는 것이다.
네 번째로는 건물들의 배치방식이다. 우선 남쪽에서 북쪽까지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중심 축을 설정하고, 주요 건축물은 모두 이 중심 축 위에 남향으로 세운다. 주요 건축물과 관련된 부차적 건축물은 각각 주요한 건축물의 앞뜰을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에 대칭으로 세운다. 이것을 배전(配殿) 또는 상방(廂房)이라 부르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관련을 가진 건축물들은 모두 복도로 연결된다. 개개의 건축물이 각각 좌우대칭으로 지어진다는 것은 앞에서도 말했지만, 전체의 배치도 역시 좌우대칭을 원칙으로 한다. 다섯째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구조형식으로, 중국건축은 지반 위에 기단을 높이 쌓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으며,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는 구조형식을 취했다. 기단은 흙으로 쌓지만 주위는 대개 벽돌이나 돌로 둘러싼다. 자금성의 태화전에서 변두리의 초라한 민가도 반드시 밑에 기단을 쌓는다.
여섯째로 지붕형태에 있어서 중국건축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단순한 평면 건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개의 단위 건축물에는 각각 독립된 지붕을 씌우는 것이 원칙이다.
이 지붕의 형태는 맞배
맞배지붕 : 가장 간단한 지붕형식이며, 지붕면이 양면으로 경사를 지어 책을 반쯤 펴놓은 八자형으로 되었다. 정면에서 보면 장방형의 지붕면이 보이며, 측면에서는 지붕면 테두리(내림마루)가 보일 뿐이다. 맞 배지붕은 측면 가구(架構)가 노출되므로 측면관(側面觀)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우진각·팔작 지붕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중국 건축에서는 이 3종류의 지붕 밑에 따로 차양을 이어 달아 2층 또는 3층 건물로 보이게 하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채색장식을 들 수 있는데, 중국건축은 목조 본위이기 때문에 목재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많지만, 이런 노출 부위에 대개 색칠을 한다. 게다가 채색에는 빨강이나 파란색 같은 강렬한 원색을 사용한다.
*참고사이트
http://chinatour.co.kr/imglinks/pek/gugong/
http://cedek.wonkwang.ac.kr/Data/design/Photo/China/북경-자금성/index1.htm
http://mwus.mokwon.ac.kr/~leewk/china1.html#4
http://www.housing24.com/channel/archi/sub401.htm
http://www.boramart.pe.kr/china/06_day_02.htm
http://www.travelstory.co.kr/item/china/jagum.html
*참고도서
자금성, Gilles Beguin 등저, 김주경 옮김, 창해, 2001
자금성, Gilles Beguin·Dominique Morel 공저, 김주경 옮김, 시공사, 1999
중국고전건축의 원리, 리윈허 지음, 이상해 등역, 시공사, 2000
중국고건축, 중국건축과학연구원, 세진사, 1993
중국의 건축과 도시, Boyd· Andrew, 이왕기 역, 기문당, 1987
[참고자료]
우진각지붕
우진각지붕은 네 면에 모두 지붕면이 만들어진 형태이다. 전, 후면에서 볼 때는 사다리꼴 모양이고 양측 면에서 볼 때는 삼각형의 지붕형태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만 있고 내림마루가 없는 지붕형태이다.
팔작지붕
전통 건축물의 기와지붕 중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구성미를 보여준다고 평가받는 지붕 형태이다. 우진각지붕의 삼각형 측면에 다시 여덟 팔(八)자의 모양을 덧붙여 마치 부채살이 퍼지는 듯한 형상이 되었다고 해서 합각(合閣)지붕이라고도 한다.
쉽게 생각하면 우진각지붕 위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것과 같은데 좌우측면에 합각이 있는 4면 구성의 지붕이며, 합각이 있기 때문에 용마루, 내림마루(합각마루), 추녀마루(귀마루)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맞배지붕
건축물의 앞과 뒤에서만 지붕면을 볼 수 있는 맞배지붕은 기와지붕 중에서 구조가 가장 간결하면서도 널리 쓰이는 형태이다.
건축물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지붕이 서로 팔(八 또는 사람 人)자형으로 모여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 삼각벽면을 박공면이라고 하기에 박공지붕으로도 불리운다.
맞배지붕은 측면에는 지붕이 없기 때문에 추녀라는 부재가 없으며 측면가구가 노출되고 용마루의 경우 중앙이 내려가고 양끝이 올라가도록 하는데 이는 용마루의 양끝이 처져보이는 것을 보정해주려는 의도인 듯 하다.
셋째, 자금성의 조영은 그 어느 하나라도 의미 없이 지어진 것이 없고 조형성에 있어서도 그 어느 하나 상징성이 없는 것이 없다. 이러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는 조영물의 배경에는 오래 전에 중국에서 발생하여 이어져 내려온 중국적 사고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궁전의 배치는 엄격한 대칭과 중축선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 또한 중국적 사고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자금성내의 모든 궁전들은 구획을 나누어 구획마다 문과 담을 쌓았고 반드시 증정을 설치하였다.
여섯째, 건물의 구조체는 가능한 한 은폐시키지 않고 그대로 노출시켜 구조적 효과와 장식적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구조미를 보여주고 있다.
자금성의 건축적 특징을 토대로 중국 건축의 특징을 찾아보면 이러하다.
중국 건축물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나라의 건축이 종교건축을 중심으로 발달해온 반면에, 중국건축은 궁전건축을 중심과제로 발달해왔다. 자금성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궁전건축은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개개의 건축형식에서나 전체의 배치상태에서나 매우 웅장하고 화려하며 가장 완벽하다. 각종건축을 비롯한 그 밖의 건축물은 대부분 궁전건축을 모방·생략·축소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목조 본위의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명한 만리장성이나 도시와 촌락을 둘러싼 성벽도 건축물에 포함되는데 이런 건축물은 흙이나 벽이나 석재를 주요 건축자재로 이용했다. 그러나 이런 이질적인 재료로 지은 건축물도 대부분 목조 건축양식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건축은 목조 본위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중국건축은 평면 구성에 있어 매우 단순한 편인데, 대부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고, 그 밖의 복잡한 형태를 갖는 경우는 드물다는 것이다.
네 번째로는 건물들의 배치방식이다. 우선 남쪽에서 북쪽까지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중심 축을 설정하고, 주요 건축물은 모두 이 중심 축 위에 남향으로 세운다. 주요 건축물과 관련된 부차적 건축물은 각각 주요한 건축물의 앞뜰을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에 대칭으로 세운다. 이것을 배전(配殿) 또는 상방(廂房)이라 부르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관련을 가진 건축물들은 모두 복도로 연결된다. 개개의 건축물이 각각 좌우대칭으로 지어진다는 것은 앞에서도 말했지만, 전체의 배치도 역시 좌우대칭을 원칙으로 한다. 다섯째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구조형식으로, 중국건축은 지반 위에 기단을 높이 쌓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으며,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는 구조형식을 취했다. 기단은 흙으로 쌓지만 주위는 대개 벽돌이나 돌로 둘러싼다. 자금성의 태화전에서 변두리의 초라한 민가도 반드시 밑에 기단을 쌓는다.
여섯째로 지붕형태에 있어서 중국건축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단순한 평면 건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개의 단위 건축물에는 각각 독립된 지붕을 씌우는 것이 원칙이다.
이 지붕의 형태는 맞배
맞배지붕 : 가장 간단한 지붕형식이며, 지붕면이 양면으로 경사를 지어 책을 반쯤 펴놓은 八자형으로 되었다. 정면에서 보면 장방형의 지붕면이 보이며, 측면에서는 지붕면 테두리(내림마루)가 보일 뿐이다. 맞 배지붕은 측면 가구(架構)가 노출되므로 측면관(側面觀)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우진각·팔작 지붕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중국 건축에서는 이 3종류의 지붕 밑에 따로 차양을 이어 달아 2층 또는 3층 건물로 보이게 하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채색장식을 들 수 있는데, 중국건축은 목조 본위이기 때문에 목재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많지만, 이런 노출 부위에 대개 색칠을 한다. 게다가 채색에는 빨강이나 파란색 같은 강렬한 원색을 사용한다.
*참고사이트
http://chinatour.co.kr/imglinks/pek/gugong/
http://cedek.wonkwang.ac.kr/Data/design/Photo/China/북경-자금성/index1.htm
http://mwus.mokwon.ac.kr/~leewk/china1.html#4
http://www.housing24.com/channel/archi/sub401.htm
http://www.boramart.pe.kr/china/06_day_02.htm
http://www.travelstory.co.kr/item/china/jagum.html
*참고도서
자금성, Gilles Beguin 등저, 김주경 옮김, 창해, 2001
자금성, Gilles Beguin·Dominique Morel 공저, 김주경 옮김, 시공사, 1999
중국고전건축의 원리, 리윈허 지음, 이상해 등역, 시공사, 2000
중국고건축, 중국건축과학연구원, 세진사, 1993
중국의 건축과 도시, Boyd· Andrew, 이왕기 역, 기문당, 1987
[참고자료]
우진각지붕
우진각지붕은 네 면에 모두 지붕면이 만들어진 형태이다. 전, 후면에서 볼 때는 사다리꼴 모양이고 양측 면에서 볼 때는 삼각형의 지붕형태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만 있고 내림마루가 없는 지붕형태이다.
팔작지붕
전통 건축물의 기와지붕 중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구성미를 보여준다고 평가받는 지붕 형태이다. 우진각지붕의 삼각형 측면에 다시 여덟 팔(八)자의 모양을 덧붙여 마치 부채살이 퍼지는 듯한 형상이 되었다고 해서 합각(合閣)지붕이라고도 한다.
쉽게 생각하면 우진각지붕 위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것과 같은데 좌우측면에 합각이 있는 4면 구성의 지붕이며, 합각이 있기 때문에 용마루, 내림마루(합각마루), 추녀마루(귀마루)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맞배지붕
건축물의 앞과 뒤에서만 지붕면을 볼 수 있는 맞배지붕은 기와지붕 중에서 구조가 가장 간결하면서도 널리 쓰이는 형태이다.
건축물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지붕이 서로 팔(八 또는 사람 人)자형으로 모여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 삼각벽면을 박공면이라고 하기에 박공지붕으로도 불리운다.
맞배지붕은 측면에는 지붕이 없기 때문에 추녀라는 부재가 없으며 측면가구가 노출되고 용마루의 경우 중앙이 내려가고 양끝이 올라가도록 하는데 이는 용마루의 양끝이 처져보이는 것을 보정해주려는 의도인 듯 하다.
추천자료
- 만리장성의 명칭과 유래 건축적 특성
- 50년대 이전 세계 건축물
-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도자기 문화, 주거문화, 건축문화, 음식문화)
- [한국 건축 미술]한국의 단청
- 동양과 서양 건축 양식
- 돔과 볼트의 서양건축사별 특징과 그 기술의 변화
- 7장 유교 이념에 지배된 조선초기건축
- I. M. Pei. (I.M.Pei 의 실내디자인, 건축물)
- 문화를 통한 지역 개발 사례, 유래, 경제적 효과, 건축물 사례, 전략, 변화, 특징, 현황, 사...
- [한중일]한중일(한국중국일본) 평화관계, 국제관계, 한중일(한국중국일본) 국제교류, 수입흐...
- 도시사회학-만국공원 복원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근대 건축물 복원 사례,만국공원 복원사업...
- 관광과 문화행동 - 건축물로 세워진 문화 알아보기(The Culture Built by Building)
- 신라시대([新羅時代)의 문화에 대한 분석 보고서 - 삼국무화의 계승과 발전, 한문학, 건축, 공예
- 통일신라 시대의 개관과 사묘 궁궐건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