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철학의 정의 -
1. 진보주의 -
배경, 교육원리, 정의, 교육에 대한 관점, 교육의 본질, 한국교육에 미친 영향, 비판, 대표적 사상가,진보주의 교육협회의 강령
2. 본질주의 -
"
3. 항존주의 -
"
4. 재건주의 -
"
1. 진보주의 -
배경, 교육원리, 정의, 교육에 대한 관점, 교육의 본질, 한국교육에 미친 영향, 비판, 대표적 사상가,진보주의 교육협회의 강령
2. 본질주의 -
"
3. 항존주의 -
"
4. 재건주의 -
"
본문내용
(3)교사는 민주적인 방법으로 학생들을 설득시켜야 하고, 교육자들은 게으름을 부림이 없이 그들이 맡은 바 과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4)학생, 학교, 교육 그 자체는 사회적 문화적 힘에 의해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즉 교육은 '사회적 자아실현'인 것이다.
(5)교육의 수단과 목적은 행동과학에 의해서 발견된 결과에 따라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3. 재건주의의 교육원리
(1)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사회를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정하는 데 있다. 사회가 변화되어야 한다고 보지만 , 그것은 정치적 행위로서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2) 새로운 사회는 진정으로 민주적인 사회가 되어야 하며, 그 사회의 주요 기관들이나 자원들은 국민 스스로가 통제하여야 한다. 이상적인 사회는 민주적인 사회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 역시 민주적인 방법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사회질서의 목적, 구조, 정책 등은 가능한 한 국민다수의 지지기반하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3) 교사는 문화적 재건주의자들의 견해의 확실성과 합법성에 대해서 민주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학생을 설득시켜야만 한다.
(4) 아동 학교 교육 그 자체는 사회적, 문화적인 힘에 의해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즉 교육은 사회적 자아실현인 그것을 통해 개인의 사회적 본성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사회 계획에 참여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물론 진보주의도 교육의 문화적, 사회적 성격 및 협동적 성격 배양을 중시하였지만 근본적으로는 개인주의적 입장에서 아동의 자유를 강조한 반면에, 재건주의에서는 아동 학교 교육이 사회화 문화에 의해 규정되어야 한다고 보고 본질주의자들이 말하는 자아실현을 사회적 자아실현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5) 교육의 수단과 목적은 현대의 문화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재구성되어야 하며, 행동과학에 의해서 발견된 연구결과에 따라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4. 비판
(1)교육의 목적과 수단은 행동과학에 의해서 행동과학에 의해서 발견된 결과에 따라서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했는데, 심리학자들끼리도 지금 사회현실에서 요구되는 행동의 종류에 대해 의견을 같이하지 않고 있다. -> 행동과학을 지나치게 신뢰
(2)행동과학은 '인간으로서 받아들여야 할 가장 좋은 가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나, '어떠한 사회제도가 가장 좋은 가치를 실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변하지 못하고 있다.
(3)교육의 힘만으로 새로운 사회질서의 수립이 가능할 지 의문이다.
(4)너무나 이상주의적이어서 새로운 사회질서 확립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5. 대표적 교육사상가
브라멜드, 카운츠, 버크손 등
* 본질주의와 항존주의의 다른 점 *
1.본질주의는 항존주의처럼 전적으로 '지적' 교육만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본질주의는 어떤 상상적인 영원한 진리보다는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적응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2.본질주의는 진보주의가 교육 방법에 미친 공헌을 적극적으로 기꺼이 받아 들이다는 점에서 항존주의와 다르다.
3.항존주의자는 과거의 위대한 창조적 업적을 인가의 보편적 통찰에 대한 영원한 표현으로 숭배한데 비하여, 본질주의자는 그러한 인류의 업적을 오늘날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지식의 자료로 이용한다.
4.본질주의는 학문의 훈련성, 교사의 주도성, 문화유산의 승계성, 교육의 조직성 등을 강조했고, 항존주의는 목적의 동일성, 극기 수련성, 진리동경성, 이상적이 삶 추구성, 교양교육성, 고전 독서 계획성 등을 강조하였다.
★ 참고 문헌 ★
교육학 총론. 노희관. 이용남외 14인 교육과학사. 1993
교육학. 원종열. 삼영서관. 1994
(4)학생, 학교, 교육 그 자체는 사회적 문화적 힘에 의해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즉 교육은 '사회적 자아실현'인 것이다.
(5)교육의 수단과 목적은 행동과학에 의해서 발견된 결과에 따라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3. 재건주의의 교육원리
(1)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사회를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정하는 데 있다. 사회가 변화되어야 한다고 보지만 , 그것은 정치적 행위로서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2) 새로운 사회는 진정으로 민주적인 사회가 되어야 하며, 그 사회의 주요 기관들이나 자원들은 국민 스스로가 통제하여야 한다. 이상적인 사회는 민주적인 사회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 역시 민주적인 방법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사회질서의 목적, 구조, 정책 등은 가능한 한 국민다수의 지지기반하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3) 교사는 문화적 재건주의자들의 견해의 확실성과 합법성에 대해서 민주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학생을 설득시켜야만 한다.
(4) 아동 학교 교육 그 자체는 사회적, 문화적인 힘에 의해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즉 교육은 사회적 자아실현인 그것을 통해 개인의 사회적 본성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사회 계획에 참여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물론 진보주의도 교육의 문화적, 사회적 성격 및 협동적 성격 배양을 중시하였지만 근본적으로는 개인주의적 입장에서 아동의 자유를 강조한 반면에, 재건주의에서는 아동 학교 교육이 사회화 문화에 의해 규정되어야 한다고 보고 본질주의자들이 말하는 자아실현을 사회적 자아실현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5) 교육의 수단과 목적은 현대의 문화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재구성되어야 하며, 행동과학에 의해서 발견된 연구결과에 따라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4. 비판
(1)교육의 목적과 수단은 행동과학에 의해서 행동과학에 의해서 발견된 결과에 따라서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했는데, 심리학자들끼리도 지금 사회현실에서 요구되는 행동의 종류에 대해 의견을 같이하지 않고 있다. -> 행동과학을 지나치게 신뢰
(2)행동과학은 '인간으로서 받아들여야 할 가장 좋은 가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나, '어떠한 사회제도가 가장 좋은 가치를 실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변하지 못하고 있다.
(3)교육의 힘만으로 새로운 사회질서의 수립이 가능할 지 의문이다.
(4)너무나 이상주의적이어서 새로운 사회질서 확립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5. 대표적 교육사상가
브라멜드, 카운츠, 버크손 등
* 본질주의와 항존주의의 다른 점 *
1.본질주의는 항존주의처럼 전적으로 '지적' 교육만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본질주의는 어떤 상상적인 영원한 진리보다는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적응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2.본질주의는 진보주의가 교육 방법에 미친 공헌을 적극적으로 기꺼이 받아 들이다는 점에서 항존주의와 다르다.
3.항존주의자는 과거의 위대한 창조적 업적을 인가의 보편적 통찰에 대한 영원한 표현으로 숭배한데 비하여, 본질주의자는 그러한 인류의 업적을 오늘날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지식의 자료로 이용한다.
4.본질주의는 학문의 훈련성, 교사의 주도성, 문화유산의 승계성, 교육의 조직성 등을 강조했고, 항존주의는 목적의 동일성, 극기 수련성, 진리동경성, 이상적이 삶 추구성, 교양교육성, 고전 독서 계획성 등을 강조하였다.
★ 참고 문헌 ★
교육학 총론. 노희관. 이용남외 14인 교육과학사. 1993
교육학. 원종열. 삼영서관. 199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