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안보전략과 대 한반도 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의 안보전략과 대 한반도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미국의 21세기 안보전략

3. 미국의 대 동북아 정책

4. 대(對)한반도 정책에의 파급효과

5. 결론

※용어정리※

본문내용

. 공화당의 전통적인 보수주의자들과도 노선이 구별되며, 오로지 힘을 바탕으로 불량국가에 대한 선제공격 등을 감행함으로써 미국이 훨씬 적극적으로 국제문제에 개입해 새 로운 국제질서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인물은 부시 정권의 핵심 인물인 체니 (Dick Cheney) 부통령, 럼스펠드(Donald Rumsfeld)국방부장관, 울포위츠(Paul Wolfowitz) 국방부 부장관, 리비(Louis Libby) 부통령 비서실장 등이다. 이밖에도 미국의 정계·언론계는 물론, 각종 싱크탱크 등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는 특히 유대인이 많 다.
국방백서(White Paper on Taiwan)-국민들에게 국방정책을 알리기 위해 국방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 형태의 책자. 국방정책에 대한 국민적 안보 공감대 형성과 국방정 책의 투명성 확보를 통한 국제적 신뢰 조성 및 군사협력 증진, 완 벽한 군사 대비태세 등 국방정책을 국민들에게 알릴 목적으로 국 방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 형태의 책자이다.
미사일방어(TMD)-적국(敵國)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동맹국 및 해외주둔 자국군을 보호하기 위한 미 국의 미사일 방어전략. 전역미사일방어체제라고도 한다. 적국으로부터 해외주둔 미 군과 동맹국을 향해 탄도미사일이 발사되면 발사 순간부터 정찰위성과 이지스함 등 으로 추격, 미사일을 발사해 격추시킨다는 방어 전략이다. 1980년대 초 R.레이건 행정부의 전략방위구상(SDI) 계획을 모태로 하였으며 1998년 8월 북한이 대륙간탄 도미사일인 대포동미사일을 실험 발사한 이후 표면화되었다.
다연장로켓포(MLRS)-여러 개의 발사통이 하나로 묶여져서 한 조작으로 동시에 많은 포탄을 발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로켓발사기.
이지스함-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한 함정.
이지스 시스템이란 목표의 탐색으로부터 이를 파괴하기까지의 전 과정을 하나의 시 스템에 포함시킨 미 해군의 최신종합무기 시스템이다.
인계철선-한반도에서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의 자동개입을 의미하는 군사용어. 인계철선은 전선(戰線)에서 침입해 오는 적들이 건드리면 폭발물이나 조명탄·신호탄 등을 터뜨려 적을 살상하거나 침입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철선(鐵線), 즉 폭발을 유도하는 가는 철선을 말한 다. 주한미군은 평상시 병력의 많고 적음을 떠나 북한이 남침할 때 예상되는 주요 접근로에 배치되어 있어 북한이 남한을 공격하려면 반드시 주한미군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북한이 남한을 공격하기 위해서는 미국을 공격하지 않으면 안 되고, 공격받은 미국은 전쟁 당사국 으로서 자동적으로 한반도 전쟁에 개입하게 된다. 인계철선이 한반도에서 위기상황이 발생 할 경우 미국의 자동개입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된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미국이 자동개입을 유도하는 인계철선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으로, 미국 국방성에서 이러한 자동개 입을 가리켜 군사적으로 인계철선이라고 규정하면서 널리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쟁 이 일어난 이후의 대처보다는 북한의 남침야욕을 저지함으로써 전쟁을 억제하려는 데 목적 이 있다. 그러나 2003년 3월 18일 미국은 인계철선 역할을 하는 미국 제2사단을 한강 이남 으로 이동한다고 밝히면서 \"인계철선이라는 말은 불공정한 말이며, 그 속뜻은 미국인이 먼저 피를 흘리지 않으면 한국을 방어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인계철선이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 용하지 않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도 이 인계철선 용어의 사용 여부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국방부에서도 같은 해 4월 현재 전후방이 따로 없는 현대전에서 인 계철선 개념은 의미가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11.1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