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에대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에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요의 개념과 특징.
2. 민요의 역사적 전개
3. 민요사 채록사 개관
4. 민요의 분류
5. 민요의 가창 방식
1) 되받기식
2) 메기고받기식
3) 주고받기식
4) 내리부르기식
6. 민요의 율격
1) 1음보율
2) 2음보율
3) 3음보율
4) 4음보율
7.민요의 구비시적 특성과 내용
8.민요의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의 작업결과는 각각 아래의 예를 시작으로 후속작업을 통해 거듭 발표되었다.
19) 임헌도 : 「민요에 나타난 제주도민의 생태」, 『국문학』제1호, 공주사대 1949.
20) 김영돈 : 「제주도민요에 있어서의 비유법 수사」, 『국어국문학과』22호, 국어국문학 회 1960, 8.
21) 정익섭 : 「흑산도민요소고」, 『전남대논문집』제7집, 전남대, 1962.
이와 함께 제2기에는 민요에 대한 제반의 문제를 총괄적으로 정리하고 체계화하려는 노력도 일어난다.
22) 주왕산 : 『조선민요개론』(프린트본), 중앙대학교. 1947.
23) 고정옥 : 『조선민요연구』, 서울, 수선가, 1949.
24) 임동권 : 『한국민요사』, 서울, 문창사, 1964.
제2기의 민요연구는 문제의식의 다각화와 세분화, 석사, 박사의 학위논문 배출, 민요의 개론적 정리와 사적 체계화 등 제1기의 다른 진전을 보인다. 이것은 적어도 그 외양에 있어서는 제2기에 들어서 민요연구의 학문적 기본 틀이 마련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연구의 실제적 내용에 있어서는 아직 개론적 성격을 크게 넘어서지 못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민요의 학문적 탐구는 제3기에 들어 본격화된다. 이 시기 민요연구의 주요 흐름은 총괄적 연구, 사설의 내용연구, 시학적 연구, 현장론적 연구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총괄적 연구는 전국, 또는 특정지역의 민요 전반을 대상으로 민요의 기능, 성격, 분류, 형식, 내용, 연구사 등 민요의 일반적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연구로 제3기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25) 장덕순 외 : 『구비문학개설』(민요편), 서울, 일조각, 1973.
26) 임동권 : 『한국민요연구』, 서울, 선명문화사, 1974.
27) 정동화 : 『한국민요의 사적연구』, 서울, 일조각, 1981.
28) 김영돈 : 『제주도민요연구』, 제주, 조약돌, 1983.
29) 김무헌 : 『한국민요문학론』, 서울, 집문당. 1987.
30) 최 철 : 『한국민요학』,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92.
총괄적 연구는 제2기의 주왕산, 고정옥 이래의 연구흐름을 이은 것으로, 대부분 고정옥의 작업을 보다 새롭게 보완하고, 확장시킨 것이다.
사설의 내용연구는 사설에 나타난 내용적 특성과 의식을 집중적으로 검토한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연구는 민요 연구자들이 제1기 이래 지속적으로 검토해 온 사항이며, 제3기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31) 임동권 : 『한국부요연구』, 서울, 집문당, 1982.
31) 김무헌 : 『한국노동민요론』, 서울, 집문당, 1986
32) 장관진 : 『한국민요에 나타난 가족의식연구』, 동아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8.
시학적 연구는 사설구성방식과 양식, 사설의 시적 구조와 특성 등에 주된 관심을 두고 민요를 검토한 작업이다.
33) 김대행 : 『한국시의 전통연구』, 서울, 개문사, 1981.
34) 고혜경 : 『정통민요 사설의 시적 성격연구』, 이화여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35) 좌혜경 : 『한국민요의 사설구조연구』, 중앙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36) 한채영 : 『구비시가의 구조연수』, 부산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현장론적 연구는 검토대상을 특정한 노래, 또는 노래群으로 한정하고, 각 노래, 또는 노래군의 기능, 성격, 구조, 사설의 구성방식과 내용적 특정 등을 현장적 문맥 위에서 파악해 보는 작업이다.
37) 조동일 : 『서사민요연구』, 계명대출판부, 1970.
38) 강등학 : 『정선아라리의 연구』, 서울, 집문당, 1988.
39) 류종목 : 『한국민간의식요연구』, 서울, 집문당, 1990.
40) 나승만 : 『전남지역의 들노래연구』, 전난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41) 이창식 : 『한국유희민요연구』, 동국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위의 논문들은 검토대상을 일정하게 한정하는 대신 그 자료는 현장적 실상이 다양하게 드러나는 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국의 민요를 대상으로 개론적 항목을 점검하여 얻었던 피상적 성과와 달리 이들 연구는 민요의 현장적 실상에 바탕을 둔 체계적인 논리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민요의 연구는 제1기의 입문적 단계를 거쳐, 제2기에서의 학문의 기초적틀이 만련되고, 제3기에 이르러 이론적 탐구가 본격화됨으로써 비로서 학문적 자리가 제대로 잡히게 됨.
4. 민요의 분류
*민요의 기능
①구호적(口號的) 작용 : 민요의 가창이 가창과 관련되는 동작에 구호적으로 작용하여 그 동작의 진행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을 말한다. 즉, \'하나, 둘, 셋, 넷....\' 하고 구호를 붙이으로써 리듬을 조절하고 행동 통일.
②자위적(自慰的) 작용 : 민요를 가창함으로써 가창 주체가 위로를 받고 즐거움을 느끼게 되는 것을 말한다. 즉, 민요는 그것을 가창하는 동안 즐거움과 함께 괴로움이나 고뇌를 씻어내는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됨.
③제의적(祭儀的) 작용 : 민요의 가창이 제의의 수행에 필수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그 내용과 형식을 규정하는 경우이다.
④주지적(主旨的) 작용 : 교훈적, 계세적, 목적적 의미의 전달에 주력하는 작용으로, \'참요\'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1)복합기능요(Functional song)
*분류단계 - 제1단계 : 기능의 종류와 단계에 따라 제1단계로부터 제4단계로까지로 분류 (분류명: ~요)
제2단계 : 제1단계 내에서의 기능의 종류에 따라 뷴류 (분류명 : ~요)
제3단계 : 제2단계 내에서의 기능의 종류에 따라 분류 (분류명: ~노래)
제4단계 : 기능요가 가창으로 실현되는 최하위 단위요에 해당
(분류명: ~(하)기소리, ~(하)는소리, ~소리)
(1)노동요
일을 하면서 그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부르는 민요이다. 민요에 따라서 행동을 통일하고 힘을 한데 모으기 위해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는 구호적 작용이 중심이 되지만, 민요를 부른다는 것 자체가 즐거운 일이므로 노래는 가창자에 대하여는 자위적 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노동요의 개념과 분류
민요는 노동요에서 비롯되었다 할 만큼, 노동요는 민요의 기본이 되며 주종을 이룬다. 노동을 할 때, 노동의 일정한 리듬에 동작을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11.1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