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연구목적, 기간, 방법
2.문헌고찰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수술종류및 수술법, 수술 전 후 관리
3.사례연구
-기초자료 수집, 치료(MEDI, INJECTION), 의미있는 자료, 진단, 계획, 수행, 평가
4.결론
-연구목적, 기간, 방법
2.문헌고찰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수술종류및 수술법, 수술 전 후 관리
3.사례연구
-기초자료 수집, 치료(MEDI, INJECTION), 의미있는 자료, 진단, 계획, 수행, 평가
4.결론
본문내용
십이지장 봉합부위 누출 (Duodenal stump leakage): Billoth Ⅱ문합술로 남겨진 십이지 장 봉합부위에서 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흔히 수술 후 4-6일 사이에 나타난다. 대상자는 어깨로 방사되는 심한 상복부 통증과 복부강직, 고열 및 백혈구 증가를 보인다. 담즙이 섞인 배액이 있으며 자연적으 로 누출부위가 닫히지 않으면 4-6주 이내에 수술을 해야 한다.
4) 위정체 (Gastric retention): 내시경을 통한 풍선 확장술이 시행되며 증상이 좋아지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하다.
5) 급속 이동 증후군 : 식사 중 또는 식후 5-30분에 나타나고 증상은 20-60분까지 계속 된다. 증상은 고농도 음식이 위에서 소화되거나 희석되지 않고 공장내로 직접 빠르게 들어감으로써 일어난다. 공장의 분비액보다 고장성인 유미즙 은 혈류에서 공장내부로 수분을 끌어들여 혈액량을 감소시켜 저혈압을 일으킨다. 이 반응은 설탕 섭취 후 더 높게 나타나는데 설탕이 삼투 활동이 가장 큰 음식이기 때문이다. 급속한 위배출과 소장으로의 유미즙 배출은 심한 위 산통반사를 일으키고 설사, 충만감 및 불편감을 일으킨다.
<<급속 이동증후군의 간호지침>>
증상- 허약, 현기증, 발한, 빈맥, 심계항진, 충만감이나 불편감, 오심, 설사,
관리- 예방이 최선이고, 소량씩 자주 식사, 중간 정도의 지방과 고단백 식이, 탄수화물 제한, 매우 뜨겁거나 찬음식과 음료를 피한다. 식후 20-30분간 측위로 휴식하고, 항 콜린성이나 항경련성 약물을 투여한다.
6) 흡수불량 및 십이지장 Loop증후군 (Blind loop syndrome): 위산분비 감소, 췌장효소 감소 및 상부 위장운동의 증가로 인해 지방의 흡수불량이 초래다. Billroth Ⅱ 위절제술 후 폐쇄된 십이지장내에 음식이 정체되어 세균이 증식한다. 박테리아는 담즙염을 분해 시켜 지방소화를 어렵게 하여 환자는 지방 설사, 설사 및 체중감소를 일으키고 지용성 비타민 결핍이 나타날 수 있다. 항생제나 췌장효소를 투여하며 Billroth Ⅱ를 Billroth Ⅰ문합술로 바꾸기 위한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사례연구
1. 기초 자료 수집
1) 간호력
a. 인적사항
이름: 김○○
성별: male
나이: 49세
종교: 無
직업: 용접
흡연: 無
음주: 소주- 한번에 1병, 한달에 4번
입원일자: 2005년 10월 17일 오후 2시 20분
입원경로: 외래
입원방법: 도보
의학적 진단: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HTN
정보제공자: 본인
<가계도 및 가족병력>
● ■
□
b. 신체사정(입원 당시)
시진: 기형없고, 색소침착 없음.
청진: 이상 없음.
시력: 이상 없음.
-신체측정
체중: 160㎝
신장: 59㎏
-활력징후
BP:100/50
P:60
T:36.7
c. 건강사정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내원이유
49세인 환자는 상기의 진단으로 2005년 9월 6일 Op받은 후 Follow up해 오다 10월 16일 어지럽다가 쓰러져서 1-2분 정도 누워 있다가 정신을 차려 병원으로 입원하심.
쓰러지다가 얼굴에 상처입음.
-영양-대사영양
식욕: 하루 3회, 식욕정상. 안으로 인해 소량 섭취
-소화기계
소화기 장애 : 없음(오심, 구토)
-호흡기계
호흡기 장애: 없음
-배설양상
대변 : 1회/1일로 설사나 변비, 동통 없음.
소변 : 5일에 4~5회.
-귀가 아픔(이비인후과 진료 받음)
(이 외의 다른 계통 이상 없음)
2)진단검사
8. 29 : 상부소화관 내시경 검사
식도-음식물 때문에 볼 수 없음
위-위각부에서 전정부에 이르는 부위에 중심부궤양을 동반한 주변부가 불규칙한 융기성 병변 관찰되며 유문부폐쇄 소견 보임.
Duodenum: 유문부폐쇄로 십이지장 진입 못함.
10.17~18: Chest PA, P-abd(e), dynamic CT, CBC, ele, BUN/u, PT/aptt, LFT, amylipa 검사를 하였다.
total protein이 정상치(6~8g/dl)보다 낮게(4.8~5.8) 나왔고,
Billirubin total이 정상치(<1.2mg/dl)보다 높게(1.3~1.6) 나왔다.
10.17~현재(10.25): 매일 지속적으로 WBC 검사를 하여 염증소견을 관찰하고 있다.
결과치: 평균 2000으로 정상 소견을 나타냄.
3) 대상자 치료현황
약 명
효능
부작용
투여방법
투여횟수
B-NORV (Norvasc) amlodipine besylate
고혈압, 심근성 허혈증
구강
1 x 2
퇴원시(9.30)
처방된 약
B-ART 5
Arotinolol
고혈압, 협심증,
빈맥성 부정맥
서맥, 동계, 두통, 설사, 구토, 현훈
구강
1 x 2
퇴원시(9.30)
처방된 약
B-PRD
Peridopril
tertbutylamine
ACE inhibitor로 고혈압, 심부전에 사용
적혈구, 혈소판 감소증, 가려움, 구역, 복통, 단백뇨
구강
1x2
B-TO2
Torasemide
이뇨제->본태성고혈압 치료, 울혈성 심부전에 기인한 부종치료 및 예방
두통, 졸음, 근육경련, 저칼륨 혈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구강
5mg x 1
퇴원시(9.30)
처방된 약
B-TDOL1
Tramadol HCL
비마약성 진통제,
급만성통증.
과민증, 호흡억제, 심계항진, 수기, 피로감, 두통, 배뇨곤란, 불쾌감, 오심, 구토
구강
1 x 2
B-LE
Levosulpiride
위장관의 myenteric
plexus 및 CNS에서 Da2수용체를 차단하여 위장관 운동 활성화
무월경, 여성형 유방, 지속형 유즙누출, 구갈, 속쓰림, 구역, 고혈압, 발진
1x3
10. 18
D/C
B-BOQ
Q-zyme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부팽만감, 과식, 식체
1X3
10. 18
D/C
약명
효능
부작용
투여방법
투여횟수
I-CSF
고형암 환자에서의 화학요법에 의한 호중구 감소증
발열, 권태감, 두통, 피로, 오한, 구역, 구토, 호흡곤란, 근육통, 소양증
SC
I-TVG
Clemastine
hydrogen flumarate
지속성 항 히스타민제(알레르기성 비염, 아나필락시스
4) 위정체 (Gastric retention): 내시경을 통한 풍선 확장술이 시행되며 증상이 좋아지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하다.
5) 급속 이동 증후군 : 식사 중 또는 식후 5-30분에 나타나고 증상은 20-60분까지 계속 된다. 증상은 고농도 음식이 위에서 소화되거나 희석되지 않고 공장내로 직접 빠르게 들어감으로써 일어난다. 공장의 분비액보다 고장성인 유미즙 은 혈류에서 공장내부로 수분을 끌어들여 혈액량을 감소시켜 저혈압을 일으킨다. 이 반응은 설탕 섭취 후 더 높게 나타나는데 설탕이 삼투 활동이 가장 큰 음식이기 때문이다. 급속한 위배출과 소장으로의 유미즙 배출은 심한 위 산통반사를 일으키고 설사, 충만감 및 불편감을 일으킨다.
<<급속 이동증후군의 간호지침>>
증상- 허약, 현기증, 발한, 빈맥, 심계항진, 충만감이나 불편감, 오심, 설사,
관리- 예방이 최선이고, 소량씩 자주 식사, 중간 정도의 지방과 고단백 식이, 탄수화물 제한, 매우 뜨겁거나 찬음식과 음료를 피한다. 식후 20-30분간 측위로 휴식하고, 항 콜린성이나 항경련성 약물을 투여한다.
6) 흡수불량 및 십이지장 Loop증후군 (Blind loop syndrome): 위산분비 감소, 췌장효소 감소 및 상부 위장운동의 증가로 인해 지방의 흡수불량이 초래다. Billroth Ⅱ 위절제술 후 폐쇄된 십이지장내에 음식이 정체되어 세균이 증식한다. 박테리아는 담즙염을 분해 시켜 지방소화를 어렵게 하여 환자는 지방 설사, 설사 및 체중감소를 일으키고 지용성 비타민 결핍이 나타날 수 있다. 항생제나 췌장효소를 투여하며 Billroth Ⅱ를 Billroth Ⅰ문합술로 바꾸기 위한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사례연구
1. 기초 자료 수집
1) 간호력
a. 인적사항
이름: 김○○
성별: male
나이: 49세
종교: 無
직업: 용접
흡연: 無
음주: 소주- 한번에 1병, 한달에 4번
입원일자: 2005년 10월 17일 오후 2시 20분
입원경로: 외래
입원방법: 도보
의학적 진단: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HTN
정보제공자: 본인
<가계도 및 가족병력>
● ■
□
b. 신체사정(입원 당시)
시진: 기형없고, 색소침착 없음.
청진: 이상 없음.
시력: 이상 없음.
-신체측정
체중: 160㎝
신장: 59㎏
-활력징후
BP:100/50
P:60
T:36.7
c. 건강사정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내원이유
49세인 환자는 상기의 진단으로 2005년 9월 6일 Op받은 후 Follow up해 오다 10월 16일 어지럽다가 쓰러져서 1-2분 정도 누워 있다가 정신을 차려 병원으로 입원하심.
쓰러지다가 얼굴에 상처입음.
-영양-대사영양
식욕: 하루 3회, 식욕정상. 안으로 인해 소량 섭취
-소화기계
소화기 장애 : 없음(오심, 구토)
-호흡기계
호흡기 장애: 없음
-배설양상
대변 : 1회/1일로 설사나 변비, 동통 없음.
소변 : 5일에 4~5회.
-귀가 아픔(이비인후과 진료 받음)
(이 외의 다른 계통 이상 없음)
2)진단검사
8. 29 : 상부소화관 내시경 검사
식도-음식물 때문에 볼 수 없음
위-위각부에서 전정부에 이르는 부위에 중심부궤양을 동반한 주변부가 불규칙한 융기성 병변 관찰되며 유문부폐쇄 소견 보임.
Duodenum: 유문부폐쇄로 십이지장 진입 못함.
10.17~18: Chest PA, P-abd(e), dynamic CT, CBC, ele, BUN/u, PT/aptt, LFT, amylipa 검사를 하였다.
total protein이 정상치(6~8g/dl)보다 낮게(4.8~5.8) 나왔고,
Billirubin total이 정상치(<1.2mg/dl)보다 높게(1.3~1.6) 나왔다.
10.17~현재(10.25): 매일 지속적으로 WBC 검사를 하여 염증소견을 관찰하고 있다.
결과치: 평균 2000으로 정상 소견을 나타냄.
3) 대상자 치료현황
약 명
효능
부작용
투여방법
투여횟수
B-NORV (Norvasc) amlodipine besylate
고혈압, 심근성 허혈증
구강
1 x 2
퇴원시(9.30)
처방된 약
B-ART 5
Arotinolol
고혈압, 협심증,
빈맥성 부정맥
서맥, 동계, 두통, 설사, 구토, 현훈
구강
1 x 2
퇴원시(9.30)
처방된 약
B-PRD
Peridopril
tertbutylamine
ACE inhibitor로 고혈압, 심부전에 사용
적혈구, 혈소판 감소증, 가려움, 구역, 복통, 단백뇨
구강
1x2
B-TO2
Torasemide
이뇨제->본태성고혈압 치료, 울혈성 심부전에 기인한 부종치료 및 예방
두통, 졸음, 근육경련, 저칼륨 혈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구강
5mg x 1
퇴원시(9.30)
처방된 약
B-TDOL1
Tramadol HCL
비마약성 진통제,
급만성통증.
과민증, 호흡억제, 심계항진, 수기, 피로감, 두통, 배뇨곤란, 불쾌감, 오심, 구토
구강
1 x 2
B-LE
Levosulpiride
위장관의 myenteric
plexus 및 CNS에서 Da2수용체를 차단하여 위장관 운동 활성화
무월경, 여성형 유방, 지속형 유즙누출, 구갈, 속쓰림, 구역, 고혈압, 발진
1x3
10. 18
D/C
B-BOQ
Q-zyme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부팽만감, 과식, 식체
1X3
10. 18
D/C
약명
효능
부작용
투여방법
투여횟수
I-CSF
고형암 환자에서의 화학요법에 의한 호중구 감소증
발열, 권태감, 두통, 피로, 오한, 구역, 구토, 호흡곤란, 근육통, 소양증
SC
I-TVG
Clemastine
hydrogen flumarate
지속성 항 히스타민제(알레르기성 비염, 아나필락시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