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발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양상 변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체발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양상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1) 문제제기
2) 연구방법

2.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변천사

3.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
1) 편지
2) 문자메세지
3) 전자우편
4) 매체적 특성

4.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
1) 전화
2) 이동전화
3) IMT-2000
4) 매체적 특성

5. 이성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6. 맺음말 -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보다 솔직해질 수 있고 자기의 목소리에 충실할 수가 있다. 중세나 근대를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이나 영화에서 사랑의 고백이 주로 편지라는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요즘 TV광고에서 이동 전화를 소재로 ‘7줄의 러브레터’라는 카피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메일로 사랑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것이 이러한 비동시적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고백적 성격을 드러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
1) 전화
한국에서 전화가 사용되기 시작된 것은 1898년 당시 궁내부(宮內部) 주관으로 궁중에서 각 아문(衙門)과 연락을 위해 덕수궁에 전화시설을 마련하여 각 아문은 물론 인천에 있는 감리소(監理所)에까지 전화를 개통하면서부터이다. 1902년 3월 서울~인천 사이의 전화가 가설되었고, 같은 해 6월 시내교환전화가 가설되면서 비로소 일반인들도 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1905년까지 총 가입자가 수백 명에 불과할 정도로 가격이 비쌌다. 저속한 말을 하거나 언쟁을 하면 교환수가 임의로 통화를 중단시킬 수 있어,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음란 협박 전화는 원초적으로 불가능했다. 1905년 한국 통신권이 일본에 의해 강탈당함에 따라 한국의 전화사업도 일본의 손에 넘어가, 815광복 때까지 40년간 일본인에 의하여 운영되었다. 815광복과 더불어 한국 통신권이 부활하여 강한 의욕을 가지고 전화의 운용에 힘썼으나 625전쟁으로 전화시설은 막심한 피해를 보았으며, 60년부터 전화 공급이 본격화하기 시작하였다. 82년 한국전기통신공사가 발족하면서 한국의 전화사업은 도약기를 맞이하였다. 1980년대 들어 전자식교환기가 개통되면서, 이제 전화기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편리한 다기능의 정보통신기기로 탈바꿈하였다. 1981년 국가에서 보급하던 전화기의 구입절차가 개인이 직접 구입하는 자급제로 바뀌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과 화려하고 개성화된 전화기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87년에 이르러서는 1가구 1전화시대를 이루게 되었다.
전화는 기존에 알고 있던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만든 매체이다. 일상적 안무를 묻는 일에서부터 특별한 용건없이 신변잡기적 이야기를 나누는데 이르기까지, 전화는 화자와 청자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한다. 이때, 사람들은 상대방의 모습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음성으로 전해지는 정보를 보다 실감나게 하기 위해서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머리 속에 하나의 상(象)을 만들어 낸다.
이것은 전화가 새로운 관계의 확장이 아닌, 기존에 알고 있던 사람들과의 관계 유지 혹은 발전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과 관계가 있다. 음성정보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공통의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 이동전화
우리 나라 최초의 일반시민용 이동전화 서비스는 1961년 8월, 80여명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제공되었다. 이 때의 이동전화 이용방식은 일반 유선전화로 시외교환을 호출하여 차량전화번호를 알리고 교환원이 선택 호출장치 버튼을 누르면 전파신호가 발사되어 차량 전화의 벨이 울리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통화품질도 나쁘고, 이동전화 수요에도 충분히 대처할 수 없었다. 그후 1988년 7월부터 88올림픽의 영향 때문에 이동전화의 보급 및 가입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차량전화에서 실질적인 이동전화인 핸디폰(Handy Phone)의 개념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1996년에는 300만 가입자를 돌파하는 대규모 통신시스템이 되었다. 이동 전화 서비스는 도입 초기에 단말기의 가격이 비싸고 통화품질 및 통신용량이 떨어져 보편화된 기기로서 일반 대중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이동전화가 보급됨에 따라 용량의 증가는 물론 착신 완료율이 높아지고 통화품질이 더욱 향상되었음은 물론 새로운 부가 서비스들이 도입되면서 이용이 편리하게 되었다. 특히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의 경쟁도입으로 단말기를 거의 공짜로 제공하다시피 한 데 힘입어 이동전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필수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이동전화의 최대 장점은 상대방의 위치에 상관없이 통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동전화는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적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시간적으로도 커뮤니케이션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동전화는 기본적으로 음성위주의 서비스를 염두에 두고 개발하였기 때문에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고속 무선통신 서비스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3) IMT-2000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유선통신망을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음성 통화량보다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무선통신에서도 곧 나타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유선통신 시장에서 확고히 자리잡은 인터넷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고속 데이터 정보를 무선으로 공급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더욱 발전된 개념의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이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정보통신 서비스는 유선통신의 경우 정보면에서는 멀티미디어 정보이지만 즉시성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무선통신은 즉시성은 보장되긴 하지만 음성정보와 간단한 데이터 서비스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IMT-2000은 이러한 유무선 통신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통합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라고할 수 있겠다.
4) 매체적 특성
[동시성]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 본 커뮤니케이션 형태들은 동시성을 그 특징으로 갖는다. 동시적 커뮤니케이션이란 대화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두 상대가 비록 존재하는 시간이 다르다고 할지라도 같은 시간을 공유하고 잇는 상태를 가르킨다.
[상호작용의 즉각성]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은 대화 상대자가 다른 공간에 있다고 하더라도 두 주체가 동시에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할 수 있다. 덕분에 서로간의 상호작용이 즉각적으로 발생한다.
[친밀한 관계의 유지 혹은 발전]
앞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상대방의 모습을 볼 수 없기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0.20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