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묵자의 생애와 활동
2.묵자의 내용
3.묵자의 사상
4.묵자사상의 의의
5.묵자의 운명관
6.묵자의 역사관
2.묵자의 내용
3.묵자의 사상
4.묵자사상의 의의
5.묵자의 운명관
6.묵자의 역사관
본문내용
고 義(의)를 관념론적으로 인식하는 중국 전통과는 달리, \'의는 利(이)\'라고 선언하고 하느님의 뜻인 兼愛(겸애)와 交利(교리)를 표리의 관계로 파악
-인성 혹은 의식을 선험적인 것이 아닌 사회관계에서 물들여진 것으로 규정
(2)사회 정치적 의의
①민중사상이다
-신앞에 만민이 평등하다는 하느님 사상을 근거로 인민주권론과 군주계약설을 주장
②민중해방의 종교사상이다
-묵자가 말하는 하느님은 민중을 평등하게 사랑하는 민중의 수호신
-하나님의 뜻은 바로 민중의 뜻 -인민주권설 주장
③노동해방 사상이다
-인간은 노동을 통해서만 살아갈 수 있는 존재라고 천명하고 재화의 가치와 소비에 관심
-자기 노력에 의하지 않은 신분과 재산의 상속은 무고부귀이므로 하느님의 뜻 아니다
-노예제도와 사적 소유를 반대
④평화 공영의 인류 보편사상이다
-전쟁을 재화의 초과소비로 보고 절용문화로 바꾸어야한다고 주장
-전쟁 이데올로기는 지배자들의 술수 -전쟁을 하느님의 뜻을 저버리는 반천륜적 행위
-‘남의 나라를 내 나라처럼 사랑하라’
(3)철학의 의의
①가치론
-모든 시비선악을 판단하는 기준은 하느님의 뜻
- 本(본), 原(원), 用(용)이 바르면 민중에게 이롭고 이것이 하느님의 뜻
-하나님은 선험적 존재가 아닌 경험적인 민중의 이익 곧 정의
②인성론
-인간의 행동은 욕구로부터 나옴
그 욕구는 ‘후천적으로 물들여진것’이라 주장
-행위뿐 아니라 도리와 본성까지 물들여지는 것으로 봄
③인식론
-존재론적으로는 의식과 사물을 구분하는 이론자
-인식론적으로는 마음보다 지각을 더 중시하는 경험론자
④초과소비론
-소비를 이용후생을 위한 정당한 소비와 재화의 본래 목적을 초과하여 인간에게 이롭지 않은 초과소비로 구분
-민중의 풍요로운 소비생활중시하면서도 초과노동으로 수고롭지 않고 여유로운 생활보장
5.묵자의 운명관
①인간은 자기운명의 주인이다
-운명론은 과거 성왕들의 역사적 경험에 위배된 잘못
-운명론은 민중들이 보고 들은 것이 아니므로 거짓
-운명론은 민중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고 해로운 것
②의식화된 민중
-인간의 의식은 사회관계로부터 규정
-습관사회통념문화제도 등 지배자들의 이데올로기에서 민중을 해방
6.묵자의 역사관
①민중적인 역사 이해
- 중국전통으로는 역사의 순환론 - 진보적인 주체사관 - 민중해방 사관
②민중적 구원사관
-만민평등은 하나님의 뜻 -옛 성왕들의 평등정치는 하나님의 뜻에 순종한 것으로 파악
기독교의 구원사관과 유사
③민중적 순환사관
-구원사관과 다른점 : 묵자의 하나님은 역사의 주인이 아니다
하나님은 인정하지만 사상은 유물론적 내지 경험론적
④민중적 주체사관
-역사의 주체는 물질이나 신이 아니라 민중, 인간의 운명과 역사는 인간이 만드는것
사회 개혁의 힘은 민중의 뜻과 주체적인 힘 / 운명론은 폭군이 지어낸 술책
⑤민중해방사관
-거짓된 사회통념 타파하고 운명은 스스로 만드는 것임을 의식화
-대동사회는 하나님의 뜻, 이를 위해 투쟁하는 민중에게는 축복
*참고서적 : 기세춘,『우리는 왜 묵자인가』, 초당.
묵적, 『묵자』, 박재범 역, 홍익출판사.
-인성 혹은 의식을 선험적인 것이 아닌 사회관계에서 물들여진 것으로 규정
(2)사회 정치적 의의
①민중사상이다
-신앞에 만민이 평등하다는 하느님 사상을 근거로 인민주권론과 군주계약설을 주장
②민중해방의 종교사상이다
-묵자가 말하는 하느님은 민중을 평등하게 사랑하는 민중의 수호신
-하나님의 뜻은 바로 민중의 뜻 -인민주권설 주장
③노동해방 사상이다
-인간은 노동을 통해서만 살아갈 수 있는 존재라고 천명하고 재화의 가치와 소비에 관심
-자기 노력에 의하지 않은 신분과 재산의 상속은 무고부귀이므로 하느님의 뜻 아니다
-노예제도와 사적 소유를 반대
④평화 공영의 인류 보편사상이다
-전쟁을 재화의 초과소비로 보고 절용문화로 바꾸어야한다고 주장
-전쟁 이데올로기는 지배자들의 술수 -전쟁을 하느님의 뜻을 저버리는 반천륜적 행위
-‘남의 나라를 내 나라처럼 사랑하라’
(3)철학의 의의
①가치론
-모든 시비선악을 판단하는 기준은 하느님의 뜻
- 本(본), 原(원), 用(용)이 바르면 민중에게 이롭고 이것이 하느님의 뜻
-하나님은 선험적 존재가 아닌 경험적인 민중의 이익 곧 정의
②인성론
-인간의 행동은 욕구로부터 나옴
그 욕구는 ‘후천적으로 물들여진것’이라 주장
-행위뿐 아니라 도리와 본성까지 물들여지는 것으로 봄
③인식론
-존재론적으로는 의식과 사물을 구분하는 이론자
-인식론적으로는 마음보다 지각을 더 중시하는 경험론자
④초과소비론
-소비를 이용후생을 위한 정당한 소비와 재화의 본래 목적을 초과하여 인간에게 이롭지 않은 초과소비로 구분
-민중의 풍요로운 소비생활중시하면서도 초과노동으로 수고롭지 않고 여유로운 생활보장
5.묵자의 운명관
①인간은 자기운명의 주인이다
-운명론은 과거 성왕들의 역사적 경험에 위배된 잘못
-운명론은 민중들이 보고 들은 것이 아니므로 거짓
-운명론은 민중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고 해로운 것
②의식화된 민중
-인간의 의식은 사회관계로부터 규정
-습관사회통념문화제도 등 지배자들의 이데올로기에서 민중을 해방
6.묵자의 역사관
①민중적인 역사 이해
- 중국전통으로는 역사의 순환론 - 진보적인 주체사관 - 민중해방 사관
②민중적 구원사관
-만민평등은 하나님의 뜻 -옛 성왕들의 평등정치는 하나님의 뜻에 순종한 것으로 파악
기독교의 구원사관과 유사
③민중적 순환사관
-구원사관과 다른점 : 묵자의 하나님은 역사의 주인이 아니다
하나님은 인정하지만 사상은 유물론적 내지 경험론적
④민중적 주체사관
-역사의 주체는 물질이나 신이 아니라 민중, 인간의 운명과 역사는 인간이 만드는것
사회 개혁의 힘은 민중의 뜻과 주체적인 힘 / 운명론은 폭군이 지어낸 술책
⑤민중해방사관
-거짓된 사회통념 타파하고 운명은 스스로 만드는 것임을 의식화
-대동사회는 하나님의 뜻, 이를 위해 투쟁하는 민중에게는 축복
*참고서적 : 기세춘,『우리는 왜 묵자인가』, 초당.
묵적, 『묵자』, 박재범 역, 홍익출판사.
추천자료
{파우스트 Faust]에 나타난 지령 Erdgeist의 동양적 의미
유럽의 근대 형성에 미친 동양문화
유럽의 근대형성에 미친 동양문화
[송명철학][철학][사상][송][명][송명시대][송나라][명나라][송명철학의 발생 배경][송명철학...
노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맹자의...
화이트헤드의 실체철학 비판, 화이트헤드의 철학관(생성의 문제와 존재의 문제), 화이트헤드...
[교육철학][교육사상]교육철학(교육사상)의 정의,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능, 주요 교육철학...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개념, 교육철학(교육사상) 조건,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 문화주의 ...
의역학에 대한 고찰, 동양의학의 기원, 역의학의 이해, 역의학에 관한 저서, 주역속의 의학, ...
[철학자, 피타고라스, 베이컨,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야스퍼스]철학자 피...
[불교철학, 불교철학과 연기법, 불교철학과 우주론, 불교철학과 힌두이즘, 불교철학과 사사무...
[철학, 한국철학, 북한철학, 중국철학, 인도철학, 독일철학, 그리스철학(희랍철학), 한국, 북...
[철학][공익철학][법철학][구비철학][기독교철학][철학적 해석학]철학의 개념, 철학과 공익철...
[경제경영]동양제과 오리온 초코파이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