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려시대의 역사문학 - 김부식, 삼국사기 -
<목 차>
I. 서론 - ‘역사문학’이란 무엇인가?
II. 본론
1. 김부식의 생애 - 시간, 사건을 중심으로
2. 김부식의 사상과 문학 - 12세기 고려 문풍을 중심으로
3. 김부식의 사상과 문학 - 「진삼국사기표」를 중심으로
4. 삼국사기의 문학사적 의의
III. 결론
<참고문헌>
<목 차>
I. 서론 - ‘역사문학’이란 무엇인가?
II. 본론
1. 김부식의 생애 - 시간, 사건을 중심으로
2. 김부식의 사상과 문학 - 12세기 고려 문풍을 중심으로
3. 김부식의 사상과 문학 - 「진삼국사기표」를 중심으로
4. 삼국사기의 문학사적 의의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삼국사기』에 실린 사론과 열전은 이러한 고문체로 씌여진 대표적인 작품이다.
김부식이 현장정치가로 살아온 숙, 예, 인, 의종 때에는 안으로는 이자겸의 난등 비정상적인 왕위계승의 문제로 왕권의 세력이 약화된 시기였으며, 밖으로는 송과 금의 명암이 뒤바뀐 시기이기도 하였다.
1134년(인종 12) 가을, 김부식은 묘청과 백수한, 정지상, 김안 등이 주동이 되어 추진하던 왕의 서경 행차를 반대하여 결국 중지시켰다. 이것이 곧 이듬해 정월 초에 묘청과 조광, 유참 등이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키도록 만든 계기가 되었다. 묘청의 난이 일어나자 김부식은 토벌군의 원수로 임명되어 반란을 진압했고 , 그 공로로 최고 권력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는 서경의 반란을 진압하고 나서 사상의 통제와 통합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김부식의 저술은 『삼국사기』 외에 『김문열공집』 20권이 있었다 하나 전하지 못하므로 그 내용이 어떤 것인지 알 길이 없다. 다만, 『동문선』, 『동인지문사륙』등에 실린 작품을 모아보면 부(賦), 시(時), 기(記), 명(銘)과 같은 문예문이 40편이고, 90편은 실용문으로 나타난다. 이것들은 삼국사기와 함께 김부식의 문학세계를 알아볼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되는 것이다.
2. 김부식의 사상과 문학 - 12세기 고려 문풍을 중심으로
문종(1046~1083) 이후 고려는 송나라의 선진 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매우 적극적인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문화 교류의 결과 고려 사회에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특히 지식인들의 학문과 문장에서 그러한 변화가 두드러졌다. 고려 전기에는 통일 신라의 경향을 계승하여 당나라의 문풍이 유행하였는데, 특히 비애적인 정서를 노래하는 만당시풍(晩唐時風)과 사륙변려문체가 그것이다.
그러나 문종 이후에는 송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문풍이 등장하였다. 송나라를 주도해 간 사대부들은 남북조 시대 이래의 문인형 지식인들과는 달리 사회를 올바르게 운영해 가야 할 책임의식을 지닌 새로운 유형의 지식인들이었다. 따라서 문장을 짓는 데 있어서도 개인적 정서를 노래하기보다 사회적 책임의식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풍의 영향을 받은 고려 중기의 문학은 지식인 관료들의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조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던 것이다.
문학 쪽에서 김부식하면 으레 정지상을 떠올리는데, 이는 정지상과 김부식이 서로 상반된 문학관을 지향하였기
김부식이 현장정치가로 살아온 숙, 예, 인, 의종 때에는 안으로는 이자겸의 난등 비정상적인 왕위계승의 문제로 왕권의 세력이 약화된 시기였으며, 밖으로는 송과 금의 명암이 뒤바뀐 시기이기도 하였다.
1134년(인종 12) 가을, 김부식은 묘청과 백수한, 정지상, 김안 등이 주동이 되어 추진하던 왕의 서경 행차를 반대하여 결국 중지시켰다. 이것이 곧 이듬해 정월 초에 묘청과 조광, 유참 등이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키도록 만든 계기가 되었다. 묘청의 난이 일어나자 김부식은 토벌군의 원수로 임명되어 반란을 진압했고 , 그 공로로 최고 권력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는 서경의 반란을 진압하고 나서 사상의 통제와 통합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김부식의 저술은 『삼국사기』 외에 『김문열공집』 20권이 있었다 하나 전하지 못하므로 그 내용이 어떤 것인지 알 길이 없다. 다만, 『동문선』, 『동인지문사륙』등에 실린 작품을 모아보면 부(賦), 시(時), 기(記), 명(銘)과 같은 문예문이 40편이고, 90편은 실용문으로 나타난다. 이것들은 삼국사기와 함께 김부식의 문학세계를 알아볼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되는 것이다.
2. 김부식의 사상과 문학 - 12세기 고려 문풍을 중심으로
문종(1046~1083) 이후 고려는 송나라의 선진 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매우 적극적인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문화 교류의 결과 고려 사회에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특히 지식인들의 학문과 문장에서 그러한 변화가 두드러졌다. 고려 전기에는 통일 신라의 경향을 계승하여 당나라의 문풍이 유행하였는데, 특히 비애적인 정서를 노래하는 만당시풍(晩唐時風)과 사륙변려문체가 그것이다.
그러나 문종 이후에는 송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문풍이 등장하였다. 송나라를 주도해 간 사대부들은 남북조 시대 이래의 문인형 지식인들과는 달리 사회를 올바르게 운영해 가야 할 책임의식을 지닌 새로운 유형의 지식인들이었다. 따라서 문장을 짓는 데 있어서도 개인적 정서를 노래하기보다 사회적 책임의식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풍의 영향을 받은 고려 중기의 문학은 지식인 관료들의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조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던 것이다.
문학 쪽에서 김부식하면 으레 정지상을 떠올리는데, 이는 정지상과 김부식이 서로 상반된 문학관을 지향하였기
키워드
추천자료
박화성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향가를 보는 관점이 다른 이유
삼국유사의 의의와 삼국유사안의 '연오랑 세오녀'의 작품 분석
박태순 - 작품분석 및 문학사적 의의
[인문과학] 1970년대 문학의 내용과 문학사적 의의
1970년대 문학의 내용과 문학사적 의의
[고전산문]영영전 - 작품분석, 줄거리, 문학사적 의의
[고전문학]최치원전 - 작품분석 및 문학사적 의의
[중국][노신 소설][문학사적 의의][문학적 성취][노신][문학][소설]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 「패강냉」(패강랭)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의에 대...
[고전문학]만복사저포기 - 문학사적 의의, 작품분석
1920년대 단편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 배따라기, 빈처등을 중심으로
이광수(李光洙)의 『무정(無情)』 분석 - 『무정(無情)』 갖는 문학사적 의의, 『무정』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