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 장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분 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울 삽화와 조증삽화
■ 주요 우울증 삽화
■ 조증 삽화

기분 장애 증후군
■ 주요 우울증 장애
■ 양극성 장애
■ 기분부전 장애와 순환성 장애
■ 기분장애의 차원
■ 공발장애: 혼재성 불안-우울

자살
■ 자살 유병율
■ 자살에 대한 미신
■ 자살 예측
■ 자살 예방


기분장애:이론과 치료
󰠚󰠚󰠚󰠚󰠚󰠚󰠚󰠚󰠚󰠚󰠚󰠚󰠚󰠚󰠚󰠚󰠚󰠚󰠚󰠚󰠚󰠚󰠚󰠚󰠚󰠚󰠚󰠚󰠚󰠚
■ 행동주의적 조망과 대인관계적 조망
■ 인지적 조망
■ 정신역동적 조망
■ 사회문화적 조망
■ 신경과학적 조망

본문내용

어떤 사람은 경쟁적인 태도에서 물러나버린다. 또다른 사람은 기나긴 여행을 할 것처럼 행동한다. 가장 가치있게 여겼던 소유물들을 다른 사람에게 주기도 한다. 가끔은 자살 의도 표현이 직접적이지 않고 지난 일을 되돌아보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우울한 환자들은 주말을 보내려고 병원을 떠나면서 “나는 당신이 나를 도와주려고 열심히 노력한 것에 감사를 드리고 싶어요”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런 신호를 알아채리지 못하는 이유는 부분적으로는 자살을 시도하는 우울한 사람이 자신의 우울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그들이 자살을 결정하였기 때문에 우울하지 않을 지는 혹은 마침내 자살소망을 실행하려는 에너지가 있는지 확실치 않다.
예상대로 자살은 자주 스트레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스트레스 성질은 인생 주기에 따라 변화할 것이라는 증거가 있다. 한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의 갈등, 거부와 고립이 젊은이에게는 자살의 선행 요소가 되고, 중년기에는 경제적 문제가 더 결정적이며 노년기에는 질병인 것으로 밝혀졌다. 우울의 첫발병처럼, 자살 시도는 흔히 “탈출” 사건이 있은 다음 일어난다.
인지 변인들은 자살 시도자의 가장 유용한 예언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놀랄 것 없이, 심각한 자살 시도와 가장 빈번히 관련되는 인지 변인은 무망감이다. 자살 생각을 하는 입원 환자를 10년 동안 추후 연구해 본 결과 무망감이 결국 자살하게 하는 가장 좋은 단일 예언자로 판명되었고, 이것은 외래 환자들에게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밝혀졌다. 위협적인 행동도 자살을 예측한다. 2115명의 교통사고 보상자와 753명의 자살자를 최근 비교했을 시 자살자가 지난해에 위협적인 행동을 더 많이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자살한 사람에 관한 연구와, 자살시도에서 살아난 사람의 보고에 따르면 자살 연구 전문가인 Edwin Shneidman(1992)는 자살을 결정하는 요소들의 요약인 “자살 시나리오”를 편집하였다:
1. 견딜 수 없는 심리적 고통이, 좌절된 심리적 요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2. 외상적인 자기 명예 훼손- 강한 심리적 고통을 참지 못할 것이라는 자아상
3. 마음이 두드러지게 죄어들고 그들의 일상 활동도 비현실적으로 좁아진다.
4. 고립감- 중요한 타인들로부터 유기되고 지지가 없어짐을 느낌
5. 극도로 절망적인 무망감-아무것도 소용이 없다고 느낌
6. 떠나는 것이 -떠남, 죽음 또는 삶을 그만 둠- 참을 수 없는 고통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의식적인 결정.
이 요약문이 제시하듯이, 자살을 하는 많은 사람들은 참을 수 없이 고통스런 상황을 벗어나는 유일한 방법이 자살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자살 글과 통제 집단이 흉내낸 글을 비교한 연구에서, Shneidman과 Farberow(1970)은 진정 자살을 생각하고 쓴 글이 통제 집단의 글보다 의미 있게 더 많은 고통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사실상 자살의 고통을 가장하기는 분명히 어렵다. 흥미롭게도 진정한 자살 글들에는 지시, 충고, 자살뒤에 해야 하는 일들의 목록과 같은 중성적인 글들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확실한 절망감과 중성적인 내용 둘다가 아래의 두 개의 글에 나타나 있다.
Barbara
미안하오. 나는 당신을 진실로 사랑하오. 나를 위하여 두 가지를 부탁하오. 내가 한 일에 대해 아이들에게 말하지 마시오. 테레사가 조금 더 컸을 때 그애가 머리 자르기를 원한다면 머리를 자르게 하시요. 당신이 단지 좋아한다는 이유로 긴 머리를 하게 하지는 마시오. 장모님에게 아이들이 어떤 종류의 옷이 필요하고 얼마나 많은 옷이 필요한지 물어봐서 장모님이 말씀하신 것의 두 배의 옷을 사도록 하오. 나는 당신과 아이들을 무척 사랑하고 그렇게 노력하고 기억하려고 하오. 나는 단지 당신을 위해서는 좋은 사람이 아니었소. 나는 좋은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몰랐소. 당신은 내가 없으면 더 살아가기가 좋아질 것이요. 테라스와 도니를 사랑해 줄 누군가를 찾도록 노력하시오.
많은 사랑으로-Charlie
추신. 도니는 린다를 지치게하오. 도니를 보육원에 보내시오.
사랑하는 스테브에게:
점점 모든 것들이 더 나빠지고 있고 내 남은 여생이 당신의 짐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아요.
나의 사랑 데드
나의 갈색 옷이 나에게 꼭 맞는 유일한 것이었어요.
하지만 모든 자살자들이 절대적인 절망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국가 조사기관의 통계에 따르면,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의 39%만이 진짜로 죽으려고 작정한다. 13%는 죽는 것에 대하여 양가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 그래서 연구자들이 “죽느냐 사느냐”라고 부르는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마지막으로 자살 시도자의 47%는 정말로 죽음을 원하지는 않으며, 자살 시도 제스쳐어를 통하여 자신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자신의 고통스러운 정도를 알리려고 노력한다. 마지막 두 집단에 관하여는, 그들의 복잡한 감정이 별 그들은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이번에는 결정적이지 않았던 많은 사람들이 다음 번에 더 결정적이 될 수 있다. 사실 한 사람이 가족의 짐이라고 믿는 것이 그 사람을 죽게만들 수 있다. 자살 미수에 그친 사람과 자살로 죽은 사람을 비교한 최근 연구에서 Joiner와 그의 동료가 밝히길 자살한 사람과 구별되게 자살 미수에 그친 사람은 자신이 가족의 짐이라고 믿고 음독이나 손목끊기보다는 권충 자살, 목 매기와 같이 더 끔찍한 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자살 예방
우리가 지적해 왔듯이, 자살을 시도하는 대다수가 죽음을 전적으로 원하지는 않는다. 이런 발견의 기초위에다 자살 시도자들은 그들 삶의 위기에 대처하고자 한다는 사실이 받아들여져 1950년 후반기에 자살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생명의 전화\"가 설립되었다. 생명의 전화 직원들은 종종 자원 봉사자이며, 전화를 한 사람의 고통을 알려고 노력하며 동시에 자살을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알려 준다. 또 다른 예방 노력은 새롭게 높은 위험성 집단이라고 부각된 청소년 집단에 초점이 맞춰져서 학교 교육 과정과 관련이 있다. 여기에 교사, 부모, 십대 자신들이 워크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6.02.0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