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의미론의 기본개념
1. 의미론의 기본적 이해
2. 의미의 기본적 이해
3. 의미의 본질

제2장 의미의 성분 분석
1. 성분분석 이론의 개관
2. 성분분석의 원리와 절차
3. 의미성분의 유형
4. 성분분석의 확장
5. 성분분석의 한계

제4장 의미의 계열관계
1. 동의관계
2. 상하관계
3. 대립관계

제5장 의미의 결합관계
1. 대등합성어
2. 혼성어
3. 관용어
4. 연어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
1. 다의관계
2. 동음관계
3. 다의어와 동음어의 구별
4. 중의관계

제8장 문장의 의미
1. 문장의미의 성격
2. 문장구조와 의미
3. 문장의 의미속성

제9장 발화의 의미
1. 발화의미의 성격
2. 화맥
3. 발화행위

참고 문헌
찾아 보기

본문내용

구조의 탐색은 언어 연구에서 큰 관심사다.
1.2.3. 변형생성주의 시대
표준이론
- 촘스키의 <통사구조>는 구조의미론과 더불어 현대 의미론의 새 지평을 열었다.
첫째, 종래 기술언어학에서의 언어 접근 반식인 음운론-통사론-의미론에서 그 순서가 부인됨으로ㅆ 의미론에 채워진 사슬을 풀게 되었다.
둘째, 통사론과 의미론의 벽을 허물게 됨으로써 의미연구의 영역이 어휘의미론에서 문장의미론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종래의 언어연구 분석에서 벗어나 ‘인간의 언어사용 능력에 관한 해명’ 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 변형생성론의 목표는 “모국어 화자가 발화를 듣고 그 의미를 알아차리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라고 할 수있다.
1.2.5. 의미론의 새 지평
- 현대의미론에서 볼 수 있는 두 가지의 큰 줄기인 구조주의와 변형생성주의는 갈등과 대립의 측면으로 해석하기보다 의미연구의 맥을 이어온 계승과 상호보완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1.3. 의미론의 지향점
1.3.1. 의미론의 목적
- 첫째, 의미론은 의사소통의 신비를 밝히는 데 기여하게 된다는 점이다.
둘째, 의미론은 인간 정신활동의 신비를 밝히는 데 기여하게 된다는 점이다.
1.3.2. 의미론의 목표
- 의미이론의 목표, 곧 의미연구의 과제란 의미의 각 층위에 대한 폭과 깊이를 합리적으로 포착하여 갈래지우는 일에서 시작된다.
- 의미론은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어휘,문장,발화의 의미를 명시적으로 설명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구체적인 관심사를 살펴보자.
첫째, 어휘 층위에 관한 의미론의 과제를 살펴보기로 한다. 어휘소 자체의 의미분석, 의미장, 의미관계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문장 층위에 관한 의미론의 과제이다. 문장의미의 성격을 규정하고, 문장의 의미구조 및 문장의미의 속성을 밝혀야 한다. 동의성., 중의성, 잉여성, 전제와 함의 등이 주된 관심사가 된다.
셋째, 발화의 층위에서 의미론의 과제를 살펴보기로 한다. 흔히 화용론으로 소개된 발화의 의미의 성격을 규정하고, 화맥의 속성을 밝히며, 발화행위의 원리를 포착하는 일이 주된 과제가 된다.
2. 의미의 기본적 이해
2.1. 의미의 의미
-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크게 형식과 내용으로 대별되는데. 소박하게나마 형식 속에 담겨 있는 내용을 의미라고 하면, 내용으로서 ‘의미’는 본질적으로 전달 측면의 의도와 ㅅ ㅜ용 측면의 감각이 어우러져 있다고 하겠다.
2.2. 의미의 정의
2.2.1. 지시물
- 의미를 ‘지시물’이라고 보는 지시설은 언어표현의 의미를 그 표현이 실제로 지시하는 대상물로 보는 견해이다.
- 지시설의 한계는 첫째, 낱말이 지칭하는 사물을 볼 수 없는 경우 (동사, 형용사, 추상명사 ) 등의 의미의 실체를 규정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이 세상에 지시물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인 ‘용, 친마, 도깨비, 불사조, 외뿔소, 가시나무새’ 등에 대한 의미는 허상이 되기 마련이다.
셋째, 지시물은 하나인데 그것을 나타내는 언어표현이 둘 이상인 경우(샛별- 개밥바라기 - 금성) 각 표현의 의미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2.2.2. 개념
- 의미를 ‘개념’이라고 보는 개념설은 언어와 사고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 아래 의미를 ‘개념, 관념, 사고’ 등으로 파악하려는 관점이다. 소쉬르는 언어기호를 사물과 명칭의 결합이 아니라, 개념과 청각영상의 결합이라고 하였다.
- 문제점으로 낱말의 의미와 분리된 개념의 추상적인 층위가 있는 것인가, 혹은 낱말의 의미와 개념이 동일한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 경우 다음의 두 가지 가정을 해 볼 수 있는데, 첫째, 외부세계가 잘 반영되는 경우, 즉 ‘호랑이’‘달’에서처럼 서로 다른 언어를 말하는 사람들 사이에도 상당한 일치가 이루어질 때, 실제 세게는 개념으로 파악될 것이다.
둘째, 개념은 낱말의 의미와 중첩되거나 그보다 다소 폭이 넓다고 할 수 있다. 예) 차다: 몸의 일부분에서 열이 빼앗겼을 때의 감각, 춥다: 몸 전체에서 열이 빼앗겼을 때의 감각
요컨대, 의미와 개념 사이에는 깊은 상관성이 있지만,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므로 의미의 정의로서 개념설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2.3. 자극-반응
- 의미를 ‘자극-반응’으로 본 행동주의설은 언어를 행동의 한 양상으로 보는 관점이다.
블룸필드는 의미란 현실적 자극(S)에 의한 언어적 반응(r) 및 언어적 자극(s)의 결과인 현실적 반응(R)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예) 승화는 배가 고프다. 그는 나무 위의 사과를 본다(S) - 이 상황은 그가 말하게 자극하고 그는 언어적으로 반응한다.(r) - 그의 언어적 반응은 청자에게 언어적 자극이 된다. (s) - 청자는 나무에 올라가는 행동적 반응을 보인다.(R)
그러나 한계점으로 첫째, 자극과 반응을 낳는 상황, 곧 장면에 대한 화자의 반응을 일관되게 기술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동일한 발화에 대한 청자의 반응도 천차만별이다.
2.2.4. 용법
- 의미를 ‘용법’이라고 보는 용법설은 어떤 낱말에 일정한 의미를 인정하지 않고, 그 낱말이 사용되는 구체적인 맥락에서의 용법을 의미라고 보는 입장이다. 용법설은 의미를 개념으로 보는 입장과 정면으로 대립되는 사고방식으로 비트겐슈타인에 의해서 확립되었다.
용법설의 근거는 다의어의 의미파악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하지만 낱말의 용법은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그 용법을 익히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며, 새로운 용법을 만났을 때 그 의미의 이해는 어디에서 구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2.3 의의
- 의미를 ‘의의’라고 보는 의의관계설은 라이온스에서 주창되었으며, 크루스에서 부분적인 한계가 보완되었다.
라이온스는 의의란 어휘소들 간의 관계로서 어떤 어휘소의 의의는 그 어휘소가 다른 어휘소와 맺고 있는 의의관계를 통하여 나타난다고 보는 것이다.
크루스에서는 의미의 문맥설을 도입하게 되었다. 곧 어떤 낱말은 다음의 두 가지 중의 하나에서 다른 낱말ㅇ과 의미적 유사성과 이질성을 드러낸다고 하였다.
첫째, 어떤 문법적인 구성에서 공기의 정상성과 비정상성에 의해서이다.
예) 오리꽥꽥 참새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9.12.1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