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에 대하여
학습목표 :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에 대하여 알아보자.
목차
제1장 서론 (1~3페이지)
1.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의 정의
2.문화 상대주의의 배경
제2장 본론 (3~6페이지)
1.문화상대주의 예)
1) 고기에 대한 여러 나라의 예
2) 보신탕
3) 인도의 사티
2. 상대주의적 윤리설에 대한 평가
3.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한계
1)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
2) 폐쇄적인 문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3) 보아스 학파의 문화 결정주의. 보아스 학파의 문화 결정주의(cultural determinism of Boasian school)는 그 자체 바로 문화 상대주의이다.
4) 문화 상대주의 개념은 현대 인류학에서 점점 더 공격에 직면하게 되었다.
5) 문화 상대주의 개념이 야기하는 중대한 문제점은 문화 상대주의가 인류학자들로 하여금 사회와 문화의 비교일반화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세우지 못하게 한다는 점이다.
제3장 결론 (6~7페이지)
1.나의 생각
학습목표 :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에 대하여 알아보자.
목차
제1장 서론 (1~3페이지)
1.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의 정의
2.문화 상대주의의 배경
제2장 본론 (3~6페이지)
1.문화상대주의 예)
1) 고기에 대한 여러 나라의 예
2) 보신탕
3) 인도의 사티
2. 상대주의적 윤리설에 대한 평가
3.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한계
1)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
2) 폐쇄적인 문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3) 보아스 학파의 문화 결정주의. 보아스 학파의 문화 결정주의(cultural determinism of Boasian school)는 그 자체 바로 문화 상대주의이다.
4) 문화 상대주의 개념은 현대 인류학에서 점점 더 공격에 직면하게 되었다.
5) 문화 상대주의 개념이 야기하는 중대한 문제점은 문화 상대주의가 인류학자들로 하여금 사회와 문화의 비교일반화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세우지 못하게 한다는 점이다.
제3장 결론 (6~7페이지)
1.나의 생각
본문내용
판단
에틱적 모델로서 설명한다는 것은 특정의 민족지적 맥락에 구애받지 않고 가설이나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화 상대주의 입장은 원주민의 관점에서, 곧 에믹적 모델로서(in terms of informants' or emic models)민족지적 자료들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에틱적 모델의 사용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일부 인류학자들은 문화 상대주의 개념에 동조해서에틱적 모델의 사용과 같은 과학적 일반화는 불가능하고, 인류학이 할 수 있는 것은 특정 문화의 서술과 해석의 작업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여러 사회체계들에서 사회구조나 역사적 과정의 규칙성과 법칙을 찾는 일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Ⅲ.결론
지금 현재 시점은 과학 기술의 발달과 통신의 발달 등으로 인해 각 지역 간국가간의 제약은 사라지고, 상호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는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장애가 될것이다. 이러한 태도를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자문화 중심주의로서 자기의 문화를 가장 우수한 것으로 믿는 나머지, 자기 문화의 관점에서 다른 문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태도이다. 예컨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관습을 가진 문화권의 사람이 그런 관습을 가지지 않은 사회의 사람들을 비도덕적이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화적 사대주의- 주체성이 없이 세력이 큰나라나 세력권으로 그 존립을 유지하는 주의
문화적 시대주의로서 다른 어떤 사회의 문화만을 가장 좋은 것으로 믿고 그것을 동경하거나 숭상하는 나머지, 오히려 자기의 문화를 업신여기거나 낮게 평가하는 태도이다.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이러한 태도는 민족이나 국가를 단위로 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한 국가 안에서 지역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이러한 태도는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특정한 문화의 관점에서 다른 문화를 평가하면 왜곡된 해석을 내리기 쉬워서, 국제간의 상호 이해와 협조의 길을 모색하는 데도 큰 장애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자기 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창조적 통찰력을 얻는 데도 저해 요소가 된다.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개방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다른 문화를 흔히 접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문화의 우수성에 집착한 나머지 자문화 중심주의 -자기나라 문화가 최고이며 모든 것이 자기들을 중심으로 하여
세계 만방에 퍼져야 한다는 사상
자문화 중심주의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이는 사회 통합을 위한 수단이 될 수는 있지만 국제적인 고립을 자초할 수도 있다. 또, 문화적 사대주의는 문화적인 주체성을 상실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 또는 국가는 국제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다른 나라간의 경쟁의 우위를 점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이 되어야 할것이다. 또한 우리 문화의 주체성을 지키고 더욱더 우리 문화를 알리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에틱적 모델로서 설명한다는 것은 특정의 민족지적 맥락에 구애받지 않고 가설이나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화 상대주의 입장은 원주민의 관점에서, 곧 에믹적 모델로서(in terms of informants' or emic models)민족지적 자료들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에틱적 모델의 사용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일부 인류학자들은 문화 상대주의 개념에 동조해서에틱적 모델의 사용과 같은 과학적 일반화는 불가능하고, 인류학이 할 수 있는 것은 특정 문화의 서술과 해석의 작업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여러 사회체계들에서 사회구조나 역사적 과정의 규칙성과 법칙을 찾는 일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Ⅲ.결론
지금 현재 시점은 과학 기술의 발달과 통신의 발달 등으로 인해 각 지역 간국가간의 제약은 사라지고, 상호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는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장애가 될것이다. 이러한 태도를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자문화 중심주의로서 자기의 문화를 가장 우수한 것으로 믿는 나머지, 자기 문화의 관점에서 다른 문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태도이다. 예컨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관습을 가진 문화권의 사람이 그런 관습을 가지지 않은 사회의 사람들을 비도덕적이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화적 사대주의- 주체성이 없이 세력이 큰나라나 세력권으로 그 존립을 유지하는 주의
문화적 시대주의로서 다른 어떤 사회의 문화만을 가장 좋은 것으로 믿고 그것을 동경하거나 숭상하는 나머지, 오히려 자기의 문화를 업신여기거나 낮게 평가하는 태도이다.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이러한 태도는 민족이나 국가를 단위로 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한 국가 안에서 지역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이러한 태도는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특정한 문화의 관점에서 다른 문화를 평가하면 왜곡된 해석을 내리기 쉬워서, 국제간의 상호 이해와 협조의 길을 모색하는 데도 큰 장애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자기 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창조적 통찰력을 얻는 데도 저해 요소가 된다.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개방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다른 문화를 흔히 접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문화의 우수성에 집착한 나머지 자문화 중심주의 -자기나라 문화가 최고이며 모든 것이 자기들을 중심으로 하여
세계 만방에 퍼져야 한다는 사상
자문화 중심주의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이는 사회 통합을 위한 수단이 될 수는 있지만 국제적인 고립을 자초할 수도 있다. 또, 문화적 사대주의는 문화적인 주체성을 상실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 또는 국가는 국제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다른 나라간의 경쟁의 우위를 점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이 되어야 할것이다. 또한 우리 문화의 주체성을 지키고 더욱더 우리 문화를 알리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추천자료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관점
인신 희생 제의를 바라보는 각 문화의 관점
윤리경영의 실제 사례를 문화경영 관점에서 분석
영화 <<트로이>> 신화론적 문화론적 관점에서 고찰한 감상문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들이 충돌하는 문화현상에 대한 사례-민속문화와 외래문화의 생산...
정치연구방법의 의의 [정치문화적 관점]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매체환경변화 현상 고찰-기술적, 제도적, 사회■문화적 관점-
[언론학 개론]정치 문화적 관점으로 본 심의제도
구성주의 프로그램에 적합한 학습방법과 그것을 실천할 때 교사가 해야 할 역할 - 구성주의적...
아동 성폭력에 대해 생태학적 관점의 거시체계를 중심으로 현황과 영향, 사회적 배경과 원인(...
★★생물학,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풀어본 남녀의 성 인식 차이★★
남성의 성문화 - 성매매, 포르노, 성접대 (성매매 정의와 역사, 현황과 대책, 포르노 관점과 ...
공생적진화론,수간의 정의,고대 그리스 신화,중세 이슬람 문화,수간의 사례,수간의 문제점,유...
(현대의서양문화 A형) 18세기 계몽주의에 대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푸코, 하버마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