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한국철학
Ⅲ. 북한철학
1. 1950-1960년대 형성된 반 사대주의 주체사상
2. 1970-1980년대 인간중심의 주체사상
3. 1990-2000년대 종교화된 주체사상
Ⅳ. 중국철학
Ⅴ. 인도철학
Ⅵ. 독일철학
1. 사상 형성의 배경
2.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 근거
3. 보편성과 필연성
1) 분석 판단
2) 종합 판단
Ⅶ. 그리스철학(희랍철학)
참고문헌
Ⅱ. 한국철학
Ⅲ. 북한철학
1. 1950-1960년대 형성된 반 사대주의 주체사상
2. 1970-1980년대 인간중심의 주체사상
3. 1990-2000년대 종교화된 주체사상
Ⅳ. 중국철학
Ⅴ. 인도철학
Ⅵ. 독일철학
1. 사상 형성의 배경
2.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 근거
3. 보편성과 필연성
1) 분석 판단
2) 종합 판단
Ⅶ. 그리스철학(희랍철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념은 우파니샤드에 와서 더욱 심화되고 발전되어 인도철학의 중요한 개념으로 발전된다. 둘째는 엄격한 행위의 인과율에 대한 믿음이다. 즉 행위라 함은 주로 제사의 행위로서 올바른 방법으로 행한 행위는 자연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신의 뜻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그 결과를 초래한다는 사상이다. 이것은 인도철학의 대전제인 카르마(業)의 법칙에 대한 믿음의 효시라고 볼수 있다. 베다와 브라흐마나에서 이미 보이기 시작한 고대 인도인에 의한 세계의 통일적 원리에 대한 사유는 우파니샤드에 와서 그 절정을 이룬다. 비로서 우파니샤드에 이르러 본격적이고도 활발한 철학적 사유가 왕성해졌음을 알 수 있다. 베다의 끝에 위치하고 있는 우파니샤드는 Vedanta(베다의 끝/목적)라고도 불리며 육파철학의 하나인 베단타 철학의 기반을 이룰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학파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우파니샤드에서 비로소 윤회에 대한 인식을 확실히 가지며 그로인해 아트만과 브라흐만에 대한 개념도 명확히 대두되게 된다. 한편 이제 전시대와 같이 현세중심적, 행위중심적 사고에서 탈현세적, 행위초월적 사고를 가지게 됨과 동시에 그러한 사상은 베다와 브라흐만 철학과 적절히 조화, 갈등하여 인도 철학의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Ⅵ. 독일철학
1. 사상 형성의 배경
독일은 영국이나 프랑스에 비해 붕괴하고 있는 봉건적 관계 속에서 봉건적 경제 체제와 이에 상응하는 정치적 상부 구조 사이의 모순이 해결되지 않은 채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었다. 독일의 계몽주의 사상가(헤르러, 레싱, 쉴러, 괴테)나 관념론 철학자들은 근본적인 사회 경제적인 변혁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실현하는 혁명적 방식에는 반대하였다. 18C 末, 19C 初의 독일의 철학 사상은 근대 합리론으로 대표되는 17~18C 일련의 철학 사상의 연장이다. 칸트의 철학은 독단적인 대륙 합리론과 회의론적인 영국 경험론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2.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 근거
모든 인식은 경험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렇다고 모든 인식이 경험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경험적 인식 자체가 외부로부터 스스로 부과한 것과의 결합일 수 있기 때문이다. 칸트는 비판적 분석을 통해 이 두 가지 요소를 분리시킴으로써 경험 이전에 존재하는 선험적 인식 능력 탐구해야한다. 경험적 인식과 선천적(a priorie) 인식 → 경험적 인식은 경험을 통해서만 가능한 인식이지만 선천적 인식은 경험과 절대로 독립하여 성립하는 인식으로써 특히 경험이 전혀 섞이지 않은 순수 인식이다.
경험에 근원을 둔 판단은 그 판단이 근거를 둔 경험의 한계 내에서만 그 타당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칸트는 보편성과 필연성을 지닌 선천적 인식을 경험에 적용함으로써 과학적인 경험 일반의 보편성과 필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3. 보편성과 필연성
객관성의 유일한 척도이다. 경험적 실재에 대한 이러한 객관성을 지닌 판단을 가려 내기 위하여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의 구별을 도입하였다.
1) 분석 판단
B A → 아무런 경험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만 주어 개념을 반복해서 설명해 주므로 새로운 지식을 전달해 주지는 않는다.
2) 종합 판단
B A → 확장하는 판단 ⇒ 새로운 개념이 첨가되는 종합 판단은 분석 판단과는 달리 새로운 지식을 전달해 주지만 보편성이나 필연성을 결여한다.
칸트는 경험에 근원을 두지 않고 보편성과 필연성을 지닌 종합 판단의 가능성에 관심이 있었다. \'7+5=12\'라는 명제 → 종합 판단 : 수학적 명제는 결코 경험적인 것이 아니라 선천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수학적 명제는 우리가 경험에서 끌어낼 수 없고 모든 경우에 모든 사람에게 타당한 필연성과 보편성을 지닌다. 근거가 경험이면 그 종합 판단은 보편성과 필연성을 갖지 못하고, 근거가 경험이 아니면 그 종합 판단은 보편성과 필연성을 갖는다.
칸트는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성을 수학적 명제에서 확보하고, 이를 통해 자연 가학과 형이상학에서도 선천적 종합 판단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 나간다.
경험으로부터 독립해 있는 순수 감성과 순수 오성에 대한 탐구는 수학적 명제에서 확보된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성을 자연 과학과 형이상학에까지 확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Ⅶ. 그리스철학(희랍철학)
1) 2500년 전쯤부터 그리스를 비롯한 여러 문명발상지로부터 자연에 대한 본격적인 사색이 시작
2) \'지식 자체를 위한 지식\' 또는 자연에 대한 합리적, 체계적 추구라는 면에서의 과학은 BC7세기 소아시아 지방 밀레토스의 탈레스(Thales)에서 시작되었다고 봄
3) 그리스이전의 과학이 종교적, 초자연적이었다면, 그리스의 과학은 철학적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리스철학의 일부분을 이루었던 과학을 자연철학(自然哲學) 이라 일컬음
4) 그리스에서 합리적 과학의 발생이 가능했던 배경
- 신화시대에 축적된 자연에 대한 풍부한 정보. 오랜 기술문명에서 축적된 지식
- 부의 축적(항해, 진취적, 상업, 민주적) : 분업 가능-> 전문가 계급 탄생-> 사색, 연구-> 과학
- 새로운 문자의 발달
기원전 1천년 전부터 페니키아 민족으로부터 알파벳을 얻어 쓰기 시작
복잡한 고대문자대신에 간단한 표음문자 사용 : 정확한 의사 전달 효과
지식을 독점하던 사제계급대신에 지식을 전문으로 하여 지식을 위한 지식을 추구하는 학자가 탄생
5) 그리스인들은 즐겨 자연현상을 자기자신의 눈으로 관찰하고, 자기자신의 머리로 이해하려 했다
6) 그리스 과학 : \"우주의 根原이 무엇인가\" 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궁극적인 문제에 대한 학문적 활동에서 시작-> 지역적으로 그리스 본토가 아니라 지중해의 동쪽 소아시아연안에 있는 밀레토스(Miletos)에서 시작
참고문헌
김교빈 글, 이부록 그림, 한국 철학 에세이, 동녘, 2008
백종현, 독일철학과 20세기 한국의 철학, 철학과현실사, 1998
선우현 저, 우리 시대의 북한철학, 책세상, 2000
서행정, 인도철학 이야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
중국철학연구회 저, 논쟁으로보는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4
프리도 릭켄 저, 김성진 역, 고대그리스철학, 서광사, 2000
Ⅵ. 독일철학
1. 사상 형성의 배경
독일은 영국이나 프랑스에 비해 붕괴하고 있는 봉건적 관계 속에서 봉건적 경제 체제와 이에 상응하는 정치적 상부 구조 사이의 모순이 해결되지 않은 채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었다. 독일의 계몽주의 사상가(헤르러, 레싱, 쉴러, 괴테)나 관념론 철학자들은 근본적인 사회 경제적인 변혁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실현하는 혁명적 방식에는 반대하였다. 18C 末, 19C 初의 독일의 철학 사상은 근대 합리론으로 대표되는 17~18C 일련의 철학 사상의 연장이다. 칸트의 철학은 독단적인 대륙 합리론과 회의론적인 영국 경험론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2.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 근거
모든 인식은 경험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렇다고 모든 인식이 경험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경험적 인식 자체가 외부로부터 스스로 부과한 것과의 결합일 수 있기 때문이다. 칸트는 비판적 분석을 통해 이 두 가지 요소를 분리시킴으로써 경험 이전에 존재하는 선험적 인식 능력 탐구해야한다. 경험적 인식과 선천적(a priorie) 인식 → 경험적 인식은 경험을 통해서만 가능한 인식이지만 선천적 인식은 경험과 절대로 독립하여 성립하는 인식으로써 특히 경험이 전혀 섞이지 않은 순수 인식이다.
경험에 근원을 둔 판단은 그 판단이 근거를 둔 경험의 한계 내에서만 그 타당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칸트는 보편성과 필연성을 지닌 선천적 인식을 경험에 적용함으로써 과학적인 경험 일반의 보편성과 필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3. 보편성과 필연성
객관성의 유일한 척도이다. 경험적 실재에 대한 이러한 객관성을 지닌 판단을 가려 내기 위하여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의 구별을 도입하였다.
1) 분석 판단
B A → 아무런 경험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만 주어 개념을 반복해서 설명해 주므로 새로운 지식을 전달해 주지는 않는다.
2) 종합 판단
B A → 확장하는 판단 ⇒ 새로운 개념이 첨가되는 종합 판단은 분석 판단과는 달리 새로운 지식을 전달해 주지만 보편성이나 필연성을 결여한다.
칸트는 경험에 근원을 두지 않고 보편성과 필연성을 지닌 종합 판단의 가능성에 관심이 있었다. \'7+5=12\'라는 명제 → 종합 판단 : 수학적 명제는 결코 경험적인 것이 아니라 선천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수학적 명제는 우리가 경험에서 끌어낼 수 없고 모든 경우에 모든 사람에게 타당한 필연성과 보편성을 지닌다. 근거가 경험이면 그 종합 판단은 보편성과 필연성을 갖지 못하고, 근거가 경험이 아니면 그 종합 판단은 보편성과 필연성을 갖는다.
칸트는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성을 수학적 명제에서 확보하고, 이를 통해 자연 가학과 형이상학에서도 선천적 종합 판단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 나간다.
경험으로부터 독립해 있는 순수 감성과 순수 오성에 대한 탐구는 수학적 명제에서 확보된 선천적 종합 판단의 가능성을 자연 과학과 형이상학에까지 확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Ⅶ. 그리스철학(희랍철학)
1) 2500년 전쯤부터 그리스를 비롯한 여러 문명발상지로부터 자연에 대한 본격적인 사색이 시작
2) \'지식 자체를 위한 지식\' 또는 자연에 대한 합리적, 체계적 추구라는 면에서의 과학은 BC7세기 소아시아 지방 밀레토스의 탈레스(Thales)에서 시작되었다고 봄
3) 그리스이전의 과학이 종교적, 초자연적이었다면, 그리스의 과학은 철학적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리스철학의 일부분을 이루었던 과학을 자연철학(自然哲學) 이라 일컬음
4) 그리스에서 합리적 과학의 발생이 가능했던 배경
- 신화시대에 축적된 자연에 대한 풍부한 정보. 오랜 기술문명에서 축적된 지식
- 부의 축적(항해, 진취적, 상업, 민주적) : 분업 가능-> 전문가 계급 탄생-> 사색, 연구-> 과학
- 새로운 문자의 발달
기원전 1천년 전부터 페니키아 민족으로부터 알파벳을 얻어 쓰기 시작
복잡한 고대문자대신에 간단한 표음문자 사용 : 정확한 의사 전달 효과
지식을 독점하던 사제계급대신에 지식을 전문으로 하여 지식을 위한 지식을 추구하는 학자가 탄생
5) 그리스인들은 즐겨 자연현상을 자기자신의 눈으로 관찰하고, 자기자신의 머리로 이해하려 했다
6) 그리스 과학 : \"우주의 根原이 무엇인가\" 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궁극적인 문제에 대한 학문적 활동에서 시작-> 지역적으로 그리스 본토가 아니라 지중해의 동쪽 소아시아연안에 있는 밀레토스(Miletos)에서 시작
참고문헌
김교빈 글, 이부록 그림, 한국 철학 에세이, 동녘, 2008
백종현, 독일철학과 20세기 한국의 철학, 철학과현실사, 1998
선우현 저, 우리 시대의 북한철학, 책세상, 2000
서행정, 인도철학 이야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
중국철학연구회 저, 논쟁으로보는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4
프리도 릭켄 저, 김성진 역, 고대그리스철학, 서광사, 2000
추천자료
- [교육사상,교육철학]듀이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나토르프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니일의 교...
-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루소와 바제도, 유...
-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에라스무스, 루터,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
- 화이트헤드의 실체철학 비판, 화이트헤드의 철학관(생성의 문제와 존재의 문제), 화이트헤드...
- 노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공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묵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맹자의...
-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키케로와 에...
- [체육철학][체육철학의 변천][체육철학의 사상][체육철학의 내용][체육철학의 연구 방법][체...
-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에라스무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바제도, ...
- [종교철학][사랑][지그문트 프로이드][임마누엘 칸트][토마스 아퀴나스]종교철학의 개념, 종...
-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고르기아스, ...
- 서양사상(서양철학)의 개요,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피스트,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크라테...
- [철학, 철학 의미, 철학 어원, 철학 종류, 철학 대상, 철학 체계, 철학 방법]철학의 의미, 철...
- [철학][공익철학][법철학][구비철학][기독교철학][철학적 해석학]철학의 개념, 철학과 공익철...
- 교육의 철학-교육학의 필요성,교육학에 대한 철학,교육 철학의 정의,교육철학의 성격과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