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기업소개
1.기업의 연혁
2.CEO 카를로스 곤
3.사업내용
4.제품소개
II.기업의 주요 활동 및 글로벌 경영전략
1.닛산의 몰락과 희생
2.닛산전략과 특기사항
III.닛산 자동차의 한국에서의 활동
1.한국시장과 일본자동차 업체
2.드디어 한국 상륙하는 닛산
IV.닛산의 시사점 및 향후전망
1.닛산의 실패요인
2.실패이후 닛산의 변화
3.닛산의 2005년도 전망 및 계획
4.세계 자동차산업의 현황
5.닛산의 미래 전략방향
6.우리나라 자동차의 미래
1.기업의 연혁
2.CEO 카를로스 곤
3.사업내용
4.제품소개
II.기업의 주요 활동 및 글로벌 경영전략
1.닛산의 몰락과 희생
2.닛산전략과 특기사항
III.닛산 자동차의 한국에서의 활동
1.한국시장과 일본자동차 업체
2.드디어 한국 상륙하는 닛산
IV.닛산의 시사점 및 향후전망
1.닛산의 실패요인
2.실패이후 닛산의 변화
3.닛산의 2005년도 전망 및 계획
4.세계 자동차산업의 현황
5.닛산의 미래 전략방향
6.우리나라 자동차의 미래
본문내용
도 매우 인기가 있고, 일본 판매 스포츠카 중에 가장 인기가 있다. 역동스러우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으로 어필하는 차이다.
(4) 티아나
2003년 2월 일본에서 출시된 이래 2년에 걸쳐 일본 내수시장에서 중형차부분 베스트 셀러카로 선정되었고 북미지역에도 수출되어 호평을 받았다. 현재 SM7과 디자인이 매우 유사해 요즘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편인데, SM7은 티아나 플랫폼을 들여와 자체 생산한 차량이라고 한다.
(5) 프레지던트
일본 기준에서 봐도 4500cc 후륜구동인 닛산의 최고급 버전이다. 일본의 CEO들이 즐겨타고, 해외에서는 판매되지 않는다.
Ⅱ. 기업의 주요 활동 및 글로벌 경영전략
1. 닛산의 몰락과 회생
(1) 기업 조직의 문제
ⅰ) 기업문화의 차이
일본 닛산(일산)자동차의 실패원인은 50년 라이벌인 도요타의 약진과 대비할 때 확연해진다. 닛산이 파산을 피하기 위해 프랑스 르노자동차의 산하로 투항하지 않을 수 없었던 반면, 도요타는 불황속에서도 엄청난 흑자를 기록하며 절정을 구가하고 있다. 엇갈린 운명만큼이나 두 회사의 경영 스타일은 대조적이었다. 흔히 ‘도요타맨’하면 장사꾼, ‘닛산맨’하면 관료가 연상된다고 한다. 도요타의 사풍은 철저하게 실리 위주이다. ‘판매의 도요타’로 불리듯 이문이 남지 않으면 절대 손대질 않는다. 따라서 도요타는 판매를 먼저 생각한 뒤 팔릴 제품만 만들었다. 반면 닛산은 엘리트의식과 명문기업의 자존심이 강하다. 요컨대 도요타가 견실한 ‘실속형 경영’이라면 닛산 스타일은 화려한 ‘확장형 경영’으로 정리된다.
ⅱ) 비용과 손익관리의 미래
닛산의 경영은 우선 비용과 손익관리가 철저하지 못했다. 도요타는 투자하기 전에 수십번 ‘주판알’을 튕겨보고 이익 낼 자신이 있을 때만, 비로소 돈을 쓰는 스타일이었다. 반면 닛산은 면밀한 손익분석 없이 단지 ‘도요타를 누르고 업계 1위가 되다’는 이유만으로도 투자하는 경우가 잦았다.
ⅲ) 차입의존형 경영
닛산의 생산차종은 도요타와 비슷한 50여종에 달했다. 트럭에서 세단까지 너저분하게 늘어놓고, 채산도 맞지 않는 생산라인을 수천억엔씩 들여 짓곤 했다. 투자비용을 조달하기 위해선 사채를 발행하고 은행 빚을 끌어다 쓸 수 밖에 없었다. 전형적인 차입 의존형 경영이었다.
ⅳ) 기술력과 마케팅의 분리
닛산의 기술력은 도요타를 오히려 능가하는 것으로 자타가 인정한다. 닛산-르노의 제휴발표 며칠전 일본 운수성이 공표한 자동차 안전평가에서도 닛산은 압도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닛산은 4개 차종의 브레이크 성능이 최고등급인 AAA였던 반면 도요타는 모두 세 번째 등급인 A에 불과했다. 그래서 ‘기술의 닛산’으로 불린다. 하지만 닛산의 자동차는 성능이 좋을지는 몰라도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은 아니었다. 닛산은 전통적으로 생산-개발 부문 기술자의 발언권이 지나치게 강했다. 제품개발 초기단계에 마케팅 담당자가 참여한 것도 불과 2년 전부터의 일이었다.
(2) 미국시장 점유율의 하락
닛산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미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닛산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닛산의 수익성은 지난 81년 상호를 닷선에서 닛산으로 바꾸면서부터 서서히 낮아졌다. 상호가 갑작스럽게 바뀌자 미국의 대리점들은 분노했다. 일본의 본사는 대리점의 간판 교체비용도 대주지 않았던 것이다. 또 닛산은 최곤 모든 종류의 실책으로 만신창이가 됐다. 진부한 외관, 유별난 광고에다 중형 세단레저용 다목적 차량(SUV)미니밴 차종에서 경쟁력 있는 상품을 미국 시장에 내놓은 적이 없다. 아울러 닛산의 최고경영진은 시장의 현실을 빨리 파악하지 못했다.
닛산의 또다른 문제점은 시장 점유율을
(4) 티아나
2003년 2월 일본에서 출시된 이래 2년에 걸쳐 일본 내수시장에서 중형차부분 베스트 셀러카로 선정되었고 북미지역에도 수출되어 호평을 받았다. 현재 SM7과 디자인이 매우 유사해 요즘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편인데, SM7은 티아나 플랫폼을 들여와 자체 생산한 차량이라고 한다.
(5) 프레지던트
일본 기준에서 봐도 4500cc 후륜구동인 닛산의 최고급 버전이다. 일본의 CEO들이 즐겨타고, 해외에서는 판매되지 않는다.
Ⅱ. 기업의 주요 활동 및 글로벌 경영전략
1. 닛산의 몰락과 회생
(1) 기업 조직의 문제
ⅰ) 기업문화의 차이
일본 닛산(일산)자동차의 실패원인은 50년 라이벌인 도요타의 약진과 대비할 때 확연해진다. 닛산이 파산을 피하기 위해 프랑스 르노자동차의 산하로 투항하지 않을 수 없었던 반면, 도요타는 불황속에서도 엄청난 흑자를 기록하며 절정을 구가하고 있다. 엇갈린 운명만큼이나 두 회사의 경영 스타일은 대조적이었다. 흔히 ‘도요타맨’하면 장사꾼, ‘닛산맨’하면 관료가 연상된다고 한다. 도요타의 사풍은 철저하게 실리 위주이다. ‘판매의 도요타’로 불리듯 이문이 남지 않으면 절대 손대질 않는다. 따라서 도요타는 판매를 먼저 생각한 뒤 팔릴 제품만 만들었다. 반면 닛산은 엘리트의식과 명문기업의 자존심이 강하다. 요컨대 도요타가 견실한 ‘실속형 경영’이라면 닛산 스타일은 화려한 ‘확장형 경영’으로 정리된다.
ⅱ) 비용과 손익관리의 미래
닛산의 경영은 우선 비용과 손익관리가 철저하지 못했다. 도요타는 투자하기 전에 수십번 ‘주판알’을 튕겨보고 이익 낼 자신이 있을 때만, 비로소 돈을 쓰는 스타일이었다. 반면 닛산은 면밀한 손익분석 없이 단지 ‘도요타를 누르고 업계 1위가 되다’는 이유만으로도 투자하는 경우가 잦았다.
ⅲ) 차입의존형 경영
닛산의 생산차종은 도요타와 비슷한 50여종에 달했다. 트럭에서 세단까지 너저분하게 늘어놓고, 채산도 맞지 않는 생산라인을 수천억엔씩 들여 짓곤 했다. 투자비용을 조달하기 위해선 사채를 발행하고 은행 빚을 끌어다 쓸 수 밖에 없었다. 전형적인 차입 의존형 경영이었다.
ⅳ) 기술력과 마케팅의 분리
닛산의 기술력은 도요타를 오히려 능가하는 것으로 자타가 인정한다. 닛산-르노의 제휴발표 며칠전 일본 운수성이 공표한 자동차 안전평가에서도 닛산은 압도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닛산은 4개 차종의 브레이크 성능이 최고등급인 AAA였던 반면 도요타는 모두 세 번째 등급인 A에 불과했다. 그래서 ‘기술의 닛산’으로 불린다. 하지만 닛산의 자동차는 성능이 좋을지는 몰라도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은 아니었다. 닛산은 전통적으로 생산-개발 부문 기술자의 발언권이 지나치게 강했다. 제품개발 초기단계에 마케팅 담당자가 참여한 것도 불과 2년 전부터의 일이었다.
(2) 미국시장 점유율의 하락
닛산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미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닛산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닛산의 수익성은 지난 81년 상호를 닷선에서 닛산으로 바꾸면서부터 서서히 낮아졌다. 상호가 갑작스럽게 바뀌자 미국의 대리점들은 분노했다. 일본의 본사는 대리점의 간판 교체비용도 대주지 않았던 것이다. 또 닛산은 최곤 모든 종류의 실책으로 만신창이가 됐다. 진부한 외관, 유별난 광고에다 중형 세단레저용 다목적 차량(SUV)미니밴 차종에서 경쟁력 있는 상품을 미국 시장에 내놓은 적이 없다. 아울러 닛산의 최고경영진은 시장의 현실을 빨리 파악하지 못했다.
닛산의 또다른 문제점은 시장 점유율을
추천자료
GM 대우의 경영전략
르노 삼성의 기업경영 전략과 미래
도요타의 흥망성쇠
경영학원론 레포트
[사회과학] 최강 도요타(TOYOTA)의 미국시장진출전략과 성공요인
혁신기업 혼다의 미국시장진출 마케팅과 현지화전략
다국적기업 도요타의 비밀
도요타 기업 연구 & 성공 비결
[미국글로벌기업][다국적기업]미국 글로벌기업 포드(FORD), 미국 글로벌기업 3M, 미국 글로벌...
도요타전략
[기업 사례 분석 및 문제점 도출 & 대안제시][르노삼성 사례 분석]
우리나라와 유비쿼터스(Ubiquitous) 교통분야 비교 (일본과 EU)
[제네시스 마케팅전략]현대차 제네시스 마케팅전략분석과 제네시스 CRM,서비스전략분석과 제...
혼다 (HOND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