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간척사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간척사업이란

간척의 역사

간척사업에 관한 찬반론
(1) 긍정적인 의견
(2) 부정적인 영향

본문내용

연기념물로 지정 할 것을 검토하기도 했다.
③ 회유성 생물의 회유로 차단
방조제의 건설은 하구를 통하여 하천의 상류로 올라가 서식하는 은어, 웅어, 뱀장어, 숭어, 참게 등의 회유로를 차단하여 어도를 설치하지 않으면 방조제 내에서는 이들이 사라지게 된다.
④ 공사시 해양의 오염
공사를 위하여 선박이 통행하고, 성토재를 투하하는 과정에서 부유물이 발생하고, 선박에서 유류가 배출될 수 있으며 경음기의 사용은 조류의 서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⑤ 공사를 위한 육상의 영향
성토재를 채취하기 위한 토취장, 채석장의 개발과 이들의 수송을 위한 진입도로 개설로 인한 절개지의 발생, 소음, 진동, 분진이 발생한다.
⑥ 담수호 수질의 악화
지금까지 개발한 담수호는 대부분 부 영양호화 되고 오염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간척을 해서 오염 부하량이 증가했다기보다는 유역의 오염원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오수를 담수호로 그대로 흘려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담수호의 부영양화는 담수호에서만 있는 일이 아니고 모든 댐도 마찬가지로 유입되는 영양염류가 호수에 축적되어 별도의 오염원 증가가 없어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 영양호화 하는 것이다. 예를 보면 가장 깨끗한 하천의 하나인 양양댐의 막히기 전의 인의 농도가 0.006㎎/ℓ로 Forsberg & Riding의 기준으로 빈영양호상태이고 호소수질등급 1등급의 수질을 보이나, 매년 호내에 침전된 영양염류의 1/3정도가 수표면으로 상승한다고 보면 각각 10년, 20년 후에는 0.011, 0,021㎎/ℓ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중영양호로 되고 호소수질등급도 2등급수로 전락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2.21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