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보조조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 보조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세국어 <보조사>

3기 : 김주상
1. 현대국어에서 해결해야 할 보조사 관련 문제들
가. 술어의 문제
나. 보조사에 대한 성격 규정
다. 다른 요소들과의(의존명사, 접미사, 어미, 후치사, 격조사 등) 변별 문제
라. 중세국어 보조사의 목록 확정 문제

2. 다음을 보조사로 볼 수 있는가?
가. 대격의 '(으)란'
나. 정도의 '만'
다. 단독의 ''
라. 비교의 '두고(두곤/도곤)'와 '(이)라와'
마. 주격표시 '이라셔'
바. 강세 '곰'
사. 같이 '대로/자히'

※ 참고문헌

본문내용

브른 제 말 어둠두곤 더으니 <번노상:43>
2)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청산별곡>
3) 다 올히 넷 올히라와 됴토다 <두초 8:35>
보조사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포를 특징으로 하는데, \'두고\'는 비교의 대상이 되는 명사 구의 뒤에만 분포가 제약되어 있으며 뒤따르는 용언도 형용사만이 허용된다. 더욱이 \'비교 격조사\'라는 허웅, 고영근, 최범훈 등은 비교격조사로 다루고 있다.
것을 이미 설정하고 난 후에 보조사에 \'비교\'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은 모순 이다. 또한 격조사는 보조사에 비해 분포가 매우 제한되어 있고, 선행하는 문법 단위와 통 합되었을 때 격조사는 문법적인 자격을 부여하는 반면 보조사는 말 뜻만 보태준다.
마. 주격표시 \'이라셔\'
1) 나히 스믈 다시라셔 百歲옛 사 <법화 5:115>
2)
  • 가격1,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