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는 청자가 그 사실을 알고 있다고 화자가 전제하는 경우에 쓰인다.
③‘-게’
평서문과 의문문에만 쓰이며 종결어미 ‘-게’와 차이가 있다.
예) 내가 넌 줄 아니? 그런 사람을 좋아하게. →종결어미
너 빨리 시집가라. 손자 좀 안아 보게. →부사형 어미
④‘-네’
‘-네’는 하게체의 ‘-네’와 그 형태가 같지만 용법에 있어 구별되는데 반말의 ‘-네’는 혼잣말이나 혼잣말의 형식을 빈 간접화행인데 반해 하게체의 ‘-네’는 청자를 설정한 대화에 쓰인다.
예) 비가 오네. → 반말
그럼 난 이만 가보겠네. 잘 있게. → 하게체
‘-네’는 발화 현장에서 새로 지각하여 알게 된 사실을 나타낸다.
예) 영희가 우산을 두고 갔네.
‘-네’는 의문문에 쓰이는데 주로 선어말어미 ‘-겠-’과 결합하여 화자가 그러하리라고 추측하고 있는 사실에 대해 청자에게 가부를 묻는 질문이다.
예) 지금쯤 영희가 도착했겠네?
⑤‘-군’
어미 ‘-군’은 평서문에 쓰여서 새로 알게 된 사실을 화자 스스로 확인하는 혼잣말에 사용되는 종결어미로 ‘-네’가 가진 놀라움이나 감탄의 의미가 약하고 대신 혼잣말의 기능이 크다.
예) 이런! 지갑을 안 가지고 왔군.
‘-군’은 동일 서술어 반복하는 경우에 맨 처음 발화에 결합된다.
예) 잘했군, 잘했어. (○)
잘했어, 잘했군. (×)
또한 새로 알게 된 사실보다는 어느 정도 짐작하고 있던 것을 확인하는 정도라 할 수 있다.
예) 내일이면 공사가 끝나겠더군.
《참고 문헌》
국어문법론강의 / 이익섭, 채완 공저
국어 문법 연구 -형태통어론- / 김기혁 저
국어학 서설 / 노대규 외
③‘-게’
평서문과 의문문에만 쓰이며 종결어미 ‘-게’와 차이가 있다.
예) 내가 넌 줄 아니? 그런 사람을 좋아하게. →종결어미
너 빨리 시집가라. 손자 좀 안아 보게. →부사형 어미
④‘-네’
‘-네’는 하게체의 ‘-네’와 그 형태가 같지만 용법에 있어 구별되는데 반말의 ‘-네’는 혼잣말이나 혼잣말의 형식을 빈 간접화행인데 반해 하게체의 ‘-네’는 청자를 설정한 대화에 쓰인다.
예) 비가 오네. → 반말
그럼 난 이만 가보겠네. 잘 있게. → 하게체
‘-네’는 발화 현장에서 새로 지각하여 알게 된 사실을 나타낸다.
예) 영희가 우산을 두고 갔네.
‘-네’는 의문문에 쓰이는데 주로 선어말어미 ‘-겠-’과 결합하여 화자가 그러하리라고 추측하고 있는 사실에 대해 청자에게 가부를 묻는 질문이다.
예) 지금쯤 영희가 도착했겠네?
⑤‘-군’
어미 ‘-군’은 평서문에 쓰여서 새로 알게 된 사실을 화자 스스로 확인하는 혼잣말에 사용되는 종결어미로 ‘-네’가 가진 놀라움이나 감탄의 의미가 약하고 대신 혼잣말의 기능이 크다.
예) 이런! 지갑을 안 가지고 왔군.
‘-군’은 동일 서술어 반복하는 경우에 맨 처음 발화에 결합된다.
예) 잘했군, 잘했어. (○)
잘했어, 잘했군. (×)
또한 새로 알게 된 사실보다는 어느 정도 짐작하고 있던 것을 확인하는 정도라 할 수 있다.
예) 내일이면 공사가 끝나겠더군.
《참고 문헌》
국어문법론강의 / 이익섭, 채완 공저
국어 문법 연구 -형태통어론- / 김기혁 저
국어학 서설 / 노대규 외
추천자료
국어문법 <문장론> 요약정리 서브노트
국어의 격과 조사
국어의 격과 조사
국어의 문법적 오용에 관한 정리
중세국어 보조조사
2011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맞춤법과표준어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3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