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1P
1.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 ………………………………………………………………… 1P
2. 연구의 목적 ……………………………………………………………………………… 1P
3. 연구의 제한점 …………………………………………………………………………… 1P
4. 연구의 문제점 …………………………………………………………………………… 1P
5.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1P
Ⅱ. 본론 …………………………………………………………………………………………… 1P
A. 유전공학으로서의 인간창조 …………………………………………………………… 1P
1. 유전공학의 발달이 된 유전학 …………………………………………………… 2P
(1) 유전학의 역사적 배경 ………………………………………………………… 2P
(2) 유전학의 연구분야 …………………………………………………………… 3P
1) 고전 유전학 ………………………………………………………………… 3P
2) 세포 유전학 ………………………………………………………………… 3P
3) 미생물 유전학 ……………………………………………………………… 4P
4) 분자 유전학 ………………………………………………………………… 4P
5) 집단 유전학 ………………………………………………………………… 4P
6) 행동 유전학 ………………………………………………………………… 4P
7) 인류 유전학 ………………………………………………………………… 4P
(3) 유전학의 여러 방법들 ……………………………………………………… 5P
1) 실험육종 …………………………………………………………………… 5P
2) 세포유전학적 기술 ………………………………………………………… 5P
3) 생화학적 기술 ……………………………………………………………… 5P
4) 생리학적 기술 ……………………………………………………………… 6P
5) 면역학적 기술 ……………………………………………………………… 6P
6) 수학적 기술 ………………………………………………………………… 6P
2. 유전공학의 발전 …………………………………………………………………… 6P
(1) 유전공학의 정의 ……………………………………………………………… 6P
(2) 유전공학의 기초현상인 생명현상의 세가지 원리 ……………………… 7P
3. 유전공학의 기본기술 ……………………………………………………………… 8P
(1) 유전자 재조합기술 …………………………………………………………… 8P
(2) 세포융합기술 ………………………………………………………………… 8P
(3) 핵치환기술 …………………………………………………………………… 9P
(4) 운반체와 숙주 ………………………………………………………………… 9P
(5) 재조합시킬 유전자의 분리 ………………………………………………… 10P
(6) DNA의 절단 및 재조합 …………………………………………………… 10P
4. 복제양 ‘돌리’의 탄생 ……………………………………………………………… 11P
5. 복제양을 통한 인간 복제의 가능성 …………………………………………… 12P
B. 성경적 인간창조 ……………………………………………………………………… 13P
1. 창세기에 나타난 인간창조 ……………………………………………………… 13P
(1) 성경원문에서의 인간창조 …………………………………………………… 13P
(2) 인간창조의 특징 ……………………………………………………………… 14P
C. 복제인간에 대한 창조론적 평가 …………………………………………………… 17P
1. 인간속에 내재하고 있는 하나님의 형상은 무엇인가? ……………………… 17P
(1) 부정적 입장 …………………………………………………………………… 17P
(2) 긍정적인 입장 ……………………………………………………………… 17P
2. 전적 타락의 원칙 ………………………………………………………………… 18P
3. 하나님의 창조 섭리 사역에 위배됨……………………………………………… 18P
Ⅲ. 결론 ………………………………………………………………………………………… 19P
1. 인간은 동물과 다르다……………………………………………………………… 19P
2. 인간에게는 이 세상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 있다 …………………………… 19P
참고문헌 ………………………………………………………………………………………… 20P
1. 연구의 의의 및 중요성 ………………………………………………………………… 1P
2. 연구의 목적 ……………………………………………………………………………… 1P
3. 연구의 제한점 …………………………………………………………………………… 1P
4. 연구의 문제점 …………………………………………………………………………… 1P
5.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1P
Ⅱ. 본론 …………………………………………………………………………………………… 1P
A. 유전공학으로서의 인간창조 …………………………………………………………… 1P
1. 유전공학의 발달이 된 유전학 …………………………………………………… 2P
(1) 유전학의 역사적 배경 ………………………………………………………… 2P
(2) 유전학의 연구분야 …………………………………………………………… 3P
1) 고전 유전학 ………………………………………………………………… 3P
2) 세포 유전학 ………………………………………………………………… 3P
3) 미생물 유전학 ……………………………………………………………… 4P
4) 분자 유전학 ………………………………………………………………… 4P
5) 집단 유전학 ………………………………………………………………… 4P
6) 행동 유전학 ………………………………………………………………… 4P
7) 인류 유전학 ………………………………………………………………… 4P
(3) 유전학의 여러 방법들 ……………………………………………………… 5P
1) 실험육종 …………………………………………………………………… 5P
2) 세포유전학적 기술 ………………………………………………………… 5P
3) 생화학적 기술 ……………………………………………………………… 5P
4) 생리학적 기술 ……………………………………………………………… 6P
5) 면역학적 기술 ……………………………………………………………… 6P
6) 수학적 기술 ………………………………………………………………… 6P
2. 유전공학의 발전 …………………………………………………………………… 6P
(1) 유전공학의 정의 ……………………………………………………………… 6P
(2) 유전공학의 기초현상인 생명현상의 세가지 원리 ……………………… 7P
3. 유전공학의 기본기술 ……………………………………………………………… 8P
(1) 유전자 재조합기술 …………………………………………………………… 8P
(2) 세포융합기술 ………………………………………………………………… 8P
(3) 핵치환기술 …………………………………………………………………… 9P
(4) 운반체와 숙주 ………………………………………………………………… 9P
(5) 재조합시킬 유전자의 분리 ………………………………………………… 10P
(6) DNA의 절단 및 재조합 …………………………………………………… 10P
4. 복제양 ‘돌리’의 탄생 ……………………………………………………………… 11P
5. 복제양을 통한 인간 복제의 가능성 …………………………………………… 12P
B. 성경적 인간창조 ……………………………………………………………………… 13P
1. 창세기에 나타난 인간창조 ……………………………………………………… 13P
(1) 성경원문에서의 인간창조 …………………………………………………… 13P
(2) 인간창조의 특징 ……………………………………………………………… 14P
C. 복제인간에 대한 창조론적 평가 …………………………………………………… 17P
1. 인간속에 내재하고 있는 하나님의 형상은 무엇인가? ……………………… 17P
(1) 부정적 입장 …………………………………………………………………… 17P
(2) 긍정적인 입장 ……………………………………………………………… 17P
2. 전적 타락의 원칙 ………………………………………………………………… 18P
3. 하나님의 창조 섭리 사역에 위배됨……………………………………………… 18P
Ⅲ. 결론 ………………………………………………………………………………………… 19P
1. 인간은 동물과 다르다……………………………………………………………… 19P
2. 인간에게는 이 세상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 있다 …………………………… 19P
참고문헌 ………………………………………………………………………………………… 20P
본문내용
관의 변화를 예견하게 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앞으로 오는 시대의 가치체계의 변화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 우리 인류는 유전공학이란 새로운 기술시대를 맞이하여 근대 산업사회가 안고 있는 고민을 덜어주고 인류의 생존과 질적 존속을 보장해줄 이 과학기술의 참된 의의와 가치관을 재인식해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1. 유전 공학의 발단이된 유전학
유전공학을 알기 위하여서는 유전공학의 모태라 할 수 있는 유전학에 대하여 먼저 파악하여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하여 브리대니커 사전은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유전학 (遺傳學) genetics「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서울: 1993), “유전학” 항목.
유전학이란? 유전현상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과로서,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은 유전의 영향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그 원리를 응용하여 재배작물과 사육동물을 개량시켰다, 그 예로 6,000년 전 이상 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서판(書板)에는 말의 혈통표가 나와 있으며 유전될 가능성이 있는 형질에 대해서도 나타나 있다. 그 밖에로 어떤 조각물에는 대추야자나무의 딴꽃가루받이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전 메커니즘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20세기 전까지는 신비로운 것으로 여겨졌다.
유전학은 유전자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달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유전학은 디옥시리보핵산핵산의 하나. 생물의 유전자이다. 핵산이라는 물질은 누클레오티드라고 하는 단위물질이 수많이 연결되어 있는 고분자 유기물이다. 이중 염기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아데닌(adenine;A로 약칭), 구아닌(guanine;G로 약칭), 시토닌(cytosine;C로 약칭), 및 티민(thymine;T로 약칭)이다.
「동아 원색세계대백과사전」(서울: 동아출판사, 1993), “디옥시리보핵산” 항목.
(deoxyribonucl-
eic acid/DNA) 같은 유전물질이 세포의 생리적 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유전자의 작용 메커니즘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유전자는 한 개체가 발현하는 특징을 결정하기는 하지만 발현되는 특징은 실제로 유전자와 환경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그 예로 정상적인 녹색식물은 그들이 녹색으로 보이도록 하는 엽록소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유전정보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이 엽록소는 빛이 있는 환경에서만 합성. 즉 유전자의 발현이 이루어진다.
만약 식물을 어두운 곳으로 옮겨놓으면 엽록소의 합성은 중단되고 유전자는 더 이상 발현되지 않는다. 유전학은 생물학의 다양한 분야와 화학, 물리학, 수학, 사회학, 심리학, 의학 등의 여러 과학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미생물의 유전을 연구하는 미생물학자는 미생물유전학자라고 하며 세포의 유전을 연구하는 새포학자는 세포유전학자라고 한다. 생화학자 또는 분자생물학자들은 유전자의 화학적 본질과 작용 체계에 대해 연구한다. 어떤 물리학자는 분자유전학에 그들의 기술을 응용했으며 일부 수학자들은 집단유전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도 했다. 행동학자 역시 사람과 동물의 행동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유전학을 적용하고 유전상담 전문가들은 인간의 많은 고통이 유전적인 문제에서 비롯되는 것이라 생각하며 일하고 있다.
(1) 유전학의 역사적 배경
그리스의 철학자 피타고라스 BC.570년에 사모스에서 태어난 철학자 피타고라스 학파의 시조가 됨.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유명함.
요한네스 휠쉬베르거,「서양철학사 상권」강성위 역 (대구: 이문출판사, 1994년), pp. 60-61.
는 BC500년경 인간의 생명은 남자와 여자의 몸에서 나온 체액, 또는 정액의 혼합에 의해 시작된다고 추측했다. 아리스토텔레스고대 최대의 철학자 BC342년 알렉산더의 가정교사 가됨 BC322년에 죽음 그는 현실세계를 형상과 질료의 이원론으로 설명하려고 하였음.
Ibid., p. 201
는 나중에 정액을 정제된 혈액으로 보고 혈액이 곧 유전의 요소라고 주장했다. 1651년경 월리엄 하비영국의 생리학자, 의학자 동물의 심장과 혈액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를 함. 근대 생물학의 기초를 만듦.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서울: 중앙문화사, 1988년), “월리엄 하비”항목.
는 그리스 학자들이 주장했던 개념을 논박했으며 사슴의 배(胚)가 발생 초기에는 작은 공 모양이다가 발생이 조금 더 진행된 후에는 사슴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작은 공이 바로 작은 난세포에서 기원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17세기말에는 난소라고 하는 여성의 기관이 난세포의 원천이며 정자는 남성의 유전물질을 전달한다고 주장되었다. 19세기초 장바티스트 라마르크는 획득형질이 유전된다고 주장 챘으며. 1865년경 G. 멘델은 완두의 유전현상과학세대 편, 「유전공학의 놀라운세계」(서울: 도서출판 벽호, 1993년), pp. 33-42.
을 보고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전자의 DNA구성성분이 고름에서 분리되었고 연어의 정자에서 역시 상당량의 DNA가 발견되었다. 19세기말 독일의 의사인 아우구스트 바이스만Ibid., pp. 42-43.
은 생식세포가 체세포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함을 보였고 획득형질이 유전된다는 이전의 가설을 반박했다. 유전에서 볼 수 있는 갑작스런 변화인 돌연변이에 대한 개념은 20세기초에 도입되었다. 뒤이어 미국과 영국에서, 곤충의 염색체에 의한 성(性) 결정과 완두 염색체의 유전자 연관에 대한 발견이 이루어졌다.
1908년 영국의 수학자 하디와 독일의 물리학자 바인베르크는 이른바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을 공식화하여 집단유전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1909년 영국에서 기형의 원인인 유전자 유도효소 결핍증을 발견한 것에 힘입어 생화학적 유전학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미국의 유전학자 허먼 J. 멀러는 1927년 X선을 사용하여 초파리의 돌연변이를 유도했다. 조지 W. 비글과 E. 테이텀은 빵곰팡이속(Neurospora)의 붉은 빵곰팡이(N. crassa)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대부분의 유전자들이 효소의 합성을 지시하는 기능을 하고 이것이 곧 유전형질을 발현하는 것임을 증명했다. 1944년 DNA가 유전물질임이 밝혀졌고. 1953년 J.
1. 유전 공학의 발단이된 유전학
유전공학을 알기 위하여서는 유전공학의 모태라 할 수 있는 유전학에 대하여 먼저 파악하여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하여 브리대니커 사전은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유전학 (遺傳學) genetics「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서울: 1993), “유전학” 항목.
유전학이란? 유전현상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과로서,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은 유전의 영향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그 원리를 응용하여 재배작물과 사육동물을 개량시켰다, 그 예로 6,000년 전 이상 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서판(書板)에는 말의 혈통표가 나와 있으며 유전될 가능성이 있는 형질에 대해서도 나타나 있다. 그 밖에로 어떤 조각물에는 대추야자나무의 딴꽃가루받이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전 메커니즘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20세기 전까지는 신비로운 것으로 여겨졌다.
유전학은 유전자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달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유전학은 디옥시리보핵산핵산의 하나. 생물의 유전자이다. 핵산이라는 물질은 누클레오티드라고 하는 단위물질이 수많이 연결되어 있는 고분자 유기물이다. 이중 염기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아데닌(adenine;A로 약칭), 구아닌(guanine;G로 약칭), 시토닌(cytosine;C로 약칭), 및 티민(thymine;T로 약칭)이다.
「동아 원색세계대백과사전」(서울: 동아출판사, 1993), “디옥시리보핵산” 항목.
(deoxyribonucl-
eic acid/DNA) 같은 유전물질이 세포의 생리적 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유전자의 작용 메커니즘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유전자는 한 개체가 발현하는 특징을 결정하기는 하지만 발현되는 특징은 실제로 유전자와 환경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그 예로 정상적인 녹색식물은 그들이 녹색으로 보이도록 하는 엽록소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유전정보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이 엽록소는 빛이 있는 환경에서만 합성. 즉 유전자의 발현이 이루어진다.
만약 식물을 어두운 곳으로 옮겨놓으면 엽록소의 합성은 중단되고 유전자는 더 이상 발현되지 않는다. 유전학은 생물학의 다양한 분야와 화학, 물리학, 수학, 사회학, 심리학, 의학 등의 여러 과학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미생물의 유전을 연구하는 미생물학자는 미생물유전학자라고 하며 세포의 유전을 연구하는 새포학자는 세포유전학자라고 한다. 생화학자 또는 분자생물학자들은 유전자의 화학적 본질과 작용 체계에 대해 연구한다. 어떤 물리학자는 분자유전학에 그들의 기술을 응용했으며 일부 수학자들은 집단유전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도 했다. 행동학자 역시 사람과 동물의 행동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유전학을 적용하고 유전상담 전문가들은 인간의 많은 고통이 유전적인 문제에서 비롯되는 것이라 생각하며 일하고 있다.
(1) 유전학의 역사적 배경
그리스의 철학자 피타고라스 BC.570년에 사모스에서 태어난 철학자 피타고라스 학파의 시조가 됨.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유명함.
요한네스 휠쉬베르거,「서양철학사 상권」강성위 역 (대구: 이문출판사, 1994년), pp. 60-61.
는 BC500년경 인간의 생명은 남자와 여자의 몸에서 나온 체액, 또는 정액의 혼합에 의해 시작된다고 추측했다. 아리스토텔레스고대 최대의 철학자 BC342년 알렉산더의 가정교사 가됨 BC322년에 죽음 그는 현실세계를 형상과 질료의 이원론으로 설명하려고 하였음.
Ibid., p. 201
는 나중에 정액을 정제된 혈액으로 보고 혈액이 곧 유전의 요소라고 주장했다. 1651년경 월리엄 하비영국의 생리학자, 의학자 동물의 심장과 혈액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를 함. 근대 생물학의 기초를 만듦.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서울: 중앙문화사, 1988년), “월리엄 하비”항목.
는 그리스 학자들이 주장했던 개념을 논박했으며 사슴의 배(胚)가 발생 초기에는 작은 공 모양이다가 발생이 조금 더 진행된 후에는 사슴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작은 공이 바로 작은 난세포에서 기원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17세기말에는 난소라고 하는 여성의 기관이 난세포의 원천이며 정자는 남성의 유전물질을 전달한다고 주장되었다. 19세기초 장바티스트 라마르크는 획득형질이 유전된다고 주장 챘으며. 1865년경 G. 멘델은 완두의 유전현상과학세대 편, 「유전공학의 놀라운세계」(서울: 도서출판 벽호, 1993년), pp. 33-42.
을 보고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전자의 DNA구성성분이 고름에서 분리되었고 연어의 정자에서 역시 상당량의 DNA가 발견되었다. 19세기말 독일의 의사인 아우구스트 바이스만Ibid., pp. 42-43.
은 생식세포가 체세포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함을 보였고 획득형질이 유전된다는 이전의 가설을 반박했다. 유전에서 볼 수 있는 갑작스런 변화인 돌연변이에 대한 개념은 20세기초에 도입되었다. 뒤이어 미국과 영국에서, 곤충의 염색체에 의한 성(性) 결정과 완두 염색체의 유전자 연관에 대한 발견이 이루어졌다.
1908년 영국의 수학자 하디와 독일의 물리학자 바인베르크는 이른바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을 공식화하여 집단유전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1909년 영국에서 기형의 원인인 유전자 유도효소 결핍증을 발견한 것에 힘입어 생화학적 유전학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미국의 유전학자 허먼 J. 멀러는 1927년 X선을 사용하여 초파리의 돌연변이를 유도했다. 조지 W. 비글과 E. 테이텀은 빵곰팡이속(Neurospora)의 붉은 빵곰팡이(N. crassa)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대부분의 유전자들이 효소의 합성을 지시하는 기능을 하고 이것이 곧 유전형질을 발현하는 것임을 증명했다. 1944년 DNA가 유전물질임이 밝혀졌고. 1953년 J.
추천자료
[구약신학] 창세기 3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귀향과 미스바 언약
[구약신학] 창세기 3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얍복강 씨름
[구약신학] 창세기 3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에서 곧 에돔의 후손들
[구약신학] 창세기 3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요셉의 꿈과 애굽으로 팔려간 ...
[구약신학] 창세기 3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보디발 아내의 유혹과 요셉의 ...
[구약신학] 창세기 3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디나 강간 사건과 세겜성 노략
[구약신학] 창세기 2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결혼과 그의 처가살이
[구약신학] 창세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리브가 사건과 이삭의 우물
[구약신학] 창세기 21장 주해와 적용(이삭의 출생과 이스마엘의 축출)
[구약신학] 창세기 4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애굽에 정착한 하나님의 선민(...
[구약신학] 창세기 4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 가족의 애굽 이주
[구약신학] 레위기 1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 도덕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선민 이스라엘의 법도와 사회 ...
[구약신학] 레위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사형에 해당되는 여러 범죄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