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몬교의 시작과 조직 및 사업 경전과 교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몰몬교의 시작과 조직 및 사업 경전과 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Ⅰ. 몰몬교의 시작과 조직 및 사업
1. 몰몬교의 태동
1.1. 역사적 배경
1.2. 요셉 스미스의 출생과 성장
1.3. 요셉 스미스의 시현과 몰몬경
2. 몰몬교의 성장 과정과 한국에로의 진출
2.1. 몰몬교의 창립과 ‘교리와 성약’의 발행
2.2. 몰몬교의 시련
2.3. 요셉 스미스 이후의 몰몬교
2.4. 몰몬교의 한국 진출과 성전 건립
3. 몰몬교의 조직
3.1. 총관리 역원(General Authorities)과 주요직책
3.2. 대관장단
3.3. 십이사도 정원회
3.4. 칠십인 정원회
3.5. 스테이크(Stake)
3.6. 와드(Ward)
4. 몰몬교의 예배와 집회
4.1. 성찬식
4.2. 신권회의 구조와 그 직분
1) 아론 신권의 직분과 의무
① 집사(執事, Deacon)
② 교사(敎事, Teacher)
③ 제사(祭司, Priest)
④ 감독(監督, 主敎, Bishop)
2) 멜기세덱 신권의 직분과 의무
① 장로(長老, Elder)
② 대제사(大祭司, High Priest)
③ 축복사(祝福司, 祝福敎長, Patriarch)
④ 칠십인(七十人, 七十員, Seventy)
⑤ 사도(使徒, Apostle)
3) 아론 신권 정원회
① 집사 정원회
② 교사 정원회
③ 제사 정원회
4) 멜기세덱 신권 정원회
① 장로 정원회
② 대제사 정원회
4.3. 상호부조회
4.4. 청녀회
4.5. 주일학교((Sunday School)
1) 장년 주일학교
① 복음 원리반
② 복음교리반
③ 중·고등학교 학생별로 구분시킨 교리반
④ 계보반
2) 초등협회
4.6. 가정의 밤 프로그램(Family Home Evening)
5. 몰몬교의 사업
5.1. 가족 역사 사업
5.2. 복지 사업
5.3. 합창단
1) 몰몬 태버니클 합창단
2) 온누리 합창단
5.4. 월간지 리아호나 호
Ⅱ몰몬교의 경전과 교리
1. 4대경전
1.1 성경
1.2. 교리와 성약(Doctrines and Covenants)
1.3. 값진진주(Pearl of Great Price)
1.4. 몰몬경

2. 몰몬교의 교리
2.1. 신앙개조
2.2. 신관
2.2.1. 하느님
2.2.2. 예수 그리스도
2.2.3. 성령
2.3. 인간관
2.3.1. 전세론
2.3.2. 결혼관
2.4. 종말관
2.5. 몰몬교의 확장 원인과 대처법 참조: http://www.ezrahouse.org
2.5.1. 확장 원인
2.5.2. 대처 방법

결 론
부록 1 몰몬교의 거짓 교리
부록 2 성경 - 몰몬경 세계사 역사 도표

본문내용

묻자, 사자(使者)들은 모든 교파가 잘못 되었으니 어느 교파에도 속하지 말라는 대답을 듣게 되었다. 사자들의 대답이 끝나자 요셉은 잃었던 의식을 회복하였다. 참조 : 탁명환, 기독교이단연구, 한국종교문제연수소, 19898, 271-272.
요셉은 자신의 체험을 몇몇 목사들에게 들려주었으나 그들로부터 핍박과 조롱만을 받게 되었으며 시현에 따라 당시 어느 교회에도 속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첫 번째 시현이 있은 뒤, 요셉은 낙천적이고 사교적인 성격으로 인해 하나님의 은총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게 아닌가 걱정을 하고 죄책감을 느낄 무렵인 1823년 9월 21일 두 번째 시현이 시작되었다.
“나는 두 번째 환상을 보았다... 그는 내게, 자기는 하나님으로부터 보냄을 받은 사자로서 이름은 모로나이(Moronai)라고 말했다... 또 그는 황금판에 새겨진 한 권에 대해서... 그 책은 구세주께서 친히 원주민들에게 말씀하신 ‘영원한 복음’으로 가득 차 있다고 했다... 그는 또한 두 개의 돌들이 은테에 둘려서 황금판과 함‘께 묻혀있는데, 이 돌들은 우림과 둠밈이라 불리우며 흉패에 연결되어 있다고... ” 값진진주, 요셉 스미스50-54.
두 번째 환상에 대한 증언은 요셉이 직접 모로나이로부터 들었던 곳 바로 뉴욕의 온타리오 맨체스터 부근의 언덕으로 향하였다. 그곳에서 황금판 후에 에집트어로 새겨진 금판의 글을 요셉은 그의 동료였던 마틴 해리스와 올리버 카우드리와 함께 하나님의 권세와 은사를 통해 번역하였으며 이를 ‘몰몬경’이라 부르게 되었다. 하지만 이 금판을 번역하자마자 금판과 함께 우림, 둠밈, 흉패 모두 하늘로 올라가 흔적조차 남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금판의 내용에 대해 많은 이견들이 있다. 이 이견들 중의 하나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금판의 내용은 ‘솔로몬 스폴댕’이라는 과대망상증 환자 혹은 침례교의 은퇴 목사로 확인되는 사람이 여가를 이용해 혹은 사업에 실패한 후 빚을 청산하기 위해 집필한 ‘아메리카 인디언의 시조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후예’라는 공상소설의 원판이었다고 한다. 사라졌던 원판은 150년 후 미국 오하이오주 오버틴 대학에서 발견되었다. 솔로몬 스폴댕이 이 소설을 출판하기 위해 1814년 친구인 피터슨이 경영하던 인쇄소에 맡겼다. 하지만 그곳의 직원이었던 시드니 리그돈이라는 사람이 훔쳐서 가신의 고향으로 가지고 갔으며 그는 그곳에서 침례교 목사 안수를 받았다. 시드니 리그돈이 목자로 지내면서 비성경적인 소설의 내용을 교리로 가르쳐 교단으로부터 추방당하게 되었다. 추방당한 리그돈은 후에 요셉과 만나게 되었으며 몰몬경의 집필 작업에 소설의 많은 부분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사실을 알게된 소설의 저자 솔로몬 스폴댕의 미망인이 요셉을 상대로 표절 소송을 내었으나 리그돈의 불리한 증언으로 패소하게 되었다. 참조 : 최백용, 성경연구의 속성과 이단(여호와의 증인, 몰몬교) 교리비판, 이단방지선교회, 1988,119-121; 노길명, 한국의 신흥종교, 가톨릭 신문사, 19882, 126;
이 들어있는 돌 상가를 발견하였으며 그 속에서 사자(使者)의 이야기대로 황금판, 우림과 둠밈, 그리고 흉패가 들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하나님의 사자(使者)는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다 하여 매년 같은 날, 같은 장소에 와서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 만남은 4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1827년 9월 22일 요셉을 이것들을 받을 수 있었다. 단 이것들을 소홀히 취급하거나 간수한다면 목숨을 잃을 것이니 하늘의 사자가 그것들을 달라고 할 때까지 요셉이 노력을 다하여 지키라는 엄한 충고를 들게 되었다. 참조 : 죠쉬 맥도웰, 돈 스투어트 저, 이호열 역, 현대종교연구 시리이즈-이단종파, 99-100.
하나님의 사자로부터 들은 바에 따라 금판을 확인하고 그를 받아갈 준비를 하고 있는 사이, 요셉은 죠시이야 스토웰(Josiah Stowell)이라는 사람과 함께 일하고 있었으며 그를 위해 일하는 동안 아이삭 헤일(Issac Hale)의 집에서 머물렀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요셉은 헤일의 딸 엠마(Emma)를 만나게 되었으며 1827년 초 결혼하였다. 결혼한 뒤, 요셉이 고대의 보물을 가졌다는 소문이 나자 요셉은 아내와 함께 비밀리에 금판을 옮기는 데에 성공하고 금판의 번역을 위해 ‘우림’과 ‘둠밈’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그 자신이 교육을 충분히 받지 않았기에 오로지 하나님의 은헤와 능력으로 말미암아 금판의 번역이 가능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금판의 번역 과정에서 마틴 해리스(Martin Harris)와 올리버 카우드리(Oliver Cowdery)의 도움을 받아 천신마고 끝에 1829년 6월 번역을 마치게 되었다. 참조 : 신호범 외, 기적의 역사-유토피아를 건설하는 세계적 종교의 등장, 278-281.
이로써 몰몬교 창립의 기틀이 마련되었지만 그 시작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몰몬교의 발전 과정은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2. 몰몬 몰몬이란 말은 하나님의 사자(使者) 모로나이의 아버지 이름으로 ‘더 선한\'을 의미한다. History of the Church, 5:399-400, 요셉 스미스의 투서에서 인용.
교의 성장 과정과 한국에로의 진출
2.1. 몰몬교의 창립과 ‘교리와 성약’의 발행
몰몬경의 번역이 끝날 무렵인 1829년 5월, 요셉과 올리버에게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를 침례한 요한이라고 밝힌 사자(使者)가 나타나 그들에게 침례를 베풀 권능을 주었으며 이 두 사람은 하나님의 사자로부터 받은 권능을 아론 신권 신권이란 하나님 아버지께서 가지신 위대한 권세를 일컫는 것으로, 하나님 이름으로 복음의 신성한 의식인 침례, 성찬의 축복, 성전 결혼을 행하기 위해 필요로 한다. 신권은 두 가지, 즉 멜기세덱 신권과 아론 신권으로 나누어진다.(교리와 성약 107:1 참조) 대신권이 곧 멜기세덱 신권인데 이것은 옛날에는 “하나님의 반차를 따른 성신권\"이라 불리워졌다. 그러나 주님의 이름이 자주 사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 다른 신권인 아론 신권은 멜기세덱 신권에 부속된 것이다. 이 신권은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대대로 부여된 것이었기 때문에 아론 신권이라 불리
  • 가격3,0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