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1. 전통노래 놀이와 관련연구
2. 전통노래놀이와 유아 언어발달과 관련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전통노래놀이가 어휘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2. 전통노래놀이가 문장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3. 전통노래놀이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그림 어휘력 검사
<부록 2> 문장 이해력 검사
<부록 3> 언어표현력 검사 채점방법
<부록 4> 전통노래놀이의 활용방안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1. 전통노래 놀이와 관련연구
2. 전통노래놀이와 유아 언어발달과 관련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전통노래놀이가 어휘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2. 전통노래놀이가 문장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3. 전통노래놀이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그림 어휘력 검사
<부록 2> 문장 이해력 검사
<부록 3> 언어표현력 검사 채점방법
<부록 4> 전통노래놀이의 활용방안
본문내용
3. 전통노래놀이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예상 실험 결과는 사전 검사에서는 의미를 둘 수 없던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가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언어표현력의 평균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단순히 노래과 글만 제시하기 보다는 전통노래가 놀이와 함께 제공됨으로서 그 효과가 유아의 언어의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전통노래 놀이가 유아들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연구문제별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놀이가 중심이 되었던 전통노래를 통해 단순하게 읽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장 된 놀이를 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어휘 이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노래만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어휘력과 반복적인 운율을 통해 놀이에 집중 할 수 있게 하고 그 놀이를 통해 어휘력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것을 조금 더 친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는 엄성은(2001)의 전래동요는 언어발달을 돕는다고 하였고 노랫말 속에서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해학적인 표현을 느끼는 것은 물론 우리말의 신축성 및 운율을 통하여 다양하고도 풍부한 어휘력을 배울 수 있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말놀이가 중심이 되었던 전통노래를 통해 단순하게 읽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장 된 놀이를 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문장의 이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노래를 통해 놀이하면서 언어적 즐거움을 알게 되고 또한 놀이를 통해 다른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늘어나면서 문장의 구성이나 이해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놀이를 통한 언어의 습득이 강압적이거나 의도적인 제공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말놀이가 중심이 되었던 전통노래를 통해 단순하게 읽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장 된 놀이를 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언어표현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상금·장영희(1986)에 의하면 전래동요는 감성과 상상력을 통한 인간 교육의 기초가 되며,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리듬과 운율을 통하여 감각적인 혀와 귀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가장 선택되고 정선된 언어를 통하여 언어의 신비로운 기능을 체득하게하며 사물에 대한 올바르고 날카로운 직관력을 기르게 하고,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고 보고한 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전통노래가 놀이와 함께 제공 되어 질 때 유아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전통노래가 놀이를 통해 연구되고 계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들에게 제공되어 진다면 언어발달 뿐만 아니라 신체, 인지, 사회발달의 영역에서도 효과적인 발달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혜인(2002). 유아교육, 우리음악으로 가르쳐요. 서울:민속원.
국립음악원(2005). 전래동요. 서울:아이즐.
김선혜(2009). 전래동요를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 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숙경(2001). 한국전래놀이 노래Ⅱ. 서울:동문사.
김영태·장혜선·임선숙·백현정(1995). 그림어휘력검사. 서울:서울장애인복지관.
김주현(2002). 전래동요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권은진(2010). 전래동요 통합 언어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휘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류덕희·고성휘(1996). 한국동요발달사. 서울:한성음악출판사.
류형선(2006). 자미잠이. 경기도:보림.
석용원(1983). 아동문학원론. 서울:학연사.
손경아(2009).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음악능 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엄성은·홍은주(2003). 전래동화를 활용한 자연친화 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국악교육 학회 학술지 제21호. 201∼228.
유창근(1999). 마음으로 부르는 전래동요. 서울:학지사.
윤소영(2009). 유아국악교욱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금·장영희(1986). 유아문학론. 서울:교문사.
이숙희(2002).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용이 유아의 언어능력이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혜선·임선숙·백현정(1994). 문장이해력 검사. 서울:서울장앤인복지관.
전원범(1992). 한국전래동요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미라(1992). 유치원 교육활동에서의 한국전래동요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재숙(1999). 전래동요를 활용한 유아의 언어학습 증진 방안. 전북교육. 128∼132.
하정연(2006). 신명나는 아이세상 이야기. 경기도:공동체.
부 록
<부록 1> 그림 어휘력 검사
<부록 2> 문장 이해력 검사
<부록 3> 언어표현력 검사 채점방법
<부록 4> 전통노래놀이의 활용방안
1주 <엿 장사 똥구멍은 찐득찐득>
전통노래
엿장사 똥구멍은 찐득찐득 - 두부장사 똥구멍은 뭉실뭉실 - 옹기장사 똥구멍은 반질반질 - 참기름 장사 똥구멍은 미끌미끌 - 소금장사 똥구멍은 짭잘짭잘
전통노래놀이
장사꾼 똥구멍이 파는 물건처럼 생겼다는 노랫말로서 역, 옹기, 소금, 기름뿐만 아니라 다른 물건을 떠올리면서 노랫말로 만들어 본다.
ex) 부채 장사 엉덩이는 팔랑팔랑
2주 <까마귀는 날더라>
전통노래
까마귀는 날더라 - 날면 제비 - 제비는 울긋불긋 - 울긋불긋 독사 - 독사는 물더라 - 물면 범이지 - 범은 뛰더라 - 뛰면 벼룩이지 - 벼룩은 붉더라 - 붉은면 대추- 대추는 달더라 - 달면 엿이지 - 엿은 붙는다 - 척!
전통노래놀이
낱말과 낱말을 이어가면서 부르는 말놀이. 앞에 나오는 노랫말에 말꼬리를 이어부르는 형식. 꼬리에꼬리를 무는노래를 부르면서 재미있게 낱말을 익힐 수 있음
3주 <오랑께롱>
전통노래
오랑께롱 간께롱 떡 먹은 께롱 달랑께롱 준께롱 먹은께롱
본 연구의 예상 실험 결과는 사전 검사에서는 의미를 둘 수 없던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가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언어표현력의 평균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단순히 노래과 글만 제시하기 보다는 전통노래가 놀이와 함께 제공됨으로서 그 효과가 유아의 언어의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전통노래 놀이가 유아들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연구문제별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놀이가 중심이 되었던 전통노래를 통해 단순하게 읽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장 된 놀이를 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어휘 이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노래만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어휘력과 반복적인 운율을 통해 놀이에 집중 할 수 있게 하고 그 놀이를 통해 어휘력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것을 조금 더 친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는 엄성은(2001)의 전래동요는 언어발달을 돕는다고 하였고 노랫말 속에서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해학적인 표현을 느끼는 것은 물론 우리말의 신축성 및 운율을 통하여 다양하고도 풍부한 어휘력을 배울 수 있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말놀이가 중심이 되었던 전통노래를 통해 단순하게 읽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장 된 놀이를 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문장의 이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노래를 통해 놀이하면서 언어적 즐거움을 알게 되고 또한 놀이를 통해 다른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늘어나면서 문장의 구성이나 이해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놀이를 통한 언어의 습득이 강압적이거나 의도적인 제공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말놀이가 중심이 되었던 전통노래를 통해 단순하게 읽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장 된 놀이를 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언어표현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상금·장영희(1986)에 의하면 전래동요는 감성과 상상력을 통한 인간 교육의 기초가 되며,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리듬과 운율을 통하여 감각적인 혀와 귀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가장 선택되고 정선된 언어를 통하여 언어의 신비로운 기능을 체득하게하며 사물에 대한 올바르고 날카로운 직관력을 기르게 하고,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고 보고한 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전통노래가 놀이와 함께 제공 되어 질 때 유아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전통노래가 놀이를 통해 연구되고 계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들에게 제공되어 진다면 언어발달 뿐만 아니라 신체, 인지, 사회발달의 영역에서도 효과적인 발달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혜인(2002). 유아교육, 우리음악으로 가르쳐요. 서울:민속원.
국립음악원(2005). 전래동요. 서울:아이즐.
김선혜(2009). 전래동요를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 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숙경(2001). 한국전래놀이 노래Ⅱ. 서울:동문사.
김영태·장혜선·임선숙·백현정(1995). 그림어휘력검사. 서울:서울장애인복지관.
김주현(2002). 전래동요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권은진(2010). 전래동요 통합 언어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휘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류덕희·고성휘(1996). 한국동요발달사. 서울:한성음악출판사.
류형선(2006). 자미잠이. 경기도:보림.
석용원(1983). 아동문학원론. 서울:학연사.
손경아(2009).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음악능 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엄성은·홍은주(2003). 전래동화를 활용한 자연친화 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국악교육 학회 학술지 제21호. 201∼228.
유창근(1999). 마음으로 부르는 전래동요. 서울:학지사.
윤소영(2009). 유아국악교욱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금·장영희(1986). 유아문학론. 서울:교문사.
이숙희(2002).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용이 유아의 언어능력이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혜선·임선숙·백현정(1994). 문장이해력 검사. 서울:서울장앤인복지관.
전원범(1992). 한국전래동요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미라(1992). 유치원 교육활동에서의 한국전래동요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재숙(1999). 전래동요를 활용한 유아의 언어학습 증진 방안. 전북교육. 128∼132.
하정연(2006). 신명나는 아이세상 이야기. 경기도:공동체.
부 록
<부록 1> 그림 어휘력 검사
<부록 2> 문장 이해력 검사
<부록 3> 언어표현력 검사 채점방법
<부록 4> 전통노래놀이의 활용방안
1주 <엿 장사 똥구멍은 찐득찐득>
전통노래
엿장사 똥구멍은 찐득찐득 - 두부장사 똥구멍은 뭉실뭉실 - 옹기장사 똥구멍은 반질반질 - 참기름 장사 똥구멍은 미끌미끌 - 소금장사 똥구멍은 짭잘짭잘
전통노래놀이
장사꾼 똥구멍이 파는 물건처럼 생겼다는 노랫말로서 역, 옹기, 소금, 기름뿐만 아니라 다른 물건을 떠올리면서 노랫말로 만들어 본다.
ex) 부채 장사 엉덩이는 팔랑팔랑
2주 <까마귀는 날더라>
전통노래
까마귀는 날더라 - 날면 제비 - 제비는 울긋불긋 - 울긋불긋 독사 - 독사는 물더라 - 물면 범이지 - 범은 뛰더라 - 뛰면 벼룩이지 - 벼룩은 붉더라 - 붉은면 대추- 대추는 달더라 - 달면 엿이지 - 엿은 붙는다 - 척!
전통노래놀이
낱말과 낱말을 이어가면서 부르는 말놀이. 앞에 나오는 노랫말에 말꼬리를 이어부르는 형식. 꼬리에꼬리를 무는노래를 부르면서 재미있게 낱말을 익힐 수 있음
3주 <오랑께롱>
전통노래
오랑께롱 간께롱 떡 먹은 께롱 달랑께롱 준께롱 먹은께롱
추천자료
현대극에 수용된 굿
[예체능] 판소리란 무엇인가
프랑스의 교육제도 유럽의교육제도
원주한지축제
구비문학
“파리의 연인” 비평- 장르, 페미니즘, 산업 중심으로
국악에 관한 고찰
한국의 축제 [분석/조사]
영어 발음지도(발음교육) 목표와 요소, 영어 발음지도(발음교육)와 음의 전이, 영어 발음지도...
야외교육(야외학습) 의의, 야외교육(야외학습)과 야외탐사, 야외교육(야외학습) 야외탐구활동...
아동문학 - 전래동요의 필요성, 우리나라 정서와의 관련성
<혼합반 보육실습일지>만 4,5세 혼합반 보육실습일지입니다./ 전체 수업계획안 포함/ 2016년 ...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개요와 의사소통중심 학습활동 - 의사소통중심 ...
보육실습일지, 만4세 보육실습일지 1-4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