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이해 - 어떻게 성서를 읽어야 할까?, 구약성서와 타낙, 오경의 구조, 해방에서 성화까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성서이해 - 어떻게 성서를 읽어야 할까?, 구약성서와 타낙, 오경의 구조, 해방에서 성화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어떻게 성서를 읽어야 할까?

2. 구약성서와 “타낙”(Tanak)

3. 오경의 구조

4. 해방에서 성화까지

5.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서의 이스라엘

6. 예언(預言)와 예언자(預言者)

7. 예언자의 신앙과 이스라엘 역사

8. 예언자의 신앙과 이스라엘 역사 (Ⅱ)

9. 성문서의 으뜸자리, 시편의 세계

10. 욥기의 물음, 욥기의 해결

11. 구약성서의 “행복론”

12. 묵시문학과 역대기 역사서

13. 결 론

본문내용

) - 제2이사야와 함께 포로기의 위대한 예언자
에스겔의 횐상 중에 그리고 있는 예루살렘 도성의 회복도 성전으로 귀환하시는 하나님으로 시작(하나님의 피난을 상징, 하나님의 귀향을 상징)
에스겔의 하나님 이야기(하나님의 피난, 하나님의 귀향)는 역사의 경험을 신화적인 언어로 표현한 것으로 하나님이 무능하셔서 예루살렘 성전이 폐허로 전락한 것이 아니라, 예루살렘의 부정으로 하나님이 성전 동쪽 문으로 빠져나가심으로써 그 성에 느부갓네살의 군대가 들이닥칠 수 있었다고 본다. - 포로기의 신학적 위기에 대한 預言者 에스겔의 위대한 처방이다.
하나님의 계심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왜 하나님이 역사 속에서 활동하지 않으셨는지에 대한 해답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으로 예루살렘에 거하시게 하는 것은 순전히 이스라엘이 할 탓이라는 것이다.
조상이 무엇을 어떻게 했고, 지금 이곳에 있는 이스라엘이 어떻게 살고 있느냐에 하나님의 귀향의 가능성을 푸는 열쇠가 있다는 것 - 개인의 책임이 중요하다.
9. 성문서의 으뜸자리, 시편의 세계
1) 성문서는 “기록된 글들”의 모음집
성문서란 우리말로 표기는 “거룩한(聖) 글들(文書)”이란 뜻(헬라어역구약성서가 욥기, 시편, 잠언 들을 “하기오그라파”(Haiographa)라고 부르는 데서 유래
실제로 히브리어성서의 명칭은 “거룩한 글들”이 아니고 케투빔 “글들”(the Writings)임
토라의 어원, 預言이란 말의 뜻이 “주어진 말씀”인데 케투빔이란 “신앙인이 기록한 글”
토라, 예언서 - 하나님 편에서 이스라엘에게로 향한 말씀의 전달
성문서 - 인간 편에서 하나님께 대한, 하나님의 하신 일과 말씀에 대한 인간의 반응(시, 소설, 이야기, 노래, 탄식, 우화, 묵시, 역사기록)
히브리어성서에는 성문서 배열순서로 시편-욥기-잠언서-다섯권의 두루마리-다니엘-에스겔-느헤미야-역대기
두루마리(Megillot)란 유대인들이 절기에 맞춰 낭독하던 두루마리
아가서(유월절), 룻기(칠칠절), 애가서(아빕월9일), 전도서(장막절), 에스더서(부림절)
구약성서 성문서는 시문학(시편), 지혜문학(욥기, 잠언, 다섯권의 두루마리), 묵시문학(다니엘), 역대기 기자의 작품(에스라, 느헤미야, 역대기)
2) 시편 : 찬양과 탄식
시편 - 유대인의 전통으로는 테힐림“Tehillim\"이라고 여겨지는 찬양
시편(150편 : 1-41;42-72;73-89;90-106;107-150)으로 구성 - 주전2-1C 하스몬 왕조시기
아마도 포로후기 제2성전 시기에 예배용으로 수집인 듯 하다.
아주 일찍부터 이스라엘 신앙인들의 사랑받는 노래요, 기도이었던 것(눅24:44).
궁켈(H. Gunkel)이라는 학자는 시편150편을 다섯가지 유형의 노래로 찬양시, 탄식시(개인의 탄식시/공동체 탄식시), 감사의 노래, 제왕시, 지혜시
찬양시 -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의 은총을 찬양하는 시
탄식시 - 어떤 개인이나 공동체가 고난 , 괴로움 중에 하나님께 부르짖는 유형의 시
10. 욥기의 물음, 욥기의 해결
1) 두 얼굴의 욥
91) 욥기 1-2장 ; 42:7-17(산문체의 글) - 설명체의 낭독
엄청난 재앙에도 불구하고 신에 대한 겸손과 복종을 잃지 않는 겸허한 의인
하나님의 인과응보율 긍정, 하나님의 시험에 합격한 욥
(고난 중에 신앙을 잃지 않는 의인)란 실상 오랜 세월동안 전해져 내려온 이야기
후대의 편집자가 서막과 끝맺음막으로 삽입 가능성
산문체의 욥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고친 욥을 오히려 전통적인 시각에서 수정
(2) 욥기 3:1-42:6(운문체의 드라마) - 각본에 맞춰 연출해야 하는 연극
고통을 용납하시는 하나님께 저항하고 거침없이 대드는 인간
하나님의 인과응보율 저항, 탄식, 하나님께 대한 불평, 하나님의 귀먹음, 하나님의 침묵에 대한 공박
(극심한 고난이 야기한 신앙인의 반항)으로 보아 설화보다는 퍽 나중에 생긴 것
욥기의 본래의 것
설화에 등장하는 욥에 대한 개정판
학자들은 욥기의 드라마에 대해 저자 당시의 극심한 상황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임.
욥기의 저작시대 결정에는 세 가지 입장
① 식민지살이 시대(포로기)
② 포로후기시대(제2성전이 세워지고도 도래하지 않는 하나님의 축복에서 좌절, 방황시대)
③ 그보다 훨씬 늦게 주전 500-350년 사이
맥켄지에 의하면 포로후기시대(주전6세기말에서 5세기초, 중엽 시기)
11. 구약성서의 “행복론”
1) 지혜란
지혜란 히브리어 호크마(hokmah) - 훈련, 경험, 특별한 재능에 의해 획득한 기술이나 능력을 뜻한다. : 회막을 만들었던 기능공(출36:8), 은장이(렘10:9), 석공(대상22:15), 배 만드는 기술자(겔27:9)의 기술을 가리킨다.
이스라엘의 지혜란 오랜 전통의 열매이다. - 족장들 시대 이래로 이스라엘 민족의 가족, 부족, 씨족, 공동체의 문화적, 사회적, 종교적 관습에서 자라난 전통의 결실들이다.
구약성서의 지혜정신이란 현실지향적이라는 것(실용적, 세속적, 미래지향적이 아님)
이스라엘의 지혜문학(잠언, 욥기, 전도서)은 공동체보다는 개인, 역사보다는 창조세계, 구원사건(해방)보다는 “살아가기”에 더 관심을 가짐.
2) 다섯 두루마리 (메길로트 : Megilloth)
다섯 두루마리 (Five Scrolls, Megilloth) - 시가서(아가서, 애가서), 단편소설(novelle, 룻기, 에스더), 지혜어록(전도서)
예배에서 읽혀진 두루마리들
아가서는 유월절(3-4월), 룻기는 칠칠절(Shavuot또는 오순절, 5-6절), 애가서는 예루살렘 성전의 함락일과 관련되는 아빕(Ab)월 제9일(7-8월), 전도서는 가을 추수절기인 초막절(Succot또는 수장절, 9-10월), 에스더서는 유대인이 학살위기를 모면한 것을 기념하는 부림절(Purim, 2-3월)
룻기 - 다윗의 조상의 반열에 들어 선 룻이라는 여인의 뿌리를 모압으로 설정 / 옛 예언자들의 신앙(하나님의 보편성)을 지혜정신의 맥락에서 계승하고 있다고 함
에스더서 - 인종적, 종교적 편견으로 인한 유대인 박해를 이야기의 소재, 비이성적(몰살을 면한 유대인이 똑같이 자기들을 죽이려 했던 자들을 몰살시키기 때문) / 식민자살이를 하던 유대인들로 하여금 “어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2.0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