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모더니즘의 정의와 발생배경
모더니즘의 사회·경제적 배경
근대화
제 1차 세계대전
모더니즘의 문화적 배경
모더니즘의 정의 및 특징
시대정신
모더니즘의 정의 및 특징
모더니즘의 정의
모더니즘의 특징
모더니즘과 형식주의
이미지즘, 모더니즘, 주지주의의 상관관계
서구 모더니즘의 대표적 작가 소개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과정
모더니즘의 도입과 전개과정
'모더니즘'의 작가들
정지용, 김기림, 김광균, 이상
1930년대 모더니즘 대두 배경
리얼리즘의 침체
다다이즘·표현주의 문학의 재활성화
도시세대 문학의 등장
1930년대 모더니즘의 근대성의 의미
모더니즘의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
모더니즘의 사회·경제적 배경
근대화
제 1차 세계대전
모더니즘의 문화적 배경
모더니즘의 정의 및 특징
시대정신
모더니즘의 정의 및 특징
모더니즘의 정의
모더니즘의 특징
모더니즘과 형식주의
이미지즘, 모더니즘, 주지주의의 상관관계
서구 모더니즘의 대표적 작가 소개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과정
모더니즘의 도입과 전개과정
'모더니즘'의 작가들
정지용, 김기림, 김광균, 이상
1930년대 모더니즘 대두 배경
리얼리즘의 침체
다다이즘·표현주의 문학의 재활성화
도시세대 문학의 등장
1930년대 모더니즘의 근대성의 의미
모더니즘의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시즘과 세기말문학의 말류인 센티멘탈로맨티시즘을 위해서이고, 다른 하나는 당시의 편내용주의를 위해서였다. ……… 모더니즘은 우선 오늘의 文明 속에서 나서 신선한 감각으로써 문명이 던지는 인상을 붙잡았다. 그것은 현대의 文明을 도피하려고 하는 모든 태도와는 달리 문명 그것 속에서 자라는 문명의 아들이었다. 그 일은 바꾸어 말하면 우리 신시사상에 비로소 도회의 아들이 탄생했던 것이다. 제재부터 우선 도회에서 구했고 문명의 뭇면이 풍월 대신에 등장했다. 문명속에서 형성되어 가는 새로운 감각 정서 사고가 나타났다. (김기림,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인문평론』, 1939) 앞서 살펴본 1930년대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모더니즘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 모더니즘이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924년 무렵이다. 고한용이 <ㅏㅏ이슴>(개벽 51호), <서울 왓든 ㅏㅏ이스트의 이약이>(개벽52호), <다다? 다다!>(동아일보, 1924. 11. 24), <잘못 안 ㅏㅏ>(동아일보, 1924. 12. 1) 등의 글을 발표했으며, 양주동은 <정오이삼>(조선문단, 12호)에서 이미지즘의 개념과 문학적 성격을 소개하고 있다. 1926년 <학조>지에는 정지용의 모더니즘적인 시 <슬픈 인상화>와 <파충류동물>등이 실렸으나 모더니즘이 하나의 문학적 조류로서 확립된 것은 1930년대이다.
모더니즘 이론들을 가장 많이 받아들여 소개한 이는 김기림과 최재서이다. 그들은 기존 낭만주의 시들이 지닌 편내용주의, 지나친 감정 노출 등을 비판하고 단단한 형식, 지성에 의한 감정의 통제 등을 표방하였다. 서구의 경우에 이미지즘은 견고한 이미지를 제시하는 사물시를 목표로 했고, 주지주의는 회화적 기법에만 머물고 이미지즘의 단점을 보강하고자 이미지즘의 뒤를 이어 생겨난 데 비하여 우리의 경우에는 이들 두 사조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 상태로 동시에 수용되었다. 대체로 주지주의적인 성격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엘리어트의 객관이론과 리처즈의 포괄이론 등이 많이 소개되었다.
김기림은 <오전의 시론>(조선일보, 1935. 4. 20~30), <포에지와 모더니티>(신동아, 21호) 등의 수많은 논문을 통해서 지적 정신의 의한 문명비판, 풍자, 당위의 시, 시각적 회화성의 시 등을 역설하였다. 그밖에 이양하의 <리챠즈의 가치론>(조선일보, 1933. 1. 21~31), 최재서의 <비평과 과학>(조선일보, 1934. 8. 31~9. 7)등이 주지주의이론을 소개한 대표적인 논문들이다. 당대 시인들 중 이미지즘적 성향이 강한 이로는 정지용과 김광균이 있다. <정지용시집>(1935)과 <와사등>(1939)에 실려 있는 시들은 대체로 그 회화적 기법이 뛰어나다. 주지주의적인 대표적 작품으로는 김기림의 장시 <기상도>(1936)를 들 수 있다. 한편, 한국의 다다이즘 운동은 여러 해 동안의 준비기간을 거쳐 이상에 이르러 본격화되었다. 그의 시 <이상한 가역반응>(일문시, 조선과 건축 7호, 1931), <오감도>(조선중앙일보, 1934. 7. 24~8. 8)는 전통적인 삶의 양식과 가치체계를 부정하는 다다이즘적 성격이 강하다. 또한 그는 초현실주의의 무의식적인 받아쓰기의 수법도 잘 활용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소설 <날개>(조광 9호, 1936), <지주회사>(중앙 6호, 1937) 등이 있다.
광복 후 1949년을 전후로 하여 모더니즘 운동이 다시 일기 시작하였다. 김경린, 박인환, 김규동 등의 도시감각, 현대문명의식, 조향과 이봉래의 초현실주의 김수영의 지성의 현실참여 등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1950년대 후반기에는 영미 주지주의 이론의 재평가와 더불어 모더니즘의 새로운 진전을 보였다. 송욱의 <하여지향>(1961)에 보이는 비순수와 문명의 표정, 박남수의 심층 이미지 추구, 김춘수의 현실의식과 존재론적 이미지, 김광림의 주지적 서정 등에서 모더니즘의 심도 있는 전개를 보여주었다.
\'모더니즘\'의 작가들
정지용
3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에서 한 구심점이 된 것은 김기림이었다. 그 이전 우리 주변에서는 모더니즘이란 명명조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1933년 <조선일보>에 발표한 연평을 필두로 우리 시단에 있어서 이미지즘, 모더니즘을 되풀이 말하고 아울러 그 테두리에 그 자신까지를 포함하여 정지용, 신석정, 김광균 등의 이름을 열거하였다. 주지적 시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정지용은 <유리창>, <바다>, <석류> 등에서 설명을 배제하고 장면을 정확히 묘사하고 감각성을 조화롭게 잘 드러내 보임으로써 한국 시단에 말뜻 그대로 현대적 시세계를 드러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이전의 시들이 일반적으로 한탄, 슬픔의 감정적인 표현으로 가득찬 것으로 정지용은 그것을 거부하고 초기의 시에서로 부터 감정을 엄격히 규제하였다. 그의 시의 특징의 하나는 감정의 생경한 노출이 거의 눈에 뜨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정지용의 시 방법은 기교나 기술에 있어서 낭만적 감상주의의 경우와 같은 영감의 소산으로 자연 발생적인 것이 아니다. 종래의 한국 시가 거의 감정의 노정에 휘어 잡혔다고 한다면 그 시적 운명의 올가미를 벗어난 최초의 시인이 바로 정지용이다. 그는 눈물과 감상으로 채색된 재래적인 한국식 풍토를 지성과 감각이라는 새로운 시적 차원의 경험을 이루어 놓았다. 정지용 시의 또 하나의 특색은 그이 감각적 시어의 생동감이다. <바다>가 바로 그러한 특색을 잘 그려내고 있다.
3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에서 한 구심점이 된 것은 김기림이었다. 그 이전 우리 주변에서는 모더니즘이란 명명조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1933년 <조선일보>에 발표한 年評을 필두로 우리 시단에 있어서 이미지즘. 모더니즘을 되풀이 말하고 아울러 그 테두리에 그 자신까지를 포함하여 정지용, 신석정, 김광균 등의 이름을 열거하였다.
그 시작 경향과 언어사용의 기법에서 볼 때 1930년대 모더니즘의 시에는 뚜렷하게 두 가지 특색이 드러난다. 그 하나가 순수시의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또 하나는 감상의 배제와 건강성의 추구이다.
바다는 뿔뿔이
달어날랴고 했다
푸른 도마뱀처럼
재재발렸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었다
흰발톱에
우리나라에 모더니즘이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924년 무렵이다. 고한용이 <ㅏㅏ이슴>(개벽 51호), <서울 왓든 ㅏㅏ이스트의 이약이>(개벽52호), <다다? 다다!>(동아일보, 1924. 11. 24), <잘못 안 ㅏㅏ>(동아일보, 1924. 12. 1) 등의 글을 발표했으며, 양주동은 <정오이삼>(조선문단, 12호)에서 이미지즘의 개념과 문학적 성격을 소개하고 있다. 1926년 <학조>지에는 정지용의 모더니즘적인 시 <슬픈 인상화>와 <파충류동물>등이 실렸으나 모더니즘이 하나의 문학적 조류로서 확립된 것은 1930년대이다.
모더니즘 이론들을 가장 많이 받아들여 소개한 이는 김기림과 최재서이다. 그들은 기존 낭만주의 시들이 지닌 편내용주의, 지나친 감정 노출 등을 비판하고 단단한 형식, 지성에 의한 감정의 통제 등을 표방하였다. 서구의 경우에 이미지즘은 견고한 이미지를 제시하는 사물시를 목표로 했고, 주지주의는 회화적 기법에만 머물고 이미지즘의 단점을 보강하고자 이미지즘의 뒤를 이어 생겨난 데 비하여 우리의 경우에는 이들 두 사조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 상태로 동시에 수용되었다. 대체로 주지주의적인 성격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엘리어트의 객관이론과 리처즈의 포괄이론 등이 많이 소개되었다.
김기림은 <오전의 시론>(조선일보, 1935. 4. 20~30), <포에지와 모더니티>(신동아, 21호) 등의 수많은 논문을 통해서 지적 정신의 의한 문명비판, 풍자, 당위의 시, 시각적 회화성의 시 등을 역설하였다. 그밖에 이양하의 <리챠즈의 가치론>(조선일보, 1933. 1. 21~31), 최재서의 <비평과 과학>(조선일보, 1934. 8. 31~9. 7)등이 주지주의이론을 소개한 대표적인 논문들이다. 당대 시인들 중 이미지즘적 성향이 강한 이로는 정지용과 김광균이 있다. <정지용시집>(1935)과 <와사등>(1939)에 실려 있는 시들은 대체로 그 회화적 기법이 뛰어나다. 주지주의적인 대표적 작품으로는 김기림의 장시 <기상도>(1936)를 들 수 있다. 한편, 한국의 다다이즘 운동은 여러 해 동안의 준비기간을 거쳐 이상에 이르러 본격화되었다. 그의 시 <이상한 가역반응>(일문시, 조선과 건축 7호, 1931), <오감도>(조선중앙일보, 1934. 7. 24~8. 8)는 전통적인 삶의 양식과 가치체계를 부정하는 다다이즘적 성격이 강하다. 또한 그는 초현실주의의 무의식적인 받아쓰기의 수법도 잘 활용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소설 <날개>(조광 9호, 1936), <지주회사>(중앙 6호, 1937) 등이 있다.
광복 후 1949년을 전후로 하여 모더니즘 운동이 다시 일기 시작하였다. 김경린, 박인환, 김규동 등의 도시감각, 현대문명의식, 조향과 이봉래의 초현실주의 김수영의 지성의 현실참여 등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1950년대 후반기에는 영미 주지주의 이론의 재평가와 더불어 모더니즘의 새로운 진전을 보였다. 송욱의 <하여지향>(1961)에 보이는 비순수와 문명의 표정, 박남수의 심층 이미지 추구, 김춘수의 현실의식과 존재론적 이미지, 김광림의 주지적 서정 등에서 모더니즘의 심도 있는 전개를 보여주었다.
\'모더니즘\'의 작가들
정지용
3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에서 한 구심점이 된 것은 김기림이었다. 그 이전 우리 주변에서는 모더니즘이란 명명조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1933년 <조선일보>에 발표한 연평을 필두로 우리 시단에 있어서 이미지즘, 모더니즘을 되풀이 말하고 아울러 그 테두리에 그 자신까지를 포함하여 정지용, 신석정, 김광균 등의 이름을 열거하였다. 주지적 시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정지용은 <유리창>, <바다>, <석류> 등에서 설명을 배제하고 장면을 정확히 묘사하고 감각성을 조화롭게 잘 드러내 보임으로써 한국 시단에 말뜻 그대로 현대적 시세계를 드러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이전의 시들이 일반적으로 한탄, 슬픔의 감정적인 표현으로 가득찬 것으로 정지용은 그것을 거부하고 초기의 시에서로 부터 감정을 엄격히 규제하였다. 그의 시의 특징의 하나는 감정의 생경한 노출이 거의 눈에 뜨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정지용의 시 방법은 기교나 기술에 있어서 낭만적 감상주의의 경우와 같은 영감의 소산으로 자연 발생적인 것이 아니다. 종래의 한국 시가 거의 감정의 노정에 휘어 잡혔다고 한다면 그 시적 운명의 올가미를 벗어난 최초의 시인이 바로 정지용이다. 그는 눈물과 감상으로 채색된 재래적인 한국식 풍토를 지성과 감각이라는 새로운 시적 차원의 경험을 이루어 놓았다. 정지용 시의 또 하나의 특색은 그이 감각적 시어의 생동감이다. <바다>가 바로 그러한 특색을 잘 그려내고 있다.
3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에서 한 구심점이 된 것은 김기림이었다. 그 이전 우리 주변에서는 모더니즘이란 명명조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1933년 <조선일보>에 발표한 年評을 필두로 우리 시단에 있어서 이미지즘. 모더니즘을 되풀이 말하고 아울러 그 테두리에 그 자신까지를 포함하여 정지용, 신석정, 김광균 등의 이름을 열거하였다.
그 시작 경향과 언어사용의 기법에서 볼 때 1930년대 모더니즘의 시에는 뚜렷하게 두 가지 특색이 드러난다. 그 하나가 순수시의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또 하나는 감상의 배제와 건강성의 추구이다.
바다는 뿔뿔이
달어날랴고 했다
푸른 도마뱀처럼
재재발렸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었다
흰발톱에
추천자료
다다이즘과 러시아 구성주의에 대하여
다다이즘에 대해서
다다이즘의 이해
영화의 초현실과 다다이즘
다다이즘의 정리
다다이즘 이론과 작가
부정의 정신, 다다이즘
다다이즘과러시아구성주의
다다이즘-
다다이즘[dadaism]사례조사
도시시의 전개와 이념 1930~1990년대 도시시의 특성
초현실주의(초현실파) 미술의 의미와 특성, 초현실주의(초현실파) 미술의 탄생과 시초, 초현...
이집트미술, 로마네스크미술, 르네상스미술, 바로크미술, 로코코미술, 신고전주의미술, 낭만...
인천문화권,국제도시인천,세계도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