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국제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자동차의 국제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 주제 선정의 이유


2.본론

1. 글로벌 기업과 글로벌 마케팅이란?

2. 현대 자동차의 연혁과 매출현황

3. 3대 경영방침과 5대 글로벌 전략

4. 현대 자동차의 마케팅 사례

① 국내

② 미국

③ 중국

④ 인도

⑤ 동남아시아

5. 현대자동차의 세계적인 위치

6. 세계시장의 실태 및 생존 전략


3.결론

1. 앞으로 나아갈 방향

부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이 현대자동차는 동남아시아에서 후발주자라는 약세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투자와 사회공헌활동으로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5. 현대자동차의 세계적인 위치
현대자동차의 수출 국가는 1980년 38개국에서 2003년 190개국으로, 그리고 2004년 193개 국가로 늘어났으며, 판매 딜러 수도 5000개를 돌파했다. 2004년도 현대차 예상수출액 120억 달러 규모는 같은 해 우리나라 전체 예상수출 금액 2400억 달러의 5%를 차지하는 수치로, 이는 현대차가 경제 성장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110억 달러로 추정되는 현대차의 예상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우리나라 전체 예상무역수지 흑자 200억 달러의 55%를 기록, 국가경제에서의 위치가 상당함을 알게 했다.
현대차의 성장세는 세계 경기의 등락과 상관없이 2000년대 들어 지속적으로 이어져왔기에 세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2003년 미국 내 수입브랜드 중 도요타, 혼다, 닛산에 이어 네 번째로 40만 대 판매 메이커로 성장했으며, 같은 해 유럽시장에서도 점유율 2.1%를 넘어서는 등 꾸준히 판매량을 늘렸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나 터키 등 신흥시장에서도 동급 도요타를 제치는 기록을 세웠다.
인도의 경우, 2003년에 인도 자동차산업 사사 최단 기간인 5년 만에 생산누계 50만 대를 돌파했고, 2004년에도 두 자리수 성장 행진을 계속하는 중이다. 이제 신화가 되다시피 한 상트로가 여전히 인도시장을 이끄는 가운데 클릭, 아반떼XD 등이 기록 경신의 주역으로 당당히 서 있다.
중국에서는 2004년 6월, 역시 중국 자동차산업 사상 최단기간에 10만 대 생산을 돌파했다.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는 쏘나타와 아반떼는 패밀리카 붐에 편승하여 판매신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베이징에서 아반떼가 월간 최다 판매기록을 경신하는 가운데, 쏘나타가 그 뒤를 쫓고 있다.
또한 2005년이면 본격적인 쏘나타 양산체제에 들어가는 미국 앨라배마 공장, 그와 함께 곧 착공에 들어갈 슬로바키아 공장 등은 이러한 성과를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최근 몇 년간 톱10 메이커 중 가장 높은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인도중국터키 등 현지 생산이 이루어지는 국가에서는 2004년 들어 판매 기록을 매월 갈아치우다시피 했다. 게다가 미국 빅3가 보상판매에 뛰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의 판매고는 오름세를 유지했고 2004년 하반기에는 월간 판매고가 20%를 넘는 등 호조는 계속되었다.
이처럼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인정받는 한편, 이익 또한 최근 몇 년간 계속해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는 중이다. 이것은 현대차가 기술과 품질 면에서 이미 세계 주요 메이커를 따라잡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세계가 현대차를 인정하는 진정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세계 자동차업계의 선두 그룹에 들게 된 것은 근래 이 회사가 보여준 눈부신 성장세의 직접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매년 이런저런 거대 메이커가 쓰러져나가는 세계 자동차 전장에서 현대자동차는 90년대의 한낱 변두리 메이커에서 정몽구 회장의 병권을 쥐면서부터 현대차는 기아차 인수전의 최종 승자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에서도 글로벌 메이커로 당당히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 ‘파리 국제모터쇼’라는 공식 무대에서 명실상부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의 리더로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6. 세계시장의 실태 및 생존 전략
오늘날 세계시장을 이끄는 자동차회사들은 저마다 넘보기 어려운 강점을 지니고 있다. 예컨대 GM은 텃밭인 미국에서 최강의 연료전지기술로 무장한 채 미래시장을 노리고 있으며, 도요타는 최고급 브랜드 이미지와 최강의 투자 능력을 확보하고 있는가 하면, 일본 메이커들은 기술로 무장한 채 앞서거니 뒤서거니 이들을 뒤쫓는 중이다. 또, 수다한 유럽 메이커들은 종주국의 자부심으로 EU 시장에 내린 뿌리를 동유럽, 나아가 아시아남미까지 이어갈 태세이며, 세계 4위 생산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메이커들은 해외 중저가 시장을 호시탐탐 노리는 중이다. 그 와중에 딱 하나 남은 한국 브랜드로서 세계를 누비는 현대자동차에게 주어지는 선택은 오직 생존 아니면 소멸이다.
현대자동차의 생존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은 이제 갓 형성하기 시작한 글로벌 리더십을 얼마나 공고하게 다져나가 세계 속에 확고히 뿌리내릴 것인가에 달려있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는 200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글로벌 생산기지를 가진 글로벌 플레이어이의 위상을 확립해야 할 것이며, 미국 중국 유럽 등 권역별로 추진되고 있는 생산 및 연구개발센터를 차질 없이 구축해 2010년에는 국내 300만대, 해외 200만대 등 연간 500만 대 생산 체제를 갖추어 이로써,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로서의 리더십을 세계 속에 확고히 뿌리내려야 할 것이다.
결론
1. 앞으로 나아갈 방향
세계의 자동차업계는 지옥과 같은 경쟁 속에 내던져진 상태로 세계시장을 이끄는 서구의 GM과 포드, 폭스바겐과 다임러, 르노와 PSA 푸조, 그리고 일본의 도요타와 혼다, 나아가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는 중국 자동차업계까지도 저마다 넘보기 어려운 강점을 지니고 있다.
오직 생존 아니면 소멸이라는 이 불꽃 튀기는 경쟁 한 가운데, 단 하나뿐인 한국 자동차의 메이커로 살아남아 무서운 기세로 약진하고 있는 현대자동차는 모두가 놀랄 만한 속도로 급성장하여 전 세계 소비자를 사로잡았다.
2010년이면 세계 자동차업계에서 6개 정도만 살아남는다는 전망이 몇 년 전부터 힘을 얻어오고 있다. 특히 치열하게 진행되어온 인수합병이 이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는 과도한 임금인상과 생산성 정체로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보고서도 나오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세계 자동차 업계에서 최종적으로 살아남기 위해 앞으로 10년 또는 20년을 구상하고 자신을 세계 속에 놓고 객관적으로 점검하여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현대자동차 글로벌 리더십, 하응백, 2004
- 중국 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미래 , 임기택, 2003
- 한국대기업의 리더들, 동아일보 경제부 , 2002
- 글로벌 마케팅 개정판, 문병준, 2004
- 현대자동차 http://www.hyundai-motor.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2.1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0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