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처란 무엇인가
2. 깨달은 자와 깨닫지 못한 자의 차이점.
(1) 공통점
(2) 차이점
2. 깨달은 자와 깨닫지 못한 자의 차이점.
(1) 공통점
(2) 차이점
본문내용
러나 깨닫지 못한 무지는 질그릇의 모양을 단순히 외형적ㆍ현상적 차이로서가 아니라 본질적 차이로 받아들이는 것처럼 환경과 조건의 차이를 본질적 차이로 이해한다.
여기서는 깨달은 사람이나 깨닫지 못한 사람이나 본질적으로는 평등하고 같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중생과 부처가 동등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생과 부처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면 중생이 아무리 수행하고 깨달아도 부처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중생이면 닦는다고 부처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깨달은 사람과 깨닫지 못한 사람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이를테면 깨달은 사람은 인종, 성별, 종교, 관념, 생각의 차이가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외형적ㆍ현상적 차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깨닫지 못한 사람은 그것을 근본적인 차이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깨달은 사람이나 깨닫지 못한 사람이나 본질적으로는 평등하고 같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중생과 부처가 동등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생과 부처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면 중생이 아무리 수행하고 깨달아도 부처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중생이면 닦는다고 부처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깨달은 사람과 깨닫지 못한 사람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이를테면 깨달은 사람은 인종, 성별, 종교, 관념, 생각의 차이가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외형적ㆍ현상적 차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깨닫지 못한 사람은 그것을 근본적인 차이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