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이옥의 ‘전’에 대한 사회적 성격 고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및 연구 방법

Ⅱ. 예비적 고찰
1. 생애
2. 사상

Ⅲ. 입전대상의 특징
1. 긍정적 인물형
2. 부정적 인물형

Ⅳ. 전에 나타난 사회상
1. 사회 구조의 모순 비판
(1) 인재 등용의 실체
(2) 신분제도의 한계성
2. 부조리한 경제 현실
3. 무속신앙의 팽배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애과 사상을 살펴보았다. 士族이었지만 지배계층에서 소외되어 불우하게 살다간 文人으로 많은 시대적 고뇌를 글로 표현했다. 이는 이옥의 생이 불우했던 요인이 그의 내적인 문제에 있었다기 보다는 오히려 외적인 문제에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당시 사회의 부조리한 구조가 이옥을 포용하지 못했던 것이며 더욱이 이옥은 자신을 불용하는 사회에 내적으로는 승복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옥의 자세는 사회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발전시켰고 이는 다시 문학이라는 형태로 형상화된 것이다.
Ⅲ 장에서 李鈺 傳의 인물들은 대부분 현실에 의존하며 현실에서 생활하는 현실적 인물이며 사대부에서 특히 하층민까지 다양하다. 이들을 유형화 하기란 쉽지 않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이 구분 지울 수 있다. 즉 작품의 전개과정상에 나타난 對社會的 태도의 저항적인 두 양상 -긍정적 부정적- 은 각자 삶을 영위하려는 수단속에서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온갖 부정적 사회적 여건 속에서 긍정적 인물들은 등정적 방법, 부정적 인물들은 부정적 방법으로 사회의 비판의식을 드러내고 사회개혁을 要求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을 갖는다.
Ⅳ장에서는 이옥은 자신의 현실인식속에서 사회의 제반 문제를 파헤치고 있음을 알았다. 이옥 자신이 이미 사회의 두터운 벽에 의해 스스로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 그는 '문학' 이라는 양식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바라보고 또 비판하게 된 것이다.
이옥은 자신과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조선후기의 과거제도를 비롯한 인재등용의 모순점을 구체적으로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학식과 인품보다는 배경이 중시되고 부정부패가 공공연하게 이루어 지는 인사정책의 모순점을 시골에 사는 한미한 유생을 등장시켜 비판하였다. 또한 사회가 다각도로 변천하긴 하나 여전히 보수적 사고방식과 폐쇄적, 모순성을 지닌 신분제도를 양반인 남자와 중인인 여인을 등장시켜 구체화 하였다. 그리고 조선후기의 급속한 사회 경제적 변화로 인한 사회의 혼란상을 소매치기, 사기, 공금횡령, 점술등의 구체적 사건을 작품화하여 나타내었다. 이는 조선 후기 경제구조가 지니는 부조리를 각종의 경제범죄의 증가, 민중의 곤궁한 생활과 부유층의 생활로 대비시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불안정한 사회의 한 단면으로 무속신앙의 성행을 소재로 삼아 그 허구성과 惑世誣民 하는 점을 비판하면서 현실에서의 노력을 통해 삶의 고난을 해결하도록 설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이옥의 전의 문학적 의미는 무엇일까?
이옥은 현실 참여를 통해 모순된 사회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문체로 인해 정권에서 소외되자 다양한 현실 문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작품에 표출하게 된다. 이는 작가가 처한 현실이 문학에 반영된 것이며, 작가 체험이 문학에 구체화 된 것이다. 이런 경향은 전시대 敎化를 주된 창작 목적으로 삼는 道學的 文人들의 창작 경향이나 古文崇尙과 觀念論的 文學傾向과는 달랐다. 또한 가벼운 遊戱性을 띤 작품 창작 경향과도 다른, 현실이 지니고 있던 여러문제들을 비판적 안목으로 작품화하여 현실적 상황을 문학작품에 구현하는 寫實主義的 文學에 접근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이옥의 작품은 문학사적으로 사실성과 개인적 경험을 중시하는 근대적 문학 경향으로 흐르는 진보적 성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그리고 문학의 제재에 있어서도 현실적인 것을 선택하여 그 주제를 더욱 현실과 밀착한 작품을 창작하였고 더욱이 이옥은 하층민들의 처지를 직접 현장에서 보고 느껴 그들울 설정하여 그들에 대한 인간적 이해의 폭을 더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옥은 시대의 앞선 의식의 소유자로 후대의 문학 흐름에 영향을 끼친 인물로 그 문학사적 위상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李鈺의 傳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그의 문학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에는 본고에서 택한 작품의 수가 적었음을 인정하고 그의 문학에 대한 좀 더 활발한 연구를 기대해본다.
<參考文獻>
* 단행본
金均泰, 『文集所在傳資料集』, 계명 문화사, 1986
강만길, 『韓國近代史』, 창작과 비평사, 1985.
김태준, 『조선소설사』, 학예사, 1939
박길희 김시태, 『문학의 이론과 방법』, 이우출판사, 1984년
문학과 사회 연구회, 『문학과 사회』, 영남대 출판부, 1994.
李家源 譯編, 『李朝漢文小說選』, 민중서관, 1961
이상백, 『韓國近代後期編』, 진단학회편, 을유문화사, 1915
이재선, 『한국단편소설』, 일조각, 1975
앨런스위지우드, 『문학의 사회학』, 한길사, 1986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출판사, 1978
조동일, 『한국 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84
조좌호, 『李朝司馬試考(下)』,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969-1971)
박호영, 안현호, 『문학의 이해』, 한개전, 1987.
* 논문
金均泰, "李鈺硏究", 서울대, 석사 학위 논문, 1977
"李鈺의 文學 理論과 作品世界의 硏究", 서울대 박사 학위 논문, 1986
"李鈺漢詩論考", 선청어문9, 서울대 국어 교과, 1978
金相烈, "李鈺의 傳文學 硏究", 성균관대, 1986
金英珠, "李鈺文學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변모와 의미", 경북대 석사논문, 1994
김흥규, "朝鮮 後期 詩經論과 詩形式", 민족문화연구총서7,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2
金忠福, "李鈺小說硏究" ,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82
朴成勳, "李鈺의 傳에 나타난 諷刺硏究", 한문학논집2, 단국대학교 한문 학회, 1984
박훈기, "李鈺의 沈生傳 硏究", 성균관대 석사 논문, 1993
李相德, "李鈺 傳의 樣式的 變改 樣相에 관한 小考", 고려대 석사 논문, 1987
李弘雨, "李鈺의 傳 文學 硏究", 계명대 석사, 1992
安載壽, "李鈺의 漢文 小說 硏究",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0
任侑炅, "李鈺의 傳 硏究", 이화 여대 석사 학위 논문, 1980
崔信浩, "傳記, 傳奇, 小說" 성심어문논집 제 5집, 성심여대 국문과, 1981
崔承洵, "李鈺의 漢文小說 硏究", 강원대교육대학원, 1990
洪龍姬, "李鈺 傳의 特性과 沈生傳 考", 성심 여대 석사 논문, 1987)
  • 가격3,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01.1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