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목차
서론
본론
제1부 통일교의 역사적 흐름
1. 통일교의 발단
1.1. 창시자의 배경
1.1.1. 당시의 시대적 배경
1.1.2. 창시자의 성장배경
1.1.3. 창시자의 종교적 배경
1.2. 통일교의 설립 배경과 목적
1.2.1. 통일교의 설립 목적과 성장원인
2. 통일교의 진행사
2.1. 교단의 발전진행
2.1.1. 창립이전
2.1.2. 교단창립과 선교활동
2.2 통일교의 조직, 교육, 포교 체계와 방법
2.3 통일교 연혁과 그 분석
2.4 통일교 과거 대형사건들
2.4.1. 국내
2.4.2. 국외
2.4.3. 기타
3.오늘날 통일교의 모습
3.1. 교세현황
3.2. 현교회운영방법과 체계
3.3. 통일교 각기관 및 사업체
3.3.1 한국 교단 기관 및 사업체 현황
3.3.2 외국 통일교 기관 및 사업체 현황
3.3.3 통일교의 경제 규모와 현황
4. 통일교의 미래(그리스도교관과 후계 구도)
제2부 통일교의 예배관과 교리
1. 예배관과 각종 의식
1.1. 예배관과 기도관
1.2. 합동 결혼식
1.3. 의식들
1.4. 통일교 성지
2. 통일교의 교리 -원리강론을 중심으로
2.1. 원리강론의 출현 동기(작성과정)와 요점
2.2. 원리강론에 나타난 종교사상들
2.3. 원리강론의 성서관
① 창조론
② 타락론
③ 종말론
④ 부활론
⑤ 재림론
⑥ 예정론
⑦ 그리스도론
⑧ 복귀론
2.4. 원리강론을 통해서 본 통일교의 종교성
3. 통일교와 가톨릭의 입장 비교
결론
본론
제1부 통일교의 역사적 흐름
1. 통일교의 발단
1.1. 창시자의 배경
1.1.1. 당시의 시대적 배경
1.1.2. 창시자의 성장배경
1.1.3. 창시자의 종교적 배경
1.2. 통일교의 설립 배경과 목적
1.2.1. 통일교의 설립 목적과 성장원인
2. 통일교의 진행사
2.1. 교단의 발전진행
2.1.1. 창립이전
2.1.2. 교단창립과 선교활동
2.2 통일교의 조직, 교육, 포교 체계와 방법
2.3 통일교 연혁과 그 분석
2.4 통일교 과거 대형사건들
2.4.1. 국내
2.4.2. 국외
2.4.3. 기타
3.오늘날 통일교의 모습
3.1. 교세현황
3.2. 현교회운영방법과 체계
3.3. 통일교 각기관 및 사업체
3.3.1 한국 교단 기관 및 사업체 현황
3.3.2 외국 통일교 기관 및 사업체 현황
3.3.3 통일교의 경제 규모와 현황
4. 통일교의 미래(그리스도교관과 후계 구도)
제2부 통일교의 예배관과 교리
1. 예배관과 각종 의식
1.1. 예배관과 기도관
1.2. 합동 결혼식
1.3. 의식들
1.4. 통일교 성지
2. 통일교의 교리 -원리강론을 중심으로
2.1. 원리강론의 출현 동기(작성과정)와 요점
2.2. 원리강론에 나타난 종교사상들
2.3. 원리강론의 성서관
① 창조론
② 타락론
③ 종말론
④ 부활론
⑤ 재림론
⑥ 예정론
⑦ 그리스도론
⑧ 복귀론
2.4. 원리강론을 통해서 본 통일교의 종교성
3. 통일교와 가톨릭의 입장 비교
결론
본문내용
말하고 있지, 우주를 주관하고 섭리하시는 절대자로 믿는다는 구절은 없다. 2조에서는 신구약성서를 경전으로 받든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원리강론”은 믿어야 하지만 성서는 단지 받드는데 불과하다는 뜻임을 시사한다. 3조에서는 예수를 인류의 구세주로만 믿을 뿐, 그리스도를 다시 오실 메시아나 다시금 구원해 주실 수 있는 분으로 인정하지는 않는다. 재림주는 문선명 바로 그 자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이 결부되어 4조에서도 한국에 재림한다고 하며 이는 문선명 그 자신을 지칭한다. 또한 5조에서의 대가족 사회의 신조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통일교 합동 결혼식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6조에서는 통일교가 이미 하느님의 구원 섭리의 최종목표임을 감안한다면, 통일교는 이미 그리스도교의 지옥과 천국에 대한 교리를 부정하고 있다. 참조: 이동춘, 통일교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 수원가톨릭대학교대학원, 1993, 14.
또한 통일교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일곱가지로 요약된다.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편, 통일교회소개, 성화사, 1982, 7-9(노길명, 이제민, 통일교 그 실상과 오해, 59에서 인용).
통일교에서는 이것을 하느님 아래 하나의 이상 세계를 이루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① 하느님을 중심한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한다.
② 분열된 기독교를 통일한다.
③ 승공이념(勝共理念) 통일교는 창립 초기부터 반공주의(反共主義) 노선을 채택하였다. 통일원리에 의하면, 제1차 제2차 세계 대전은 세계를 민주와 공산의 두 세계로 나누기 위한 싸움이었으며, 이 분립된 세계를 통일시키기 위한 제3차 대전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한다. 그 싸움은 무기를 들고 싸우는 방법과 이념에 의한 내적인 싸움이 있을 수 있는데, 방법의 선택은 인간의 책임분담 수행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다. 이러한 제3차 대전은 복귀섭리의 최종단계로 민주세계가 공산세계를 굴복시킴으로써 이상세계를 복귀시키려는 전쟁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하느님은 하느님의 세력인 민주진영과 사탄의 세계인 공산진영이 부딪치는 최일선인 삼팔선이 있는 곳이라는 통일교의 설명이다. 6.25 동란은 국토 분단에 의한 동족상잔이 아니라 민주와 공산 세례의 대결이었고, 나아가서 하느님과 사탄의 대결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느님 주권의 이상세계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산주의와의 제3차 대전에서 승리하여야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반드시 승공(승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통일교의 주장이다 참조: 주국진, 통일교와 원리강론에 대한 가톨릭적 고찰(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2001, 23-24.
을 확립함으로써 이 지구상에 공산주의를 발본색원한다.
④ 하느님의 심정과 사랑으로 인간 구원을 완성하여 완성된 가정·사회·국가·세계를 이룬다.
⑤ 신본주의(神本主義)에 의한 새로운 통일 문화를 창조한다.
⑥ 이 땅위에 하느님의 뜻을 실천한다.
이러한 신조와 목적으로 통일교의 활동 범위와 규모는 엄청나다. 이들은 순수 종교활동은 물론 정치, 경제, 교육, 언론, 학술, 문화등 그야말로 손을 대지 않는 영역이 없을 정도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 규모 또한 세계적이다. 이처럼 거대한 활동을 계획하는 이유는 일차적으로 통일교의 교리와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하면, 통일원리 자체가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도록 만드는 기본 원천이 되고 있는 것이다.
통일교가 추구하는 최종의 목표는 지상천국의 건설이다. 이것을 통일교에서는 주권회복이라고 한다. 통일교에서는 아담과 하와가 하느님 대신 사탄을 모심으로써 악의 주권 아래 놓이게 된 세상을 선의 주권 아래로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것이 바로 하느님의 심정과 뜻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이룰 책임은 인간에게 있다.
한편 통일교에서는 하느님의 구원섭리과정을 창조본연의 복귀과정으로 설명하면서, 그 방법은 하느님이 피조세계를 창조하셨던 순서에 따라 외적인 것에서부터 내적인 것에로 복귀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여기서 외적인 것이란 물질세계를 뜻하는 것이며, 내적인 것이란 인간의 심령세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이 본래 의도하였던 이상세계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외적인 물질세계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상적인 지상천국의 건설은 하느님의 의지나 섭리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인간이 자신에게 부여된 책임분담을 완수할 때에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인간은 하느님의 뜻에 따라 물질세계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통일교에서 지상천국이란 인간이 과학을 발전시켜 자연계를 정복한 곳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통일교에서는 과학과 종교를 통합시키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이원적으로 발전되어온 과학과 종교의 입장에서 종교가 과학을 포용함으로써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일교에서 추구하는 이상세계는 정신이 주체가 되어 물질의 영역까지 포용하는 사회이다. 이처럼 물질세계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정치, 경제, 과학 등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그들의 교리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조: 노길명, 한국의 신흥종교, 대구가톨릭출판사, 1992, 225-227.
이러한 배경 아래 통일교는 급성장을 하게 되는데, 그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선명의 카리스마이다. 통일교 신자들은 문선명과 한학자를 ‘참부모’ 즉 메시아로 믿고 있으며, 다시 오기로 약속한 재림주가 바로 문선명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교시나 명령은 절대적이다. 둘째, 조직과 신자 재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통일교의 조직은 미국의 벨베디아에 총지휘를 두고 문선명이 직접 관리한다. 서울에 협회 총 본부, 각 시, 도청 소재지에 교구 본부, 각 구, 시, 군청 소재지에 교역 본부, 각 읍, 면, 동사무소 소재지에 교회본부를 두는 등 전국적인 조직망을 확보하고 있다. 충북 천안에 성화신학교를 설립하여 교역자를 양성하고 있으며, 중앙 수련소에서는 교역자를 양성하고 지방 수련소는 일반 신도를 대상으로 재교육을 하고 있다. 셋째는 신자들의 구성인데, 대부분의 신흥종교가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통일교에서는 고졸 이상의 고학력층의
또한 통일교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일곱가지로 요약된다.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편, 통일교회소개, 성화사, 1982, 7-9(노길명, 이제민, 통일교 그 실상과 오해, 59에서 인용).
통일교에서는 이것을 하느님 아래 하나의 이상 세계를 이루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① 하느님을 중심한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한다.
② 분열된 기독교를 통일한다.
③ 승공이념(勝共理念) 통일교는 창립 초기부터 반공주의(反共主義) 노선을 채택하였다. 통일원리에 의하면, 제1차 제2차 세계 대전은 세계를 민주와 공산의 두 세계로 나누기 위한 싸움이었으며, 이 분립된 세계를 통일시키기 위한 제3차 대전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한다. 그 싸움은 무기를 들고 싸우는 방법과 이념에 의한 내적인 싸움이 있을 수 있는데, 방법의 선택은 인간의 책임분담 수행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다. 이러한 제3차 대전은 복귀섭리의 최종단계로 민주세계가 공산세계를 굴복시킴으로써 이상세계를 복귀시키려는 전쟁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하느님은 하느님의 세력인 민주진영과 사탄의 세계인 공산진영이 부딪치는 최일선인 삼팔선이 있는 곳이라는 통일교의 설명이다. 6.25 동란은 국토 분단에 의한 동족상잔이 아니라 민주와 공산 세례의 대결이었고, 나아가서 하느님과 사탄의 대결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느님 주권의 이상세계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산주의와의 제3차 대전에서 승리하여야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반드시 승공(승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통일교의 주장이다 참조: 주국진, 통일교와 원리강론에 대한 가톨릭적 고찰(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2001, 23-24.
을 확립함으로써 이 지구상에 공산주의를 발본색원한다.
④ 하느님의 심정과 사랑으로 인간 구원을 완성하여 완성된 가정·사회·국가·세계를 이룬다.
⑤ 신본주의(神本主義)에 의한 새로운 통일 문화를 창조한다.
⑥ 이 땅위에 하느님의 뜻을 실천한다.
이러한 신조와 목적으로 통일교의 활동 범위와 규모는 엄청나다. 이들은 순수 종교활동은 물론 정치, 경제, 교육, 언론, 학술, 문화등 그야말로 손을 대지 않는 영역이 없을 정도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 규모 또한 세계적이다. 이처럼 거대한 활동을 계획하는 이유는 일차적으로 통일교의 교리와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하면, 통일원리 자체가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도록 만드는 기본 원천이 되고 있는 것이다.
통일교가 추구하는 최종의 목표는 지상천국의 건설이다. 이것을 통일교에서는 주권회복이라고 한다. 통일교에서는 아담과 하와가 하느님 대신 사탄을 모심으로써 악의 주권 아래 놓이게 된 세상을 선의 주권 아래로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것이 바로 하느님의 심정과 뜻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이룰 책임은 인간에게 있다.
한편 통일교에서는 하느님의 구원섭리과정을 창조본연의 복귀과정으로 설명하면서, 그 방법은 하느님이 피조세계를 창조하셨던 순서에 따라 외적인 것에서부터 내적인 것에로 복귀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여기서 외적인 것이란 물질세계를 뜻하는 것이며, 내적인 것이란 인간의 심령세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이 본래 의도하였던 이상세계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외적인 물질세계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상적인 지상천국의 건설은 하느님의 의지나 섭리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인간이 자신에게 부여된 책임분담을 완수할 때에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인간은 하느님의 뜻에 따라 물질세계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통일교에서 지상천국이란 인간이 과학을 발전시켜 자연계를 정복한 곳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통일교에서는 과학과 종교를 통합시키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이원적으로 발전되어온 과학과 종교의 입장에서 종교가 과학을 포용함으로써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일교에서 추구하는 이상세계는 정신이 주체가 되어 물질의 영역까지 포용하는 사회이다. 이처럼 물질세계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정치, 경제, 과학 등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그들의 교리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조: 노길명, 한국의 신흥종교, 대구가톨릭출판사, 1992, 225-227.
이러한 배경 아래 통일교는 급성장을 하게 되는데, 그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선명의 카리스마이다. 통일교 신자들은 문선명과 한학자를 ‘참부모’ 즉 메시아로 믿고 있으며, 다시 오기로 약속한 재림주가 바로 문선명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교시나 명령은 절대적이다. 둘째, 조직과 신자 재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통일교의 조직은 미국의 벨베디아에 총지휘를 두고 문선명이 직접 관리한다. 서울에 협회 총 본부, 각 시, 도청 소재지에 교구 본부, 각 구, 시, 군청 소재지에 교역 본부, 각 읍, 면, 동사무소 소재지에 교회본부를 두는 등 전국적인 조직망을 확보하고 있다. 충북 천안에 성화신학교를 설립하여 교역자를 양성하고 있으며, 중앙 수련소에서는 교역자를 양성하고 지방 수련소는 일반 신도를 대상으로 재교육을 하고 있다. 셋째는 신자들의 구성인데, 대부분의 신흥종교가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통일교에서는 고졸 이상의 고학력층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