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와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사회복지와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학교교육과 복지
1-1.학교교육과 사회복지의 이해
1-2.학교사회복지의 개요(정의, 목적, 구성요소)
1-3.학교사회복지의 대상과 기능
2.학교사회사업의 개요
2-1.학교사회사업의 정의
2-2.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
2-3.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의 역사
3.외국의 학교사회복지 사례
3-1.외국의 학교사회복지 현황
3-2.외국의 학교사회복지 발달과 지원제도
4.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학교카운셀링
4-1.임상전문가로서의 역할
4-2.체계변화전문가로서의 역할
4-3.학교카운셀링의 이해
5.학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

Ⅲ.결론

참고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업에 관한 학위논문과 소개서가 처음으로 나오기 시작하였다.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이론적 소개가 이루어지면서, 1980년대 초반부터 사회복지관, 아동상담소, 소년감별소 등에서 아동복지 혹은 청소년복지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의 문제학생들에게 상담이나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아동복지법(1981), 소년소녀가장세대에 대한 지원정책(1984),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1988)등이 제정되면서, 요보호 학생과 아동에 관한 사회복지계의 관심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1980년대 후반에 급증하게 된 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학생과 아동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특정학교에서 교사에 의해 간헐적으로 제공되어지던 사회복지서비스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학생과 종합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에 의해서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였다. 비록 소수의 특정학교이긴 하나 학교현장 내에서 사회복지사에 의한 학교사회사업이 전개되기 시작하면서, 1990년대 중반부터는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실증적 실험연구가 논문으로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중반부터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본격적인 관심과 연구를 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95년에 국민복지기획단에서 학교사회사업의 제도적 도입을 주장하여 1998년부터 학교사회사업의 순차적 도입을 건의하였다. 이러한 건의를 바탕으로 교육부는 1999년부터 학교사회사업을 교육제도 내에 공식적으로 도입하기로 발표하고, 1996년부터 서울대구대전광주에서 1개교씩 선정하여 학교사회사업의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과 연구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1990년대 중반부터는 학교사회사업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고, 학교사회사업을 제도화하기 위한 학문적 연구와 실험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1997년 5월에 학교사회사업학회가 창립되었으며, 본 학회를 통하여 학교사회사업의 조속한 도입을 위한 학술대회, 연구회, 학술지 발간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전개되어지고 있다.
3.외국의 학교사회복지 사례
3-1.외국의 학교사회복지 현황
1)시작 시기
▶ 학교사회복지는 19세기 20세기 초 영국과 미국 등에서 의무교육 실시에 따라 아동들에 대한 교육서비스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2)학교사회복지사의 명칭과 다루는 문제
국가
시작시기
명칭
학교사회사업가
다른 명칭
가나
제2차 세계대전 후 시작 1967년부터 본격화
복지관
뉴질랜드
1970년대 후반 시작
1980년부터 본격화
학교 내 사회사업가
대만
1977년 시작
1997년부터 본격화

독일
1968년
마케도니아
1995년
사회사업가
몽골
1997년

미국
1906년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학교내상담가
스리랑카
1960년대 시작
1997년부터 본격화

스웨덴
1950년 초반

싱가포르
1970년 중반
청소년워커, 프로그램코디네이터
아랍에미리트
1972년
사회사업가
아르헨티나
1960년대
사회조무
에스토니아
1994년
아동보호사, 학교교육사
영국
1871년
교육사회사업가
교육복지가
일본
1986년

캐나다
1900년 이전 시작
1940년대부터 본격화

필란드
1966년

한국
1993년
학교사회복지사
헝가리
1930년대 시작
1990년대부터 본격화

호주
1940년

홍콩
1970년

[각국의 시기와 명칭]
▶ 대부분의 나라에서 학교사회복지사들이 다루는 문제는 행동문제를 비롯해 출석문제, 정서문제, 학습동기문제, 특수교육문제, 물질적 서비스 등을 다루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흥미로운 현상은 특수아동에 대한 각국의 대처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학교상담가가 출석, 정서, 행동, 물질지원, 학습동기문제, 등은 다루지 않고 장애아동들을 위한 특수교육문제만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그러나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특수교육을 학교사회복지사들이 다루는 문제로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호주에서는 특수교육의 개입은 주로 심리학자들의 업무로 규정되어 있으며, 뉴질랜드는 학교사회복지와 별도의 특수교육서비스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 싱가포르에서는 학생들의 장애 정도에 따라 일반학교 또는 특수학교에 배치하고 있다.
▶ 미국에서는 장애인교육법에서 학교 내 사회사업서비스를 규정하고 있다
▶ 몽골의 경우 학교사회복지 신생국으로는 놀라울 정도로 아동들의 학습, 정서, 행동문제뿐 아니라 가족문제와 아동학대 그리고 특수교육에 이르기까지 아동들의 기본적 욕구충족을위해 다양한 문제들에 개입하고 있다.
3) 학교사회복지사의 고용, 자격 및 현황
[학교사회복지사의 고용과 자격]
국가
고용
학교사회복지사의 수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
학교
기관
가나


250명
교사자격 취득 후 가나대학 사회사업대학원에서 전문훈련을 받고 졸업증과 1급 전문사회사업가 자격을 받아야함
뉴질랜드


79명
사회사업학위보다 자격선호(최소 자격 규정은 현재 만들과 있는 중임)
대만


33명
BSW, 면접통과
독일


미상
일반적인 사회사업 훈련 - 전문대학 3년과정
마케도니아

5~6명
BSW
몽골

600명 이상
현임훈련과 오리엔테이션, 사회사업 단기과정
미국


16,000명 이상
MSW이상
사우디아라비아

10,000명 정도
BA(사회사업, 사회학, 심리학)
스리랑카

14명
사회사업디플로마 또는 사회학이나 심리학 학위
스웨덴


1,500~2,000명 정도
BSW
싱가포르


미상
사회사업 또는 관련분야 졸업증, 학위
아랍에미리트

994명(공립학교의 경우)
사회사업학위, 교육분야 4년 경력
아르헨티나

전체 사회사업가의 1/4정도
수도권은 사회사업 전공, 교사자격증, 지방은 전공무관
에스토니아


60명 정도
BSW
영국


3,000명 정도
사회사업디플로마 또는 사회사업 1급, 또는 관련분야 학위
일본


20명 미만
규정 없음
캐나다


감소 추세
MSW, RSW
필란드


250~300명
사회사업가를 위한 대학시험
한국


50~60명
규정없음 사회복지사(M.A), 연수 경력자 선호
헝가리


50명
사회사업가
호주


200명 정도
BSW, AASW 회원자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6.02.13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