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 과정과 역할, 그리고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임시정부가 만들어지는 과정

2. 여러 정파들이 구성한 임시정부의 속성

3. 좌우협동전선, 신간회, 통합된 형태의 임시정부

4. 무장투쟁에 대한 인식

5. 열강과의 외교전

6. 해방이후 역할과 한계

본문내용

정부 외교에 냉담했다. 대중외교에서 중요한 몫은 만주, 즉 둥산성[東三省(동삼성)] 동포의 생활문제였는데, 30년 국민당대회 때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둥산성한교문제[東三省韓僑問題(동삼성한교문제)]를 제안했을 때 접수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32년 윤봉길(尹奉吉)의 의거를 계기로 접근하였다.
이때에도 중국정부는 일본과의 관계악화를 주저하여 비밀리 지원하는 길을 택했고, 그것도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해 공식 지원을 삼가고 김구 등 대한민국임시정부 관계자 또는 김원봉 등의 독립운동가를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그러나 태평양전쟁 후부터 종전과는 달리 공개적으로 정당 또는 정부적 차원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원하게 되었다. 중국은 충칭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해 재정지원을 공식적으로 전담해 주어 정부의 운영은 물론, 광복군의 독립전쟁이 발전하는 데 중요한 보조가 되었다. 전후 처리에서도 한국의 완전독립을 주장한 유일한 국가였다. 프랑스영국이탈리아 등의 유럽 각국과는 민간부문의 교섭이 비교적 활발하였고, 국제연맹국제적십자사 등에 대한 교섭도 있었다.
6. 해방이후 역할과 한계
해방 이후 남쪽 정부는 미군정이었는데, 미군정의 반공노선이 적극화되자 민족 대 반민족의 대립에서 좌·우익의 대립으로 변화되었다. 먼저 좌익을 중심으로 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이에 대해 한민당은 임정 봉대를 내세우며 연합전선을 부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한민당 측의 자의적인 임정봉대론은 임시정부 측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는 귀국 초기 단계의 임시정부가 한민당을 친일세력으로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는데 이로 인해 한민당 역시 임시정부 환국 후 임시정부에 대한 과대평가를 접었다. 그러나 미군정의 임시정부의 정부 자격 부인으로 인해 정부 자격으로서의 환국은 좌절되었다. 거기다 김구 등 임시정부의 지도자들은 공산주의를 반대하지만 외세의 지배는 더 반대했기 때문에 미군정과의 관계는 악화되어갔다. 무엇보다 일제시기에 미국의 위임통치를 주장하던 이승만이 반탁으로 선회했는데 그 이유는 임시정부처럼 민족자존의 입장에서 신탁통치를 반대하는 것보다는 소련을 배제한데 있었다. 이처럼 임시정부가 현실정치의 혼란 속에서 반 외세 차원에서 우익 진영에 가담함에 따라 임시정부 내의 좌익인사들은 1946년 초 임시정부에서 나와 민주주의민족전선에 가담하게 되었다. 이러한 좌우익의 대립은 임정만을 분화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결국 1946년 2월14일 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이, 다음날인 2월25일에는 민주주의민족전선이 각각 발족함으로써 38선 이남의 정치구도는 좌우익 대립의 구도로 재편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재편에는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강력하게 주장하고있던 김구 등 임시정부세력의 입장도 한 몫하고 있었고 더욱이 정치노선에서도 뚜렷한 우경화가 드러나고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정치구도에서 남북의 단정단선이 사실화 되어가자 김구, 김규식 등 임시정부 요인들은 이에 반대하며 남북협상을 시도하지만 남북 어디에서도 대표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결국 백범 김구가 암살되는 시점을 계기로 임시정부의 한계가 드러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0.0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