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의적 정신에 의한 ‘현실의 탈마술화’에 대응하는 발전 경향을 보여주었다면, 그 원인의 일부는 복제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미술품이 교환할 수도 대체할 수도 없는 유일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중세와 근대를 분리시키는 경계는 중세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 즉 화폐경제가 다시 활기를 띠고 새로운 도시들이 생겨나며 근대 시민계급이 뚜렷한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하는 12세기 말경으로 잡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이딸리아가 경제적 합리주의로 유럽 자본주의 발전의 서두를 장식했던 것처럼 예술에서도 이딸리아 예술은 통일성의 원리에 의해서 유럽 르네쌍스와 고전주의 발전의 시초를 이루었다. 르네쌍스의 예술감상자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도시의 시민계급과 왕후들이 살던 궁정사회이다. 꾸아뜨로첸또 말기에 가서는 도덕적, 시민적인 예술과 기사적, 낭만적인 예술이 서로 뒤엉켜서 피렌쩨(플로렌스) 예술과 같이 철저히 시민적인 예술까지도 다소는 궁정적 성격을 띠게 된다. 15세기 초반부터 평화와 안정 속에서 피렌쩨는 새로운 번영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순조로운 항해가 지속되었다. 지오또는 이딸리아에서 자연주의의 최초의 거장으로 르네쌍스 시대의 저술가 빌라니와 보까치오 그리고 바자리(G. Vasari)까지도 지오또의 충실한 자연묘사가 동시대인에게 끼친 엄청남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꾸아뜨로첸또에는 세기 말엽까지 이딸리아의 가장 중요한 예술중심지였던 피렌쩨 이외에 예술을 보호육성시킨 페라라, 만뚜아, 우르비노의 궁정들과 같은 새로운 예술중심지가 생겨났다. 르네쌍스는 비민중적이고 라띤화된 교양 엘리뜨의 문화였다. 르네쌍스의 중요한 예술품들은 이러한 계층을 대상으로 만들어졌다. 초기 르네쌍스의 예술가 아뜰리에는 아직도 수공업자조합이나 길드의 작업장이 지녔던 공동체 의식에 의해 운영되었다. 이딸리아에서는 유능한 예술가들을 자기 궁정으로 끌어들이는데 큰 가치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예술가들은 자연히 길드의 제약에서 해방되어야만 했다. 화가와 조각가가 길드로부터 해방되고 수공업자의 위치에서 시인과 학자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었다. 르네쌍스의 예술관에서 근본적으로 새로운 것은 천재 개념의 발견이다. 천재 개념이 예술가의 입장에서 주관적 형식으로 표현된 생각이라면, 반대로 작품의 입장에서 객관적 형식으로 표현하면 곧 예술의 자율성이라는 개념이 된다. 정신적인 형성물의 자율성이란 정신의 자발성과 맞먹는 개념인 것이다. 라파엘로의 ‘아테네의학당’ 이나 미
중세와 근대를 분리시키는 경계는 중세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 즉 화폐경제가 다시 활기를 띠고 새로운 도시들이 생겨나며 근대 시민계급이 뚜렷한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하는 12세기 말경으로 잡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이딸리아가 경제적 합리주의로 유럽 자본주의 발전의 서두를 장식했던 것처럼 예술에서도 이딸리아 예술은 통일성의 원리에 의해서 유럽 르네쌍스와 고전주의 발전의 시초를 이루었다. 르네쌍스의 예술감상자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도시의 시민계급과 왕후들이 살던 궁정사회이다. 꾸아뜨로첸또 말기에 가서는 도덕적, 시민적인 예술과 기사적, 낭만적인 예술이 서로 뒤엉켜서 피렌쩨(플로렌스) 예술과 같이 철저히 시민적인 예술까지도 다소는 궁정적 성격을 띠게 된다. 15세기 초반부터 평화와 안정 속에서 피렌쩨는 새로운 번영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순조로운 항해가 지속되었다. 지오또는 이딸리아에서 자연주의의 최초의 거장으로 르네쌍스 시대의 저술가 빌라니와 보까치오 그리고 바자리(G. Vasari)까지도 지오또의 충실한 자연묘사가 동시대인에게 끼친 엄청남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꾸아뜨로첸또에는 세기 말엽까지 이딸리아의 가장 중요한 예술중심지였던 피렌쩨 이외에 예술을 보호육성시킨 페라라, 만뚜아, 우르비노의 궁정들과 같은 새로운 예술중심지가 생겨났다. 르네쌍스는 비민중적이고 라띤화된 교양 엘리뜨의 문화였다. 르네쌍스의 중요한 예술품들은 이러한 계층을 대상으로 만들어졌다. 초기 르네쌍스의 예술가 아뜰리에는 아직도 수공업자조합이나 길드의 작업장이 지녔던 공동체 의식에 의해 운영되었다. 이딸리아에서는 유능한 예술가들을 자기 궁정으로 끌어들이는데 큰 가치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예술가들은 자연히 길드의 제약에서 해방되어야만 했다. 화가와 조각가가 길드로부터 해방되고 수공업자의 위치에서 시인과 학자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었다. 르네쌍스의 예술관에서 근본적으로 새로운 것은 천재 개념의 발견이다. 천재 개념이 예술가의 입장에서 주관적 형식으로 표현된 생각이라면, 반대로 작품의 입장에서 객관적 형식으로 표현하면 곧 예술의 자율성이라는 개념이 된다. 정신적인 형성물의 자율성이란 정신의 자발성과 맞먹는 개념인 것이다. 라파엘로의 ‘아테네의학당’ 이나 미
추천자료
1960년대 순수문학과 참여문학의 논쟁
북한문학사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실학파와 연암문학)
문학적 접근법의 교수 전략 - Moen이 제시한 문학적 접근을 위주로
유아문학이란 무엇인가, 유아의 발달 특성과 유아문학
문학교육과 문학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문학교육 방법론][인권교육 방법론][현장교육연구 방법론][국어교육 방법론][기업교육 방법...
문학 영역 ․ 문학 과목
인문예술 창조경영-예술교양 쌓기
[문학] 서정주 시문학에 대해 -1930년대를 중심으로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4공통] 오페라는 서양의 대표적인 공연예술입니다. 오페라의 역사를 간...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 2017/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적 정리에 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