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운동사-건국사상총동원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운동사-건국사상총동원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들어가며

1.건국사상총동원운동의 배경

2.건국사상총동원운동의 전개
1)건국사상총동원운동의 이론화 작업
2)인민에 대한 운동의 선전 작업

3.건국사상총동원운동의 주요사업의 내용, 성격, 한계
1)문맹퇴치운동
2)사상개혁운동
3)증산경쟁운동

4.나가며

본문내용

생산 방식에서의 노력 낭비를 통한 생산성의 확대와 노동자들에 대한 사상개혁운동은 북한 산업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 하였다. 그들에게는 여전히 ‘기술자 부족’이라는 문제가 남아 있었던 것이다. 1947년 4월 현재 북한의 기술자 총 수는 1,275명으로, 2,851명의 기술자가 국영기업에 더 요구되었다. : 北韓 “建國思想總動員運動”의 展開와 性格(김재용, 2003) p.67
북한 정권은 이러한 문제를 소련을 통한 전문가의 대여와 기술인 양성 정책으로 해결하려 하였다.
증산경쟁운동은 산업화의 과제를 탈산업적 사회주의 혁명의 기치와 동시에 안고 있었던 북한에게 있어 노동자 계급을 새로이 형성시키고 그들의 계급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결책이 된 듯 했다. 그러나 기실 그들의 노동자 계급의 사상개혁운동은 어떤 의미에서는 실패한 운동이었다. 만성적인 노동력 부족에 시달림으로써 노동자에 대한 정당한 징계 조치(정직 혹은 면직 등의)를 취할 수 없었던 북한 당국은 그들이 꿈꾸어왔던 헤라클레스적인 노동 신화 대신 지각, 결근을 일삼는 일탈적인 디오니소스적인 노동자들을 양산해냈다. 반노동의 유토피아(박종철 출판사, 차문석, 2001)
모든 현실 국가 사회주의 체제 내에서 그러했듯이 그것은 붉은 혁명을 꿈꾸었던 이들이 생각해낸 노동 해방과는 전혀 다른 결론이었다. 여전히도(어떤 의미에서는 지금까지 보다 훨씬 혹독한 방식으로) 지나치게 분업화되어 생산력의 증대만을 요구 받았던 노동자들은 산업화의 근육에 강하게 포박되어버린 20세기 사회주의 국가들이 가진 가장 비참한 모습들 중 하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인 계획 경제의 시행을 통한 산업화로의 빠른 이행과 이전보다는 확실히 나아진 노동자들의 복지 수준(산업 재해 보험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것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은 그들의 경제 운영이 결코 틀리지만은 않았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붉은 혁명이 꿈꾸어 왔던 노동 해방의 신화는 여전히 그들에게 요원하기만 한 일이었다는 것 또한 사실이라 하겠다.
4.나가며
20세기의 사회주의를 향한 실험은 적어도 국가 체제 내적으로는 실패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많은 이들이 그 이유를 산업화에 굴복한 ‘국가’ 사회주의의 한계라고 이야기한다. 그 대답은 어쩌면 맞고 어쩌면 틀렸을지도 모른다. 산업화가 전 세계를 붉게 만들기 위한 체제 우월의 증명의 방식의 하나였으며, 더 크게는 세기적 요구에 의해 산업화라는 괴물 아래 굴종할 수밖에 없었을지 모를 그들에게 그런 비판이 얼마나 정당한지는 생각해봐야 할 문제일 것이다.
북한의 산업화는 건국사상총동원운동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북한의 ‘국가’ 사회주의의 실험적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던 시작이었는지, 아니면 시대적 상황의 요구로 인한,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의 인민의 생계를 보장하기 위한 올바른 수단이었는지는 더더욱 분명치 않다. 하지만 그런 모든 것들을 차치하고서라도 명징하게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존재한다.
‘인간 해방’을 이야기 하면서도 그 ‘해방’이라는 기치 아래에서 인간을 ‘해방’을 위한 수단으로 도구화시키고 파편화시켰다는 점에서, 비록 인간을 위한다는 인식이 있긴 했지만 그것 또한 ‘당’이라는 혁명의 전위를 위해서 받쳐버린 그들의 역사적 선택은 한 번쯤은 비판받을 문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북한 50년사 1. 해방에서 천리마운동까지』
_들녘 출판사, 임영태 지음, 1999
『北韓 “建國思想總動員運動”의 展開와 性格』
_고려대학교 대학원 학위 논문, 김재용, 2003
『반노동의 유토피아』
_박종철 출판사, 차문석 지음, 2001
『북한 공산주의 도덕의 시대별 변천에 관한 연구』
_차성성, 1996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2.09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