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전략]삼성전자 기업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전략]삼성전자 기업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삼성전자의 연혁

Ⅱ.삼성전자의 경영철학(기업관)

Ⅲ.삼성전자의 발전과정

Ⅳ.삼성전자의 경영전략

Ⅴ.삼성전자의 기술적측면

Ⅵ.삼성전자의 경쟁적측면

Ⅶ.삼성전자의 재무상태(분석)

Ⅷ.삼성전자의 사회공헌도

Ⅸ.삼성전자의 향후발전방향

본문내용

삼성전자
영업이익
51.4억 달러
59억 달러
순이익
35억 달러
48억 달러
연구개발비
(매출대비비중)
23억 달러
(8.5%)
15.8억 달러
(5.8%)
브랜드가치
(금액 환산치)
세계 5위
(3백85억 달러)
세계 43위
(52억 달러)
이동통신 단말기
세계시장점유율
(지난해 판매대수)
30.6%
(1억2천6백만대)
5.0%
(2천60만대)
직원 수
6만 명
6만6천명
주력사업
이동통신 단말기(73%)
장비(25%)
벤처투자(2%)
반도체(35%)
디지털미디어(29%)
정보통신(22%)
생활가전(9%)
다양한 제품의 장단점: 노키아에 비해 다양한 삼성전자의 제품군은 장점과 단점을 함께 갖고 있다. 투자를 한 곳에 집중할 수 없다는 점은 단점이나, 갈수록 두드러지는 이종 기술, 제품간의 결합 추세를 감안하면 다양성이 장점으로도 꼽힌다. 삼성전자는 \"처음에는 다각화한 사업구조가 부담스러웠다\" 면서 \"그러나 가전.컴퓨터가 이동통신과 합쳐지는 추세여서 이런 구조가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 말한다. 다만 지나친 반도체 의존은 삼성전자가 극복해야 할 부분이다. 반도체의 전체 매출 비중은 35%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전체 경상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를 넘어섰다. 이동통신.디지털 미디어 등 다른 사업부에서 수익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회사 내부에서도 일고 있다.
연구개발과 브랜드 파워 강화가 관건: 삼성전자의 연구개발비는 단연 한국최고 수준이나 노키아에는 못 미친다. 노키아와 삼성전자는 매출 규모가 비슷했지만 연구개발비는 9천억 원 이상 차이 났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의 비율도 노키아는 지난 5년간 8%대였으나 삼성은 6%를 밑돌았다. 삼성전자의 브랜드 파워도 노키아에 비해 약하다. 미국의 브랜드 가치 전문 조사기관인 인터브랜드의 조사에 따르면 삼성의 브랜드 가치는 52억 달러(세계 43위)인데, 이는 노키아(5위)의 7분의1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노키아의 가장 큰 장점은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인간적인 디자인\" 이라며 \"삼성전자가 작고 가벼운 중고가 휴대폰을 중심으로 시장을 넓혀가면 2003년께는 노키아, 모토로라와 함께 세계 3대 업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한다. 세계최대 광고대행사 WPP그룹은 \"삼성의 인지도는 세계적 수준이나 주력 상품이 너무 많아 브랜드 이미지가 분산되는 것이 문제\" 라며 \"이를 잘 관리해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해야 한다.\" 고 말한다.
Ⅶ. 삼성전자의 재무상태(분석)
대차대조표 (단위:백만원, %)
재무항목
2002년 12월
구성비
유동자산
12,079,994
35.1
고정자산
22,359,606
64.9
자산총계
34,439,600
100.0
유동부채
8,418,665
24.4
고정부채
1,710,645
5.0
부채총계
10,129,310
29.4
자본총계
24,340,290
70.6
손익계산서 (단위:백만원, %)
재무항목
2002년 12월
구성비
Ⅰ.매출액
40,511,563
100.0
Ⅱ.매출총이익
13,565,697
33.5
Ⅲ.판매비와 관리비
6,321,025
15.6
연구비,경상연구비
1,782,635
4.4
Ⅳ.영업이익(손실)
7,244,672
17.9
Ⅴ.영업외수익
2,498,657
6.2
Ⅵ.영업외비용
872,863
2.2
Ⅶ.경상이익(손실)
8,870,466
21.9
Ⅷ.당기순이익(손실)
7,051,761
17.4
※ 재무비율분석
건전성(안정성)- 건전성 비율로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비율을 살펴보면, 부채비율(부채/자 기자본)은 41.67% 이며,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본)은 70.59%로 비교적 안정적이면 서도 양호한 상태임.
유동성- 유동성이란 현금화성격의 개정간 비율로, 얼마나 빨리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 느냐는 것을 의미함. 삼성전자의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은 143.49%, 당좌비율(당 좌자산/유동부채)은 116.49%로 이 또한 비교적 안정적임.
수익성- 수익성이란 단기적으로 이 기업이 얼만큼의 이익을 냈는가, 혹은 투자한 자본 에 대해 얼만큼의 이익을 얻었나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총자본 순이익률은 22.62% 이며, 매출액 경상 이익률은 21.90% 로 우량기업으로써 높은 수익성을 얻고 있음.
성장성- 성장성은 주로 매출액, 총자산의 증가율로 측정되는 것임. 삼성전자는 2002년, 전년도에 비해 총자본 증가율이 23.35% 였고, 자기자본 증가율도 24.84%였으며, 매출 액 증가는 25.11%로 나타났음.
활동성- 활동성이란 재고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빨리 회전시키고 활동시킬 수 있는 냐는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삼성전자의 총자본 회전율은 1.33(00), 1.18(01), 1.30(02) 로 최근 3년 간 비슷한 결과를 보임. 회전율(효율성) 1이라고 하는 것은 상당히 좋은 의 미임. 이로 보아, 삼성전자의 활동성은 매우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음.
cf> 삼성전자 주식 - 공공의 적
한국 증시가 삼성전자의 독주로 인해 중간 가격대의 주식이 붕괴되고 고가주와 저가주가 늘어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굿모닝 신한증권 정의석 부장은 30일 ‘한국 주식시장의 잃어버린 15년을 찾아서’란 보고서에서 “전체 상장사의 7.4%에 불과한 시가총액 상위 50개 종목이 전체 시가총액의 80.19%룰 처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의 편중 현상을 뜻하는 ‘20대 80의 법칙’의 범주를 넘어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종합주가지수가 1003.31울 기록한 1989년 3월 31일에 4만 1000원에 불과하던 삼성전자의 주가가 지수 1,000선에도 못미치는 현 시점에 50만원대를 구가하자 \'공공의 적‘으로 간주하는 시각도 있다고 소개했다.
Ⅷ. 삼성의 사회공헌도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실천하는 대표적인 경우가 삼성그룹이다. 사회공헌 핵심은 ‘상생의 철학’과 ‘전략적 공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삼성은 지난해 10조원이 넘는 세전이익을 기록하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의 28.1%를 기록한 기업답게 사회공헌 분야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담당했다. 아직 2003년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집계가 이뤄지지
  • 가격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1.1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6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