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이사야의 종말론의 시대적 배경
1. 웃시야의 시대
2. 요담의 시대
3. 아하스의 시대
4. 히스기야의 시대
제3장 이사야의 종말론
1. 구약과 이사야의 종말론의 일반적 이해
2. 이사야에 나타난 종말론의 주제들
제4장 결론
1. 이사야 종말론의 특징과 양태
2. 이사야 종말론의 역사적 전망
제2장 이사야의 종말론의 시대적 배경
1. 웃시야의 시대
2. 요담의 시대
3. 아하스의 시대
4. 히스기야의 시대
제3장 이사야의 종말론
1. 구약과 이사야의 종말론의 일반적 이해
2. 이사야에 나타난 종말론의 주제들
제4장 결론
1. 이사야 종말론의 특징과 양태
2. 이사야 종말론의 역사적 전망
본문내용
세력권 안에 들어간다. 아하스왕은 자기를 구원할 자는 오직 앗수르뿐이라고 생각하려 했다. 그때 이사야 선지자는 왕에게 권면한다. 하지만 아하스는 전혀 믿지 않았다. 또한 블레셋과 에돔의 공격을 받았을 때에도 그는 이사야 선지자의 말을 믿지 않았다. 오히려 앗수르왕에게 조공을 받치게 되었지만 오히려 역효과만 나게 되었다. 그로인하여 온 백성들은 괴롭게 되었고, 아하스왕은 온갖 우상을 다시 만들기 시작했다. 더욱이 예루살렘에 앗수르식의 제단을 도입하기에 이르게된다. 그로인해 이사야선지자가 선포한대로 유다왕국은 암흑과 같았다.
4. 히스기야의 시대
히스기야왕은 아하스왕과 근본적으로 달랐다. 그는 종교 개혁을 감행하고, 아하스왕 때 실추되었던 국위를 어느 정도 회복하였다. 또한 사르곤의 공격을 받게될 위기였음에도 이사야의 권면을 듣고 지혜롭게 피할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산헤립의 포위공격으로 위기가 다시 찾아오게 되고 이때도 역시 이사야의 예언으로 인하여 그말을 듣고 행하여 산헤립왕은 떠나가게 되었다. 이사야 후기엔 바벨론이 강력한 나라로 부각되기 시작한 시점이다.
제3장 이사야의 종말론
1. 구약과 이사야의 종말론의 일반적 이해
종말론이란 성경의 한 부분이나 구석에서만 찾아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말론이란 성경 전체의 메시지에 일관하여 면면히 흐르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자유주의 견해를 가진 어떤 학자들은 종종 주장하기를 구약에는 종말론적 사고가 거의 없다고 한다. 물론 구약의 저자들이 현재 우리가 “미래의 종말론”이라고 부르는 죽은 후의 생활, 그리스도의 재림, 최후의 심판 등의 이런 주제들에 관하여 분명한 가르침을 주지는 않지만, 좀더 넓은 의미에서 살펴볼 때 구약은 처음부터 끝까지 종말론적인 성향을 뛰고 있다. 구약의 종말론에서 첫째로, 중요한 개념은 장차 오실 구속자에 대한 메시야 사상이다. 둘째, 구약의 종말론적 개관을 표현해 주는 또 다른 개념은 “하나님의 나라” 또는 “하나님의 왕국”이다. 셋째, “새언약”이다. 넷째, 반역과 불순종과 우상 섬김에 깊이 빠진 이스라엘 백성의 회복이다. 다섯째, “주의날”이다.
2. 이사야에 나타난 종말론의 주제들
(1) 여호와의 날
이사야 선지자가 선포한 여호와의 날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사야는 여호와의 날을 창조, 보존, 그리고 구원이라는 하나님의 전체적인 역사 궤도 속에서 이해하였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하나님의 거룩한 의지에 대적하는 인간의 죄는 가차없이 심판을 받게 되는데 이 심판은 단순히 이스라엘의 적들 위에 임하는 심판이 아니라 하나님께 대적하는 모든사람에게 내리는 심판으로서 이스라엘뿐 아니라 온 우주, 온 세상을 포함하는 종말론적 심판이다. 이와 같은 심판의 선포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구원의 희망이 예언자에 의해서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데 그 주제는 여호와의 은혜의 해, 즉 이스라엘이 다시 회복되어 다윗의 통치 밑에서 영원히 보존된다는 미래에의 전망이다. 그러난 이와 같은 구원의 기대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금까지 고소해온 바, 자기 중심적인 사상과는
4. 히스기야의 시대
히스기야왕은 아하스왕과 근본적으로 달랐다. 그는 종교 개혁을 감행하고, 아하스왕 때 실추되었던 국위를 어느 정도 회복하였다. 또한 사르곤의 공격을 받게될 위기였음에도 이사야의 권면을 듣고 지혜롭게 피할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산헤립의 포위공격으로 위기가 다시 찾아오게 되고 이때도 역시 이사야의 예언으로 인하여 그말을 듣고 행하여 산헤립왕은 떠나가게 되었다. 이사야 후기엔 바벨론이 강력한 나라로 부각되기 시작한 시점이다.
제3장 이사야의 종말론
1. 구약과 이사야의 종말론의 일반적 이해
종말론이란 성경의 한 부분이나 구석에서만 찾아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말론이란 성경 전체의 메시지에 일관하여 면면히 흐르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자유주의 견해를 가진 어떤 학자들은 종종 주장하기를 구약에는 종말론적 사고가 거의 없다고 한다. 물론 구약의 저자들이 현재 우리가 “미래의 종말론”이라고 부르는 죽은 후의 생활, 그리스도의 재림, 최후의 심판 등의 이런 주제들에 관하여 분명한 가르침을 주지는 않지만, 좀더 넓은 의미에서 살펴볼 때 구약은 처음부터 끝까지 종말론적인 성향을 뛰고 있다. 구약의 종말론에서 첫째로, 중요한 개념은 장차 오실 구속자에 대한 메시야 사상이다. 둘째, 구약의 종말론적 개관을 표현해 주는 또 다른 개념은 “하나님의 나라” 또는 “하나님의 왕국”이다. 셋째, “새언약”이다. 넷째, 반역과 불순종과 우상 섬김에 깊이 빠진 이스라엘 백성의 회복이다. 다섯째, “주의날”이다.
2. 이사야에 나타난 종말론의 주제들
(1) 여호와의 날
이사야 선지자가 선포한 여호와의 날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사야는 여호와의 날을 창조, 보존, 그리고 구원이라는 하나님의 전체적인 역사 궤도 속에서 이해하였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하나님의 거룩한 의지에 대적하는 인간의 죄는 가차없이 심판을 받게 되는데 이 심판은 단순히 이스라엘의 적들 위에 임하는 심판이 아니라 하나님께 대적하는 모든사람에게 내리는 심판으로서 이스라엘뿐 아니라 온 우주, 온 세상을 포함하는 종말론적 심판이다. 이와 같은 심판의 선포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구원의 희망이 예언자에 의해서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데 그 주제는 여호와의 은혜의 해, 즉 이스라엘이 다시 회복되어 다윗의 통치 밑에서 영원히 보존된다는 미래에의 전망이다. 그러난 이와 같은 구원의 기대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금까지 고소해온 바, 자기 중심적인 사상과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