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도소화((Prisonization)의 개념
2) 박탈모형(deprivation model)
3) 유입모형(importation model)
4) 논의
2) 박탈모형(deprivation model)
3) 유입모형(importation model)
4) 논의
본문내용
지지하는 결과도 존재한다(Reisig & Lee, 2000). 따라서 교도소화 연구에 있어서 통합적인 접근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이는 교도소화를 명확하게 그리고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입모형과 박탈모형을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이윤호, 2000). 그러나 범죄 성향이 강할수록 중 구금시설에 수용되며, 이와는 반대로 경구금 시설에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범죄자가 수용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시설, 특히 구금 정도에 따른 교도소화의 차이는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교도소화로 인한 석방 후 실패(예를 들면, 재범률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령, 환자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병원에 입원할 경우, 병원은 환자가 밖에서 지니고 들어온 질병(유입)과 환자의 입원실 환경에 대한 적응(박탈) 문제를 나누어 해결해야만 하며, 이와 동시에 환자의 회복 의지(재소자의 의식)가 역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듯이, 재소자가 새로운 삶의 의지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받을 수 있도록 그들의 가족이나 애착을 가지고 있는 가까운 사람들의 잦은 면회를 권유하는 방안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교도소화로 인한 석방 후 실패(예를 들면, 재범률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령, 환자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병원에 입원할 경우, 병원은 환자가 밖에서 지니고 들어온 질병(유입)과 환자의 입원실 환경에 대한 적응(박탈) 문제를 나누어 해결해야만 하며, 이와 동시에 환자의 회복 의지(재소자의 의식)가 역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듯이, 재소자가 새로운 삶의 의지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받을 수 있도록 그들의 가족이나 애착을 가지고 있는 가까운 사람들의 잦은 면회를 권유하는 방안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