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콜리즘 케이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알콜리즘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Ⅳ. 알콜간호기록지

Ⅴ. 현재력

Ⅵ. 문제확인

Ⅶ. 자료해석 및 문제진술

Ⅷ. 간호계획서

Ⅸ. 결론 및 느낀점

Ⅹ.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결의 실마리를 찾도록 도와준다.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반응에 관한 지식을 가지지 못해 물질남용에 계속 의존할 수 있다.
*자존감을 유지시키고 방어적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수용적인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자신을 알아봄으로서 문제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알 수 있다.
*직면은 환자가 부정을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3/14
*적응적 대처방법 세가지를 말하였다.
*가족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하였으나 수용해주지 않음에 대해 원망을 표현하였다.
간호진단
목표
간호중재
합리적 근거
평가
3/15
물질남용이 인체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지식부족
*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4가지에 대해 말한다.
*환자의 지식수준을 사정했다
*환자의 불안수준과 학습준비상태를 사정하였다.
* 적합한 학습방법을 결정하였다.
*참여뿐 아니라 습득한 지식을 정확히 설명하면 긍정적 귀환을 주었다.
*조용한 환경에서 학습하도록 하였다.
*궁금한 것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중증도 이상에서는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다.
*교육정도와 발달수준은 학습방법의 선택 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는 환경에서 학습이증진된다.
*질병에 대한 이해는 환자의 질병이행을 높인다.
3/15
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중 2가지 사항을 답하였다.
Ⅸ. 결론 및 느낀점
이번 정신과 케이스에서는 알콜리즘에 대해서 연구를 하였다. 알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알콜리즘 환자에 대하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일반인들이 알콜리즘에 대해 처음 접하는 것은 보통 TV 드라마를 통해서 일 것이다. 우리에겐 대중 대체에 비춰진 알콜리즘 환자의 모습이 각인되어 편견을 갖게 되었다. 정신 실습에 임하는 나 또한 왠지 모를 두려움을 지닌 채 병원에 가게 되었다.
약 3주간 환자들과 대화를 하면서 이런 편견을 조금 씩 버릴 수 있었다. 자살 문제는 최근 탤런트 이은주의 자살 사건 및 각종 가정의 동반 자살 문제로 사회적 관심이 뜨거워 졌다. 알콜리즘도 자살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로 봐야 하는 것이 옳다.
지난 3월 10일 가수 신해철은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하여, 술이 대마초보다 위험하다고 주장하였다. 신해철은 대마초는 폭력성, 흥분성과 관계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지나친 음주로 일어나는 음주운전사고, 폭력, 각종 범죄가 더 많은 사회적 피해를 일으킨다고 주장한 것이다. 물론 내가 대마초의 합법화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음주로 인한 피해가 심하다는 것에는 누구나 수긍할 것이다.
아래의 표는 알콜 중독에 의한 피해가 얼마나 많은지를 찾는 중 발견한 자료이다. 금전적으로 알콜 중독을 표현한 자료는 많지만, 위와 같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자료를 찾다 보니, 아래의 자료는 1975년도의 미국 자료이다.
평균수명
알콜중독자는 일반인에 비해 수명이 10-12년 짧음
알콜남용
미국내 피해 가족수 최소 3,600만명
음주운전 사망사고
70명/일, 26,000명/년
음주관련 산업재해
사망 12,600명(추계), 부상 220만명 (1975년)
항공사고
조종사가 사망한 항공사고의 44%는 승무원 음주 때문
수상사고
최고 69%
화재 사망사고
화재사망자의 83%가 음주와 관련, 화재 희생자의 53%는 알콜중독자
추락사고
사망자의 경우 최고 70%, 부상자의 경우 최고 63%
살 인
50%가 음주와 관련
자 살
33% 이상이 음주와 관련
성 폭 행
범행자의 50%, 피해자의 31%가 사건발생 직전에 음주
폭 행
가해자의 72%, 피해자의 79%가 사건발생 직전에 음주
아동학대
가해자의 77%가 아동학대전에 음주하거나, 아동을 학대하는 부모의 40%가 음주 때문에 문제를 일으켰던 경력의 소유자
절 도
절도자의 최고 72%가 술을 마시고 난 후 범행
경찰연행
경찰연행자의 33.3%가 음주운전이나 취중소란 행위 때문에 연행됨
직장결근율
알콜남용자가 정상적 근로자에 비해 결근율이 3배나 높음
표 - [미국에서의 알콜남용의 사회적 폐해. (미국 국립알콜남용 및 알콜중독연구소NIAAA, 1980)]
알콜리즘 환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자료를 조사하면서 알콜 중독에 이르게 된 원인을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먼저 마음의 진정을 알콜에 의존하려는 의존성이 있었고, 심리적인 억제를 제거하려는 원인도 있었고, 마지막으로 퇴행 혹은 고통스러운 일에서 벗어나려는 것 등이다. 알콜리즘은 본인이 보아온 환자들처럼 환자 자신에게도 고통일 뿐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알콜의 중독성과 금단현상 혹은 자신의 주위 환경 때문에 끊기가 힘들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도 다들 후회는 하고 있지만, 스스로의 힘으로 어쩔 수 없어 하는 분들이다.
학생으로서 지금까지 실습을 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느꼈다. 이번 정신 실습에서도 많은 것을 느꼈는데, 내가 아직까지는 의학적으로 지식도 많고, 배워 가는 입장에서 도와드릴 것도 많이 없지만, 나의 따뜻한 관심과 말 한마디가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환자들이 병을 치료하는데 실제로 많은 기여가 있었던 것 같아 보람이 컸다. 이들이 완치는 아니어도 어느 정도 절제력만 갖고, 혹은 재입원 하는 기간만 길어진다고 해도 그들이 다시 사회에 나갔을 때, 그들 주위에 있는 알콜 중독자들에게 그들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도 잠재적인 알콜리즘 환자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Ⅹ. 참고문헌
1. 이경순 외, (2000년), 정신건강간호학(하), 현문사. p.p 1043~1046, 1065~1079
2. 도복늠 외, (1999년), 최신정신간호학(하), 도서출판 정담, p.p 1013~1050
3. 정남운 외, (2000년), 알코올 중독, 학지사 p.p 12~187
4. 김상대 외,(1999년) 職場人 음주실태와 産業災害 유발사례, 한국국민경제학회 하계 학술연구발표회
5. 송미순 외, (2003년), 진단적검사와 간호, 현문사
6.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년), 간호진단과 계획, 현문사
7. 한윤복 외 2인,(1998년), 간호과정, 현문사, p.p 154~182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