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배란, 수정, 착상
※ 임신 개월 수에 따른 태아의 발달
2. 임신 중 나타날 수 있는 증상
3. 기형아의 예방
4. 습관성 유산
5. 임신중에 발견되는 이상
▶ 분만
1. 조산의 세가지 징후
2. 조산예방법
3. 여러가지 분만 방법
진입(engagement)
하강(descent)
굴곡(flexion)
내전(internal rotation)
신전(flexion)
외회전(external rotation)
만출(expulsion)
2. 무통분만
3. 제왕 절개 수술
4. 수중분만
5. 경막외 차단술
6. 라마즈 분만
7. 그네분만
8. 소프롤로지(Sophrology)식 분만법
9. 연상법
10. 이완법
※ 임신 개월 수에 따른 태아의 발달
2. 임신 중 나타날 수 있는 증상
3. 기형아의 예방
4. 습관성 유산
5. 임신중에 발견되는 이상
▶ 분만
1. 조산의 세가지 징후
2. 조산예방법
3. 여러가지 분만 방법
진입(engagement)
하강(descent)
굴곡(flexion)
내전(internal rotation)
신전(flexion)
외회전(external rotation)
만출(expulsion)
2. 무통분만
3. 제왕 절개 수술
4. 수중분만
5. 경막외 차단술
6. 라마즈 분만
7. 그네분만
8. 소프롤로지(Sophrology)식 분만법
9. 연상법
10. 이완법
본문내용
와 기분이 좋을 때 다르듯이 정신 예방적인 훈련, 다시 말해서 호흡법 및 이완법을 사용하고 연상법을 이용하여 통증에 대한 감각을 훨씬 완화시키는 것이 라마즈 분만법이다. 라마즈 분만법의 또 다른 특징은 미래의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분만시의 진통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임산부에게 남편의 따스한 보살핌으로 위안과 안정감을 주고 아버지에게는 한 가장으로서의 책임과 긍지를 심어 주는 것이다.
(호흡)
라마즈 분만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데 이 호흡법의 기본은 흉식 호흡법이다 호흡을 함으로써 두가지 효과를 볼 수 있는 데 첫째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함으로서 근육 및 체내 조직의 이완을 촉진하고, 태아에게 산소 공급을 원활히 되게 함으로써 태아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또 다른 효과로는 진통에만 집중하던 관심을 호흡 쪽으로 돌려서 진통을 그만큼 줄일 수도 있다. 호흡법을 익히기에 앞서서 중요한 것은 개인마다 호흡수가 다르므로 각자 자신에게 적당한 방법으로 호흡법을 익혀야 한다. 우선 본인의 정상 호흡수를 알아야 하는 데 이는 1 분간 호흡수를 측정하면 된다. 보통 1 분 간 정상 호흡수는 17 내지 22 회 정도 이다. 진통이 강해지면 호흡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는 데 이때 조심할 것은 과호흡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과호흡은 본인의 정상 호흡수의 2 배 이상 호흡을 하거나 호흡량이 너무 많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과호흡의 현상은 현기증이 나거나 손, 다리가 저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과호흡 현상이 일어나면 종이 봉투를 입에 대고 내쉰 숨을 다시 들이마시도록 하면 된다.
7. 그네분만
그네분만에 의하면 진통이 오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또는 진통이 올 때마다 산모를 흔들어 주면서 분만할 경우 분만진통이 더 편안해지고 진통도 상당히 완화되며 회음부 절개술을 줄일 수 있다. 미국서부지역 인디언들은 담요 위에 산모를 눕히고 흔들어서 분만을 한다고 한다. 그네분만은 최근 가장 진보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는 가장 활성화된 분만 자세로서 진통이 올 때마다 흔들거리면서 분만하는 자세(Roman Birth Wheel을 이용한 분만 방법)라 하겠다. 쪼그리고 앉은 자세에서의 분만방법은 골반 중간 직경이 넓어지며 골반출구직경도 전후 2cm, 좌우 1cm정도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음부 절개술은 1742년 Ould가 난산에서 처음으로 적용했으며 1920 년부터 모든 분만에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모든 분만에 대한 회음부절개술은 반대하는 경향이다. 유럽에서는 회음부절개술을 30%, 우리 나라에서는 90% 이상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대부분 회음부 절개술을 선호하는 이유는 바르고 깨끗한 절개이므로 불규칙한 열상을 예방해주고 봉합하기도 쉬우며 수술 후 통증이 경감되고 치유도 더 빠르다는 오랜 통념 때문인데 수술 후 출혈량이 더 증가되고 얻는 것 보다 읽는 것이 더 많다는 최근 보고가 있다.
8. 소프롤로지(Sophrology)식 분만법
소프롤로지식 분만 법이란 훈련(영상훈련, 이완법, 호흡법)을 통하여 임신기간중 조화로운 생활을 하고, 자신 스스로 분만을 조절하여 자율뷴만 및 무통분만을 할 수 있고, 모성으로서의 자기자신을 전면적으로 인정하여 태교, 모유수유 및 육아에 성공할 수 있는 분만법이다. 무통분만으로 알려진 경막외 마취법이나, 진통제를 이용하는 경우 자궁문이 3~4cm정도 열려야 가능하며, 정신예방성 무통분만법으로 알려진 라마즈 분만에 비해서 훨씬 실제적이며, 태교, 모유수유 및 육아에 걸쳐 임신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소프롤로지는 1960년 스페인의 정신과 의사인 Alfonso Caycedo 박사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으며 1976년 프랑스 산부인과의사인 Jeanne Creff에 의해 분만법이 도입되었다. 이는 서양의 훈련법인 제이코프슨의 점진적 근이완법 (근육을 긴장이나 이완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하면서 근육의 이완을 배우는 훈련방법)과 슐츠의 자율훈련법을 동양의 훈련수기인 일본의 선과 인도의 요가를 절묘하게 배합시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양적인 발상에 기초를 두고 있는 훈련법으로 동양인에게 가장 잘 맞는 분만법이라 하겠다.
소프트롤로지식 훈련은 테이프를 통한 영상훈련, 이완법과 호흡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훈련시 의식상태는 정신적, 육체적인 이완상태로 이끄는 각성상태와 이완상태의 중간인 소프로리미날상태(잠이 들기 직전과 잠이 깨기 직전의 의식상태)에서 실시한다. 소프롤로지식 사고에서는 모든것을 긍정적인, 건설적인 방법(Positive & Constructive manner)으로 생각한다. 이런 방법으로 분만의 두려움, 걱정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여러분은 분만통을 태아의 출생에 있어 중요한 에너지로 간주하게 되고 분만이란 산모와 태아가 처음으로 하는 공동작업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소프롤로지식 분만은 감동으로 충만되어 있으며 실제 장면은 아주 조용하고 평화롭다. 동통의 호소 없이 명료한 의식을 갖고 여러분의 신생아와 인상적인 접촉(Bonding)을 하게 될 것이다. 소프롤로지를 잘 숙달하면, 훌륭한 감동적인 분만을 할 수 있으며 여러분의 미래의 삶에 희망과 용기를 증가시켜 줄 것이다.
9. 연상법
연상법이란 말 그대로 어떠한 상황, 그 중 기분 좋은 상황을 머리 속에 그려서 엔돌핀의 분비를 증가시켜 통증을 낮추는 방법이다. 이 연상법은 막상 진통이 시작되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즐거웠던 기억을 되살려 평소에도 꾸준히 연습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10. 이완법
진통이 시작되면 배만 아픈 것이 아니고 통증 때문에 온 몸이 경직되고 경직된 근육에서 나오는 젖산의 축적으로 더욱 더 피로와 통증이 누적된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이완을 시키게 되면 리렉신이라는 물질이 나와서 이완도 촉진되고 그로 인해 엔돌핀이 분비되어 통증이 줄어든다. 이 이완법의 방법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온몸의 힘을 빼는 것인데 몸의 관절 부위부터 힘을 빼 보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참고》
전주인터넷산부인과 http://www.patima.co.kr/
모태산부인과 홈페이지 http://www.motae.com/
(호흡)
라마즈 분만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데 이 호흡법의 기본은 흉식 호흡법이다 호흡을 함으로써 두가지 효과를 볼 수 있는 데 첫째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함으로서 근육 및 체내 조직의 이완을 촉진하고, 태아에게 산소 공급을 원활히 되게 함으로써 태아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또 다른 효과로는 진통에만 집중하던 관심을 호흡 쪽으로 돌려서 진통을 그만큼 줄일 수도 있다. 호흡법을 익히기에 앞서서 중요한 것은 개인마다 호흡수가 다르므로 각자 자신에게 적당한 방법으로 호흡법을 익혀야 한다. 우선 본인의 정상 호흡수를 알아야 하는 데 이는 1 분간 호흡수를 측정하면 된다. 보통 1 분 간 정상 호흡수는 17 내지 22 회 정도 이다. 진통이 강해지면 호흡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는 데 이때 조심할 것은 과호흡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과호흡은 본인의 정상 호흡수의 2 배 이상 호흡을 하거나 호흡량이 너무 많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과호흡의 현상은 현기증이 나거나 손, 다리가 저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과호흡 현상이 일어나면 종이 봉투를 입에 대고 내쉰 숨을 다시 들이마시도록 하면 된다.
7. 그네분만
그네분만에 의하면 진통이 오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또는 진통이 올 때마다 산모를 흔들어 주면서 분만할 경우 분만진통이 더 편안해지고 진통도 상당히 완화되며 회음부 절개술을 줄일 수 있다. 미국서부지역 인디언들은 담요 위에 산모를 눕히고 흔들어서 분만을 한다고 한다. 그네분만은 최근 가장 진보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는 가장 활성화된 분만 자세로서 진통이 올 때마다 흔들거리면서 분만하는 자세(Roman Birth Wheel을 이용한 분만 방법)라 하겠다. 쪼그리고 앉은 자세에서의 분만방법은 골반 중간 직경이 넓어지며 골반출구직경도 전후 2cm, 좌우 1cm정도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음부 절개술은 1742년 Ould가 난산에서 처음으로 적용했으며 1920 년부터 모든 분만에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모든 분만에 대한 회음부절개술은 반대하는 경향이다. 유럽에서는 회음부절개술을 30%, 우리 나라에서는 90% 이상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대부분 회음부 절개술을 선호하는 이유는 바르고 깨끗한 절개이므로 불규칙한 열상을 예방해주고 봉합하기도 쉬우며 수술 후 통증이 경감되고 치유도 더 빠르다는 오랜 통념 때문인데 수술 후 출혈량이 더 증가되고 얻는 것 보다 읽는 것이 더 많다는 최근 보고가 있다.
8. 소프롤로지(Sophrology)식 분만법
소프롤로지식 분만 법이란 훈련(영상훈련, 이완법, 호흡법)을 통하여 임신기간중 조화로운 생활을 하고, 자신 스스로 분만을 조절하여 자율뷴만 및 무통분만을 할 수 있고, 모성으로서의 자기자신을 전면적으로 인정하여 태교, 모유수유 및 육아에 성공할 수 있는 분만법이다. 무통분만으로 알려진 경막외 마취법이나, 진통제를 이용하는 경우 자궁문이 3~4cm정도 열려야 가능하며, 정신예방성 무통분만법으로 알려진 라마즈 분만에 비해서 훨씬 실제적이며, 태교, 모유수유 및 육아에 걸쳐 임신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소프롤로지는 1960년 스페인의 정신과 의사인 Alfonso Caycedo 박사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으며 1976년 프랑스 산부인과의사인 Jeanne Creff에 의해 분만법이 도입되었다. 이는 서양의 훈련법인 제이코프슨의 점진적 근이완법 (근육을 긴장이나 이완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하면서 근육의 이완을 배우는 훈련방법)과 슐츠의 자율훈련법을 동양의 훈련수기인 일본의 선과 인도의 요가를 절묘하게 배합시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양적인 발상에 기초를 두고 있는 훈련법으로 동양인에게 가장 잘 맞는 분만법이라 하겠다.
소프트롤로지식 훈련은 테이프를 통한 영상훈련, 이완법과 호흡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훈련시 의식상태는 정신적, 육체적인 이완상태로 이끄는 각성상태와 이완상태의 중간인 소프로리미날상태(잠이 들기 직전과 잠이 깨기 직전의 의식상태)에서 실시한다. 소프롤로지식 사고에서는 모든것을 긍정적인, 건설적인 방법(Positive & Constructive manner)으로 생각한다. 이런 방법으로 분만의 두려움, 걱정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여러분은 분만통을 태아의 출생에 있어 중요한 에너지로 간주하게 되고 분만이란 산모와 태아가 처음으로 하는 공동작업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소프롤로지식 분만은 감동으로 충만되어 있으며 실제 장면은 아주 조용하고 평화롭다. 동통의 호소 없이 명료한 의식을 갖고 여러분의 신생아와 인상적인 접촉(Bonding)을 하게 될 것이다. 소프롤로지를 잘 숙달하면, 훌륭한 감동적인 분만을 할 수 있으며 여러분의 미래의 삶에 희망과 용기를 증가시켜 줄 것이다.
9. 연상법
연상법이란 말 그대로 어떠한 상황, 그 중 기분 좋은 상황을 머리 속에 그려서 엔돌핀의 분비를 증가시켜 통증을 낮추는 방법이다. 이 연상법은 막상 진통이 시작되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즐거웠던 기억을 되살려 평소에도 꾸준히 연습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10. 이완법
진통이 시작되면 배만 아픈 것이 아니고 통증 때문에 온 몸이 경직되고 경직된 근육에서 나오는 젖산의 축적으로 더욱 더 피로와 통증이 누적된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이완을 시키게 되면 리렉신이라는 물질이 나와서 이완도 촉진되고 그로 인해 엔돌핀이 분비되어 통증이 줄어든다. 이 이완법의 방법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온몸의 힘을 빼는 것인데 몸의 관절 부위부터 힘을 빼 보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참고》
전주인터넷산부인과 http://www.patima.co.kr/
모태산부인과 홈페이지 http://www.motae.com/
추천자료
노인자원봉사 활동내용 및 실습일지, 소감문
복지기관 자원봉사 및 체험 실습보고서,종합사회복지관,기관의 주요 사업내용,사회복지사의 ...
(방통대)평생교육사 현장실습일지(참고예시용)
사회복지 현장 실습 종결 보고서 - 최종 평가서
산부인과 자궁경부암 실습
[간호학 case study]보건소 모자보건실 간호실습
부인과 case, 실습일지
[간호학]수술실 실습-담낭수술
평생교육기관(시설) 조사 및 실습가능여부 파악
신체 조성 평가 실습 보고서 (캘리퍼를 이용한) (신체조성 평가 방법, BIA 측정 방법).ppt
사회복지, 장애인복지관 <실습일지> (18개)
[가족생활교육 및 실습][한 사람을 평생 사랑하는 법](예비부부를 대상으로 한 외도예방 프로...
[정신과 실습] Bipolar affective disorder(양극성 장애) CASE
[모성간호학 실습] A+받은 myoma(자궁근종)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