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화 당국의 저금리정책,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투기 억제정책 등으로 시중 부동자금의 증시 유입을 유도해 사상 최대의 주가상승을 이루어내었다. 물론 주가상승이 경제발전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나, 이로 인한 기업의 이익 창출 능력의 회복이 곧 투자심리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데 일조했음으로 비추어볼 때 2006년의 한국 경제 전망은 그리 어둡다고 할 수 없을 것 같다. 주가상승에 이은 환율 하락은 일시적인 GDP의 상승을 가져왔지만, 이제부터는 위에 제시한 4가지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기업 경쟁력을 갖추어 좀 더 확실하고 흔들림 없는 연평균 성장률 5%와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를 성공시켜야 한다. 우리나라는 다행히도 선진국으로 도약하기에 좋은 경제적 기반을 다져놓은 상태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적절한 비율을 유지하고 있고, IMF 위기 이후 구조조정 및 수익성 개선 노력이 기업마다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자, 조선, 등 예전부터 경쟁력을 확보해온 일부 산업을 바탕으로 글로벌 TOP10에 진입할 수 있는 후보기업이 존재한다. 또한 대기업의 발전을 뒷받침해줄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들이 버티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여러 경제연구소에서는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약 4.6~4.7%정도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는 이제 한걸음 더 노력하여 2006년 경제성장률 5%를 달성하고, 나아가서 GDP 2만 달러, 그리고 경제 대국으로 발전하는 그 날까지 정부, 기업과 더불어 주어진 과제를 충실하게 수행한다면, 다가오는 2010년에는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선 대한민국의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경제연구소에서는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약 4.6~4.7%정도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는 이제 한걸음 더 노력하여 2006년 경제성장률 5%를 달성하고, 나아가서 GDP 2만 달러, 그리고 경제 대국으로 발전하는 그 날까지 정부, 기업과 더불어 주어진 과제를 충실하게 수행한다면, 다가오는 2010년에는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선 대한민국의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