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성숙장애
Ⅱ. 생리적 합병증
Ⅲ. 감염
Ⅳ. 모체측 요인
Ⅱ. 생리적 합병증
Ⅲ. 감염
Ⅳ. 모체측 요인
본문내용
고 위험 신생아
목차>
Ⅰ. 성숙장애
Ⅱ. 생리적 합병증
Ⅲ. 감염
Ⅳ. 모체측 요인
Ⅰ. 성숙장애
<체중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저체중아
☞ 정의 - 체중이 2.5kg 이하인 신생아
☞ 원인 - ① 모체의 원인 ; 산모의 체중, 흡연, 음주, 자궁경관무력증, 자궁의 기형과 확장된 자궁, 산모의 질병(급성 신우신염, 융모양막염, 저산소증, 고혈압, 임신중독증), 산모의 병력(유산, 사산, 습관성 미숙아 분만)
② 태아의 원인 ; 태아곤란증, 선천성 기형아, 태아적아구증, 염색체 이상, 태내 감염, 다생아
③ 태반의 원인 ; 양막 파열, 태반의 조기박리 및 전치태반, 태반기능부전, 종양, 쌍생아간 출혈
④ 사회 경제적 원인 ; 사회 경제적 환경이 좋지 않은 산모(나쁜 영양상태, 빈혈, 부적절한 산전간호)
☞ 증상 - 생후 1주 내에 사망하는 예로는 호흡곤란증후군(RDS)유리질막증(HMD)두개내 출혈이 가장 중요한 사인이고, 폐렴패혈증뇌막염 같은 감염도 중요한 사인이며, 생후 1주 이후에도 감염증에 의해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후유증으로는 뇌성마비, 청각이나 시각 장애, 학습장애 등이 올 수 있다.
☞ 간호 - 감염 예방, 중성 온도 환경 제공, 수화 유지, 영양 공급, 피부손상 예방, 호흡 노력을 지지, 에너지 보존, 신체적 적응을 촉진, 생리적 상태 결정, 감각적 자극 제공, 부모에게 영아의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형제. 자매 .부모-신생아의 애착을 증진시킴
☞ 관찰 및 수행 - 쌍둥이가 저체중아로 태어났다. 산소를 공급해주고, BST 체크도하고, 5DW를 주었다. 산소포화도 측정기와 인퓨전 펌프를 가지고 있었다, 너무 조금해서 숨을 쉬는 것조차도 힘들어 보였다.
과체중아
☞ 정의 - 출생시 체중이 4000g이상인 신생아
☞ 원인 - 모친의 체격이 클 때, 아이를 낳은 경험이 많은 산모,
- 산모가 당뇨병에 걸린 상태에서 임신했을 때
- 산모가 비대증에 걸렸을 때
- 과숙아나 거대아를 출산했던 과거가 있을 때
☞ 증상 - 분만 도중 산모의 질에 어깨가 걸려 나오지 못하는 견갑난산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높고, 분만 및 출산 후에 자궁수축부전 등이 올 수 있고 아두골반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 치료 - 과체중아가 질분만을 거치려면 산모뿐 아니라 아기도 고생을 하게 되는데 그 결과로 아기는 쇄골골절, 간이나 비장파열, 부신피질 출혈, 심한 질식 등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분만을 하게 되는데 유도분만을 시도하다가 태아가 위험에 처한다든지 진행이 안 되는 경우에는 제왕절개를 고려하기도 한다.
☞ 관찰 및 수행 - 4.77kg아기가 태어났다. 이 아이는 호흡이 정상이라서 incubator에 들어가지 않았다. BST 체크하고, 우유도 잘 먹었다.
<재태 기간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미숙아
☞ 정의 - 임신 37주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미숙아 또는 조기산아 또는 조산아라고 한다. 신생아의 체중이 2.5kg 이하인 미숙아나 만삭에 태어났지만 체중이 2.5kg 이하인 신생아
☞ 원인 - 해로운 환경이 복합된 하류계층에서는 빈도가 높다.
- 어머니측의 원인 : 다태임신, 자간전증, 태반이상, 산모의 심한 질병, 자궁문제
- 태아의 원인 : 선천성기형아, 태아적아구증, 염색체 이상등이 있다. 임산부가 어떤 병을 앓기 때문에 임신 37주일 전에 제왕절개 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
☞ 증상 - 매우 작고 야윈 외모
- 피부 : 적색에서 분홍색, 정맥이 보임
- 가늘고 솜털같은 머리카락 : 등과 얼굴에 솜털
- 피하지방이 적거나 없음
-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큼
- 흡철패드가 두드러짐
- 귀 연골의 발달 미약
- 손바닥, 발바닥에 주름이 적거나 없음
- 여아에서 음핵 돌출
- 남아에서 음낭발달 미약, 고환 하강이 안됨
- 관절이 이완되고, 쉽게 조작됨
- 잡는 반사, 빠는 반사, 연하반사가 없거나 약하거나 비효과적임
- 기타 신경학적 징후가 없거나 감소됨
- 체온을 유지할 수 없음
- 희석된 소변
- 유연한 흉곽
- 주기적 호흡, 환기 저하
- 빈번한 무호흡
☞ 치료 - 미숙아는 해부적, 생리적, 생화학적 미숙의 결과, 신생아기에 관리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미숙아 출생이 예상되면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알리고, 소아과 의사가 대기한다. 소생술이 필요없는 미숙아는 보온된 isolette에 넣어서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곧바로
목차>
Ⅰ. 성숙장애
Ⅱ. 생리적 합병증
Ⅲ. 감염
Ⅳ. 모체측 요인
Ⅰ. 성숙장애
<체중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저체중아
☞ 정의 - 체중이 2.5kg 이하인 신생아
☞ 원인 - ① 모체의 원인 ; 산모의 체중, 흡연, 음주, 자궁경관무력증, 자궁의 기형과 확장된 자궁, 산모의 질병(급성 신우신염, 융모양막염, 저산소증, 고혈압, 임신중독증), 산모의 병력(유산, 사산, 습관성 미숙아 분만)
② 태아의 원인 ; 태아곤란증, 선천성 기형아, 태아적아구증, 염색체 이상, 태내 감염, 다생아
③ 태반의 원인 ; 양막 파열, 태반의 조기박리 및 전치태반, 태반기능부전, 종양, 쌍생아간 출혈
④ 사회 경제적 원인 ; 사회 경제적 환경이 좋지 않은 산모(나쁜 영양상태, 빈혈, 부적절한 산전간호)
☞ 증상 - 생후 1주 내에 사망하는 예로는 호흡곤란증후군(RDS)유리질막증(HMD)두개내 출혈이 가장 중요한 사인이고, 폐렴패혈증뇌막염 같은 감염도 중요한 사인이며, 생후 1주 이후에도 감염증에 의해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후유증으로는 뇌성마비, 청각이나 시각 장애, 학습장애 등이 올 수 있다.
☞ 간호 - 감염 예방, 중성 온도 환경 제공, 수화 유지, 영양 공급, 피부손상 예방, 호흡 노력을 지지, 에너지 보존, 신체적 적응을 촉진, 생리적 상태 결정, 감각적 자극 제공, 부모에게 영아의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형제. 자매 .부모-신생아의 애착을 증진시킴
☞ 관찰 및 수행 - 쌍둥이가 저체중아로 태어났다. 산소를 공급해주고, BST 체크도하고, 5DW를 주었다. 산소포화도 측정기와 인퓨전 펌프를 가지고 있었다, 너무 조금해서 숨을 쉬는 것조차도 힘들어 보였다.
과체중아
☞ 정의 - 출생시 체중이 4000g이상인 신생아
☞ 원인 - 모친의 체격이 클 때, 아이를 낳은 경험이 많은 산모,
- 산모가 당뇨병에 걸린 상태에서 임신했을 때
- 산모가 비대증에 걸렸을 때
- 과숙아나 거대아를 출산했던 과거가 있을 때
☞ 증상 - 분만 도중 산모의 질에 어깨가 걸려 나오지 못하는 견갑난산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높고, 분만 및 출산 후에 자궁수축부전 등이 올 수 있고 아두골반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 치료 - 과체중아가 질분만을 거치려면 산모뿐 아니라 아기도 고생을 하게 되는데 그 결과로 아기는 쇄골골절, 간이나 비장파열, 부신피질 출혈, 심한 질식 등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분만을 하게 되는데 유도분만을 시도하다가 태아가 위험에 처한다든지 진행이 안 되는 경우에는 제왕절개를 고려하기도 한다.
☞ 관찰 및 수행 - 4.77kg아기가 태어났다. 이 아이는 호흡이 정상이라서 incubator에 들어가지 않았다. BST 체크하고, 우유도 잘 먹었다.
<재태 기간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미숙아
☞ 정의 - 임신 37주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미숙아 또는 조기산아 또는 조산아라고 한다. 신생아의 체중이 2.5kg 이하인 미숙아나 만삭에 태어났지만 체중이 2.5kg 이하인 신생아
☞ 원인 - 해로운 환경이 복합된 하류계층에서는 빈도가 높다.
- 어머니측의 원인 : 다태임신, 자간전증, 태반이상, 산모의 심한 질병, 자궁문제
- 태아의 원인 : 선천성기형아, 태아적아구증, 염색체 이상등이 있다. 임산부가 어떤 병을 앓기 때문에 임신 37주일 전에 제왕절개 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
☞ 증상 - 매우 작고 야윈 외모
- 피부 : 적색에서 분홍색, 정맥이 보임
- 가늘고 솜털같은 머리카락 : 등과 얼굴에 솜털
- 피하지방이 적거나 없음
-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큼
- 흡철패드가 두드러짐
- 귀 연골의 발달 미약
- 손바닥, 발바닥에 주름이 적거나 없음
- 여아에서 음핵 돌출
- 남아에서 음낭발달 미약, 고환 하강이 안됨
- 관절이 이완되고, 쉽게 조작됨
- 잡는 반사, 빠는 반사, 연하반사가 없거나 약하거나 비효과적임
- 기타 신경학적 징후가 없거나 감소됨
- 체온을 유지할 수 없음
- 희석된 소변
- 유연한 흉곽
- 주기적 호흡, 환기 저하
- 빈번한 무호흡
☞ 치료 - 미숙아는 해부적, 생리적, 생화학적 미숙의 결과, 신생아기에 관리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미숙아 출생이 예상되면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알리고, 소아과 의사가 대기한다. 소생술이 필요없는 미숙아는 보온된 isolette에 넣어서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곧바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