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의 혁신, 성공의 혁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언

단계 1 : 환경평가와 위기의식의 형성

단계 2 : 강력한 혁신주도 그룹의 형성

단계 3 : 목표, 비전의 수립과 전파

단계 4 : 구성원의 참여 확대

단계 5 : 단기 성과의 성취

단계 6 : 지속적인 변화 시스템의 구축과 제도화

실체의 혁신은 사람의 혁신

본문내용

정을 조기에 완료하고자 한다. 저항그룹은 혁신에 의한 변화를 조기에 중지시킬 기회를 찾기 위해 혁신 과정을 조기에 완료시키고자 한다. 일단 혁신 과정을 완료되면 혁신을 위한 노력도는 급격히 떨어진다.
성공적인 혁신 사례들의 경우 초기 성과를 통해 얻은 신뢰를 바탕으로 보다 큰 문제를 해결한다. 혁신 비전과 일관성이 없는 시스템과 구조를 찾아내고 정비한다. 예컨대, 혁신 비전과 일치되도록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을 성과 지향적으로 정비하거나 조직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조를 개선한다. 따라서 최초의 범위보다 큰 프로젝트가 새롭게 제시된다. 이들은 혁신 과정이 몇달이 아니라 몇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한다. 혁신은 구성원들이 새로운 행동 방식을 ‘우리 방식은 이런 것이다’라고 말하게 될 때, 새로운 행동 방식이 회사의 몸의 혈관에 침투될 때 정착되는 것이다. 새로운 행위가 사회적인 규범과 공유된 가치에 정착되기 전까지는 혁신이 완료되었다고 할 수 없다. 혁신을 제도화시키는 데는 특히 두가지의 요인이 중요하다. 첫번째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접근법, 행동 그리고 태도가 어떻게 성과 향상을 돕는가를 의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성과향상 원인에 대하여 잘못된 추론을 하게 되면 지속적인 혁신노력이 퇴색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카리스마적인 관리자가 있었을 때 성과가 개선되었을 경우 고객서비스 개선과 생산성증가 원인을 관리자 스타일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두번째 요인은 차기 최고 경영자가 개인적으로 새로운 접근법에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의 최고 경영자 승계가 잘못될 경우 변화노력은 지속되기 어렵다.
실체의 혁신은 사람의 혁신
조직혁신의 실패요인은 물론 이외에도 다양하다. 실제에 있어서는 성공적인 변화노력에서 조차도 혼란과 저항 등 여러 장애요인이 많이 나타난다. 조직을 새롭게 혁신하는 것은 현재의 업무 프로세스를 강화하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 혁신의 길을 가로막는 가장 어려운 장애는 조직의 시스템이나 구조가 아니라 사람이다. 문제의 핵심은 구성원들이 과거의 학습과 관행을 버리고 새로운 행동을 갖도록 변화시켜 이 에너지를 새로운 방향으로 모아 촛점을 맞추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의 열정, 마음, 습관 즉, 회사의 ‘소프트 웨어’가 근본적으로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행위가 회사의 규범와 가치에 정착되었을 때 비로서 실체의 혁신이 완료되었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실패,   혁신,   성공,   구성원참여,   목표,   비전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0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5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