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음운과 음운 체계
1. 음성과 발음 기관
2.국어의 음운체계
*음운과 음운체계 <탐구학습>
*음운과 음운체계<문제 풀이>
*음운의 변동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음운의 동화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4. 사잇소리 현상
1. 음성과 발음 기관
2.국어의 음운체계
*음운과 음운체계 <탐구학습>
*음운과 음운체계<문제 풀이>
*음운의 변동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음운의 동화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4. 사잇소리 현상
본문내용
ㅓ
ㅗ
저모음
ㅐ
ㅏ
ㅔ
ㅐ
ㅏ
ㅓ
ㅗ
ㅚ
탐구. 아래의 설명을 참조하여 다음 단어들을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로 만드는 요
소를 찾아 보자.
한 언어에서 어떤 음이 의미를 변별하여 주는 기능을 할 때, 이 음을 음운(音韻)이라고 한다. 우리말에서 ‘불’, ‘뿔’은 다른 음들은 모두 같은데 단지 초성에 /ㅂ/, /ㅃ/ 음 중 어느 것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따라서 국어에서 /ㅂ/, /ㅃ/ 음은 변별적인 기능을 하는 음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영어의 경우 우리가 ‘bus\'를 [버스]라고 말하건 [뻐스]라고 말하건 그 의미는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ㅂ\', ‘ㅃ\'의 경우 우리말에서는 의미를 변별하여 주는 기능을 하지만, 영어에서는 그렇지 못하다고 말할 수 있다.
● 굴, 꿀, 둘, 물, 불, 술, 줄, 풀: ㄱ, ㄲ, ㄷ, ㅁ, ㅂ, ㅅ, ㅈ, ㅍ
● 발, 벌, 볼, 불: ㅏ, ㅓ, ㅗ, ㅜ
● 박, 밖, 반, 발, 밤, 방, 밭: ㄱ, ㄲ, ㄴ, ㄹ, ㅁ, ㅇ, ㅌ
탐구. 다음의 자료를 바탕으로 음성과 음운의 개념 및 그 관계를 정리하고, 이를 모둠별 로 발표하여 보자.
물음 저는 아나운서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아나운서의 기본 자질이 정확한 발음이라고 해서, 요즘은 특히 발음 공부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것이 하나 있는데요. ‘커피’의 정확한 발음은 무엇인가요? 텔레비전을 보다 보니 어떤 아나운서는 ‘커피’의 ‘피’를 [fi]로, 또 어떤 아나운서는 [phi]로 발음하더군요. 어떤 것이 맞나요? 그 이유도 함께 설명하여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대답 안녕하세요, 현아 양. 질문 고맙습니다. 이러한 혼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영어와 우리말의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는 /f/와 /ph/가 각각 다른 음운으로 존재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friend\'의 [f]를 [ph]로 발음하면 그쪽 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하는 것이죠. 그 사람들에게 /f/와 /ph/는 전혀 다른 의미를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는 외국인들이 ‘달’을 [딸]로 발음했을 때 우리 나라 사람들이 못 알아듣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므로 ‘coffee\'를 영어로 발음할 때에는 [f]로 발음을 해야 하지만, 외래어 ‘커피’를 우리말로 발음할 때에는 그렇게 말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말에는 [f]로 발음되는 음운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에게 [ph]와 [f]는 동일한 /ㅍ/ 음으로 인식됩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뉴스에서 ‘커피’의 ‘피’를 발음을 할 때에는 우리 나라 말 체계에 따라 [phi]로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음성은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서 나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로 의미와는 관련이
없는 데 반하여 음운은 의미를 구별해 주는 최소의 문법 단위로서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소리이며 의미와 관련이 있다.
음 성
음 운
발음 기관을 통해 실제로 발음되는 물리적 소리
머리 속에 기억되어 있는 심리적이고 관념적인 소리
각자의 느낌의 차이로 실제 발음도 달라지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소리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음가로 생각하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소리
실제 발음을 문자로 일일이 기록할 수 없는 다양하고 순간적이며 임시적인 소리
문자로 나타낼 수 있도록 그 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역사적이며 전통적인 소리
말의 뜻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는 소리
뜻의 차이를 나타내는 소리(변별적)
어떤 나라, 어떤 시대와도 관계없이 일반적인 소리
일정한 언어의 음운 체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소리
※ 음성은 [ ]속에, 음운은 / /속에 넣어서 표시
59P.
탐구 1. 국어의 단모음에 대하여 탐구하여 보자.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 위에 제시한 국어의 단모음 10개를 자신의 평소 발음대로 발음하여 보자.
[ㅏ], [ㅐ], [ㅓ], [ㅐ], [ㅗ], [ㅞ], [ㅜ], [ㅟ], [ㅡ], [ㅣ]
● 본문의 모음 사각도를 참조하여 다시 발음하여 보고, 아래 물음에 답하여 보자.
―그 동안 잘못 발음하여 온 모음은 무엇인가?
‘ㅔ, ㅚ, ㅟ’의 발음을 틀리게 했다. ‘ㅔ’는 ‘ㅐ’와 같이 [ㅐ]로, ‘ㅚ’와 ‘ㅟ’는 이중 모음
인 [we]와 [wi]로 발음했다.
―여러 모음 중에서 특히 어떤 모음의 발음이 어려운가?
특히 ‘ㅚ’와 ‘ㅟ’의 발음이 어렵다. ‘ㅔ’가 혀의 위치와 입모양에 신경쓰면서 발음하
면 [ㅔ]로 발음할 수 있는 데 반하여 ‘ㅚ’와 ‘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기는 어렵다. ‘ㅚ’
와 ‘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려면 입술을 둥글게 하고 ‘ㅚ’는 ‘ㅔ’를 발음하듯이, ‘ㅟ’는
‘ㅣ’를 발음하듯이 하여야 한다.
탐구 2. 위에 제시된 모음들에 대하여 다음 자료들을 보면서 탐구하여 보자.
뇌, 외갓집, 괴롭다, 무죄
위, 쥐, 자취, 말귀
● 위 소리들을 발음하여 보면서 입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보자.
[눼], [웨갇찝], [궤롭따], [무줴]로 발음되며 ‘ㅚ’가 단모음인데도 입모양이 변한다. ‘위,
쥐, 자취, 말귀’도 마찬가지로 입모양이 변한다.
● 위 소리들은 단모음인지 이중 모음인지 판단하여 보자.
본래 ‘ㅚ’와 ‘ㅟ’는 단모음이다. 그러나 표준 발음법에서는 이중 모음인 ‘ㅞ[we]’와 ‘ㅟ
[wi]\'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1999년에 나온 표준어 규정과 2002년에 개정보완
된 학교 문법에서는 기본적으로 국어의 단모음으로 10개만을 인정하고 있으나, 표준어 규
정에서 ‘ㅟ’, ‘ㅚ’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는 <붙임>을 덧붙인 차이가 있다.
표준 발음법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탐구 3. 국어의 이중 모음에 대하여 탐구하여 보자.
의사의 의복 적십자사 창설의 의의 민주주의의 의의
● 위에서 ‘ㅢ’가 사용된 단어들을 다음 ‘표준 발음법’에 따라 발음하여 보고, 서로 비교
하여 보자.
ㅜ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법’ 제5항
다만 4.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예) 주의[주의/주이] 협의[혀
ㅗ
저모음
ㅐ
ㅏ
ㅔ
ㅐ
ㅏ
ㅓ
ㅗ
ㅚ
탐구. 아래의 설명을 참조하여 다음 단어들을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로 만드는 요
소를 찾아 보자.
한 언어에서 어떤 음이 의미를 변별하여 주는 기능을 할 때, 이 음을 음운(音韻)이라고 한다. 우리말에서 ‘불’, ‘뿔’은 다른 음들은 모두 같은데 단지 초성에 /ㅂ/, /ㅃ/ 음 중 어느 것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따라서 국어에서 /ㅂ/, /ㅃ/ 음은 변별적인 기능을 하는 음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영어의 경우 우리가 ‘bus\'를 [버스]라고 말하건 [뻐스]라고 말하건 그 의미는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ㅂ\', ‘ㅃ\'의 경우 우리말에서는 의미를 변별하여 주는 기능을 하지만, 영어에서는 그렇지 못하다고 말할 수 있다.
● 굴, 꿀, 둘, 물, 불, 술, 줄, 풀: ㄱ, ㄲ, ㄷ, ㅁ, ㅂ, ㅅ, ㅈ, ㅍ
● 발, 벌, 볼, 불: ㅏ, ㅓ, ㅗ, ㅜ
● 박, 밖, 반, 발, 밤, 방, 밭: ㄱ, ㄲ, ㄴ, ㄹ, ㅁ, ㅇ, ㅌ
탐구. 다음의 자료를 바탕으로 음성과 음운의 개념 및 그 관계를 정리하고, 이를 모둠별 로 발표하여 보자.
물음 저는 아나운서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아나운서의 기본 자질이 정확한 발음이라고 해서, 요즘은 특히 발음 공부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것이 하나 있는데요. ‘커피’의 정확한 발음은 무엇인가요? 텔레비전을 보다 보니 어떤 아나운서는 ‘커피’의 ‘피’를 [fi]로, 또 어떤 아나운서는 [phi]로 발음하더군요. 어떤 것이 맞나요? 그 이유도 함께 설명하여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대답 안녕하세요, 현아 양. 질문 고맙습니다. 이러한 혼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영어와 우리말의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는 /f/와 /ph/가 각각 다른 음운으로 존재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friend\'의 [f]를 [ph]로 발음하면 그쪽 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하는 것이죠. 그 사람들에게 /f/와 /ph/는 전혀 다른 의미를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는 외국인들이 ‘달’을 [딸]로 발음했을 때 우리 나라 사람들이 못 알아듣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므로 ‘coffee\'를 영어로 발음할 때에는 [f]로 발음을 해야 하지만, 외래어 ‘커피’를 우리말로 발음할 때에는 그렇게 말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말에는 [f]로 발음되는 음운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에게 [ph]와 [f]는 동일한 /ㅍ/ 음으로 인식됩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뉴스에서 ‘커피’의 ‘피’를 발음을 할 때에는 우리 나라 말 체계에 따라 [phi]로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음성은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서 나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로 의미와는 관련이
없는 데 반하여 음운은 의미를 구별해 주는 최소의 문법 단위로서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소리이며 의미와 관련이 있다.
음 성
음 운
발음 기관을 통해 실제로 발음되는 물리적 소리
머리 속에 기억되어 있는 심리적이고 관념적인 소리
각자의 느낌의 차이로 실제 발음도 달라지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소리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음가로 생각하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소리
실제 발음을 문자로 일일이 기록할 수 없는 다양하고 순간적이며 임시적인 소리
문자로 나타낼 수 있도록 그 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역사적이며 전통적인 소리
말의 뜻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는 소리
뜻의 차이를 나타내는 소리(변별적)
어떤 나라, 어떤 시대와도 관계없이 일반적인 소리
일정한 언어의 음운 체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소리
※ 음성은 [ ]속에, 음운은 / /속에 넣어서 표시
59P.
탐구 1. 국어의 단모음에 대하여 탐구하여 보자.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 위에 제시한 국어의 단모음 10개를 자신의 평소 발음대로 발음하여 보자.
[ㅏ], [ㅐ], [ㅓ], [ㅐ], [ㅗ], [ㅞ], [ㅜ], [ㅟ], [ㅡ], [ㅣ]
● 본문의 모음 사각도를 참조하여 다시 발음하여 보고, 아래 물음에 답하여 보자.
―그 동안 잘못 발음하여 온 모음은 무엇인가?
‘ㅔ, ㅚ, ㅟ’의 발음을 틀리게 했다. ‘ㅔ’는 ‘ㅐ’와 같이 [ㅐ]로, ‘ㅚ’와 ‘ㅟ’는 이중 모음
인 [we]와 [wi]로 발음했다.
―여러 모음 중에서 특히 어떤 모음의 발음이 어려운가?
특히 ‘ㅚ’와 ‘ㅟ’의 발음이 어렵다. ‘ㅔ’가 혀의 위치와 입모양에 신경쓰면서 발음하
면 [ㅔ]로 발음할 수 있는 데 반하여 ‘ㅚ’와 ‘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기는 어렵다. ‘ㅚ’
와 ‘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려면 입술을 둥글게 하고 ‘ㅚ’는 ‘ㅔ’를 발음하듯이, ‘ㅟ’는
‘ㅣ’를 발음하듯이 하여야 한다.
탐구 2. 위에 제시된 모음들에 대하여 다음 자료들을 보면서 탐구하여 보자.
뇌, 외갓집, 괴롭다, 무죄
위, 쥐, 자취, 말귀
● 위 소리들을 발음하여 보면서 입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보자.
[눼], [웨갇찝], [궤롭따], [무줴]로 발음되며 ‘ㅚ’가 단모음인데도 입모양이 변한다. ‘위,
쥐, 자취, 말귀’도 마찬가지로 입모양이 변한다.
● 위 소리들은 단모음인지 이중 모음인지 판단하여 보자.
본래 ‘ㅚ’와 ‘ㅟ’는 단모음이다. 그러나 표준 발음법에서는 이중 모음인 ‘ㅞ[we]’와 ‘ㅟ
[wi]\'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1999년에 나온 표준어 규정과 2002년에 개정보완
된 학교 문법에서는 기본적으로 국어의 단모음으로 10개만을 인정하고 있으나, 표준어 규
정에서 ‘ㅟ’, ‘ㅚ’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는 <붙임>을 덧붙인 차이가 있다.
표준 발음법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탐구 3. 국어의 이중 모음에 대하여 탐구하여 보자.
의사의 의복 적십자사 창설의 의의 민주주의의 의의
● 위에서 ‘ㅢ’가 사용된 단어들을 다음 ‘표준 발음법’에 따라 발음하여 보고, 서로 비교
하여 보자.
ㅜ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법’ 제5항
다만 4.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예) 주의[주의/주이] 협의[혀
추천자료
국어학의 이해
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
2011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어학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2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하계계절시험 국어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국어학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하계계절시험 국어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언어의 이해 B형] 내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는지를 ...
2017년 2학기 국어학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하계계절시험 국어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