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례1
사례1의 문제점
사례2
사례2의 문제점
사례3
사례3의 문제점
수행평가의 문제점 파악
가.학생과 학부모가 제기하는 문제
나.교사가 제기하는 문제점
다.기타 제기되는 문제
수행평가의 대안점 제시
참고자료
사례1의 문제점
사례2
사례2의 문제점
사례3
사례3의 문제점
수행평가의 문제점 파악
가.학생과 학부모가 제기하는 문제
나.교사가 제기하는 문제점
다.기타 제기되는 문제
수행평가의 대안점 제시
참고자료
본문내용
상태이기 때문에, 평범한 선택형 문항도 해결하기 힘들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수행평가를 실시한다는 것은 무리이다.
(3)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학생들의 수행평가 거부 현상
기존의 선택형의 경우는 고르기만 하면 되었지만, 구성적 반응을 요구하는 수행평가의 경우 지필 검사에서 서술형, 논술형 검사의 반응 거부, 보고서의 미제출 등 수행평가 거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4) 수행평가와 수준별 교육과정의 동시 적용에서 비롯되는 문제
2000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될 수준별 교육과정과 수행평가의 실시가 어떠한 역학 관계를 가질 것인가에 대하여 희망적인 견해도 있지만, 복잡한 두 개의 제도가 서로의 적용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이 제기되고 있다.
(5) 언어적 능력이 수행평가 결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수행평가 과제는 구성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언어나 문장 구사력이 핵심적인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찬반토론법이나 구술시험에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내향적인 성향의 학생보다 평범한 아이디어를 가진 외향적인 성향의 학생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소박한 문장으로 서술한 학생보다 화려한 문장 구사력으로 자신의 생각을 포장할 수 있는 학생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지금부터는 수행평가의 이러한 문제점들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몇 가지 대안점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수행평가의 대안점 제시
먼저, 수행평가 방법에 대한 일련의 예시들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교육부에서 수행평가의 내용과 평가방법에 대한 공모를 통하여 그것에 대한 심사를 하고 학생들의 능력을 타당성과 형평성에 맞게 평가 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평가들을 예로 제시하여 일선 교사들이 수행평가의 독창성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또 정부차원에서 입증이 된 평가방법이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신뢰성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방법들을 마련해 놓음으로써 그 방법 내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아이들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한 수행평가의 날짜도 따로 책정을 해 놓아야한다.
수행평가가 정규 시험화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수행평가기간이 중간, 기말고사기간과는 겹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정규시험기간에 수행평가가 치러지게 된다면 기존에 교사들이 행하려했던 평가와는 성질이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중간고사 기간 중에 중간시간 한시간을 과학수행평가시간이라고 비워놓고 그 시간에 쪽지시험 식으로 수행평가 용지를 전교생에게 돌리고 똑같이 집필고사 형태로 시험을 보는 것이 뭐가 다르겠는가? 아이들에게는 단지 배점 높은 주관식문제로 밖에 인식이 되지 않는 것이다. 수행평가는 시험기간외에도 아이들이 교과에 관한 이해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시험기간과 떨어진 학기 중에 날짜를 따로정해 놓아 한 두달가량 수행평가기간으로 정해놓고 아이들에게 평가를 해야 한다.
그리고 수행평가의 횟수를 보장해야한다.
중간. 기말과 마찬가지로 아이들에게 수행평가가 딱 한번 주어지게 된다면 위의 사례처럼 한 문제에 10점이나 되는 큰 점수를 배정 받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열심히 정규시험공부를 준비한다 하더라도 수행평가에서 한번 실수를 하게 되면 아이들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중간, 기말을 통해 다양한 문제들과 각 문제에 대한 배점을 고르게 한다 하더라도 수행평가 한번으로 점수 차가 크게 나게 되어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점 만점에 30점짜리 수행평가를 시행한다고 가정하면 적어도 두 번 이상으로 수행평가를 나누어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위의 사례처럼 음악과에서는 팜플렛 모으는 수행평가를 반으로 줄이고 배점도 낮추고 또 다른 수행평가의 방법으로 나머지 반을 평가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면 학생들이 ‘팜플렛 모으기’에 대한 부담도 줄어들게 될 것이고 적어도 팜플렛을 사고 파는 현상은 누그러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 참고문헌
백순근 편 (2000).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수행 평가의 실제 (경상북도교육청-2000.6)
수행평가 100% 이렇게 한다 (교육과학사 홍정숙)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의 탐색(경북교육과학 연구원)
현장 적용을 위한 중학교 수행평가의 실제(경상북도교육청)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1999. 8. 16, 교육부 교육과정정책심의관실)
(3)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학생들의 수행평가 거부 현상
기존의 선택형의 경우는 고르기만 하면 되었지만, 구성적 반응을 요구하는 수행평가의 경우 지필 검사에서 서술형, 논술형 검사의 반응 거부, 보고서의 미제출 등 수행평가 거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4) 수행평가와 수준별 교육과정의 동시 적용에서 비롯되는 문제
2000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될 수준별 교육과정과 수행평가의 실시가 어떠한 역학 관계를 가질 것인가에 대하여 희망적인 견해도 있지만, 복잡한 두 개의 제도가 서로의 적용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이 제기되고 있다.
(5) 언어적 능력이 수행평가 결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수행평가 과제는 구성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언어나 문장 구사력이 핵심적인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찬반토론법이나 구술시험에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내향적인 성향의 학생보다 평범한 아이디어를 가진 외향적인 성향의 학생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소박한 문장으로 서술한 학생보다 화려한 문장 구사력으로 자신의 생각을 포장할 수 있는 학생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지금부터는 수행평가의 이러한 문제점들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몇 가지 대안점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수행평가의 대안점 제시
먼저, 수행평가 방법에 대한 일련의 예시들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교육부에서 수행평가의 내용과 평가방법에 대한 공모를 통하여 그것에 대한 심사를 하고 학생들의 능력을 타당성과 형평성에 맞게 평가 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평가들을 예로 제시하여 일선 교사들이 수행평가의 독창성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또 정부차원에서 입증이 된 평가방법이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신뢰성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방법들을 마련해 놓음으로써 그 방법 내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아이들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한 수행평가의 날짜도 따로 책정을 해 놓아야한다.
수행평가가 정규 시험화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수행평가기간이 중간, 기말고사기간과는 겹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정규시험기간에 수행평가가 치러지게 된다면 기존에 교사들이 행하려했던 평가와는 성질이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중간고사 기간 중에 중간시간 한시간을 과학수행평가시간이라고 비워놓고 그 시간에 쪽지시험 식으로 수행평가 용지를 전교생에게 돌리고 똑같이 집필고사 형태로 시험을 보는 것이 뭐가 다르겠는가? 아이들에게는 단지 배점 높은 주관식문제로 밖에 인식이 되지 않는 것이다. 수행평가는 시험기간외에도 아이들이 교과에 관한 이해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시험기간과 떨어진 학기 중에 날짜를 따로정해 놓아 한 두달가량 수행평가기간으로 정해놓고 아이들에게 평가를 해야 한다.
그리고 수행평가의 횟수를 보장해야한다.
중간. 기말과 마찬가지로 아이들에게 수행평가가 딱 한번 주어지게 된다면 위의 사례처럼 한 문제에 10점이나 되는 큰 점수를 배정 받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열심히 정규시험공부를 준비한다 하더라도 수행평가에서 한번 실수를 하게 되면 아이들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중간, 기말을 통해 다양한 문제들과 각 문제에 대한 배점을 고르게 한다 하더라도 수행평가 한번으로 점수 차가 크게 나게 되어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점 만점에 30점짜리 수행평가를 시행한다고 가정하면 적어도 두 번 이상으로 수행평가를 나누어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위의 사례처럼 음악과에서는 팜플렛 모으는 수행평가를 반으로 줄이고 배점도 낮추고 또 다른 수행평가의 방법으로 나머지 반을 평가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면 학생들이 ‘팜플렛 모으기’에 대한 부담도 줄어들게 될 것이고 적어도 팜플렛을 사고 파는 현상은 누그러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 참고문헌
백순근 편 (2000).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수행 평가의 실제 (경상북도교육청-2000.6)
수행평가 100% 이렇게 한다 (교육과학사 홍정숙)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의 탐색(경북교육과학 연구원)
현장 적용을 위한 중학교 수행평가의 실제(경상북도교육청)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1999. 8. 16, 교육부 교육과정정책심의관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