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콜레라
∎ 돼지 콜레라
∎공수병
∎ 돼지유행성 설사
∎ 돼지 오제스키병
∎가금 티프스
∎ 돼지 콜레라
∎공수병
∎ 돼지유행성 설사
∎ 돼지 오제스키병
∎가금 티프스
본문내용
피세포의 증식이 관찰됨.
- 점막 고유내에 심한 충혈, 출혈 및 부종이 관찰되고 단핵세포의 침윤이 관찰됨.
ㄴ. 결장
- 대장에서는 단지 결장에서만 장 상피세포의 변성과 약간의 단핵세포의 침윤이 보이며 입방화된 상피세포의 증식도 관찰됨.
ㄱ. 소장
- 새끼돼지에 비해 융모의 위축이나 융합은 심하지 않으나, 입방화된 융모상피세포의 증식이나 단핵세포의 침윤은 심함.
ㄴ. 결장
- 새끼돼지와 마찬가지로 대장 중 단지 결장에서만 장 상피세포의 변성과 약간의 단핵세포의 침윤이 보이며 입방화된 상피세포의 증식도 관찰됨.
ㄷ. 허리근육
- 허리근육의 괴사가 관찰된다.
- 진단
① 임상 병리학적 진단
- 임상소견 및 병리학적 소견의 종합으로 진단함.
ㄱ. 역학적 관찰
- 전 연령에 걸쳐 거의 대부분의 돼지에서 설사가 발생
- 전염성이 높아 한 돈사에 거의 동시에 발생
- 새끼돼지에서는 50%이상의 폐사율을 나타낸다.
- 육성돈과 성돈에서는 드물게 폐사가 나타난다.
ㄴ. 임상 병리학적 소견
- 심한 회백색의 수양성 설사
- 병변은 오직 장에만 국한 됨
- 팽창된 장관 안에는 액체가 가득차 있음
- 심한 융모의 위축 및 융합이 관찰됨
- 결장의 장 상피세포의 변성이 관찰됨
- 급사한 육성돈과 비육돈에서는 허리근육의 괴사가 관찰되기도 함
② 면역조직학적 진단 : 가장 신속하고 유용한 진단법
ㄱ. 형광 항체법
- 냉동 절편한 소장과 결장의 상피세포 그리고 장간막 임파절에서 양성반응 관찰
ㄴ. 면역과산화 효소법
- 형광항체법과 동일하나 진단하기 위해서는 3일의 시간이 소요됨
ㄷ. ISH (In Situ Hybridization)法 등
- 치료 및 예후
① 효과있는 치료법은 없음
② 폐사율은 돼지의 연령과 관계가 있으며 어릴수록 폐사율이 높아 새끼돼지는 50%이상의 폐사율을 보이나 육성돈과 비육돈 및 성돈에서는 폐사가 거의 없다.
- 예방 관리
① 예방
ㄱ. 본 질병 예방용 백신이 국내에서도 개발되었으며 유럽에서도 사용하고 있음.
ㄴ. 면역된 모돈은 초유를 통하여 새끼돼지에게 모체면역항체를 부여함.
ㄷ. 하나의 예방법으로서는 임신돈에게 분만 3주전에 병돈의 설사변 또는 장을 먹여 임신돈으로 하여금 가볍게 앓고 면역되어 새끼돼지에게 모체면역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음.
② 관리
ㄱ. 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철저한 소독과 차단방역
ㄴ. 분만시기에 외부로부터 돼지반입의 금지
ㄷ. 오염된 돈사의 소독
ㄹ. 병이 발생시 2차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항생제 투여
돼지 오제스키병
- 정의
돼지오제스키병은 주로 돼지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모돈은 유산을 일으키며 새끼돼지는 폐사율이 높은 제2종 가축전염병이며, 사람은 감염되지 않습니다.
- 주요증상
처음 발생한 양돈농가의 경우
임신모돈 : 유산, 사산, 허약자돈 분만 등 심각한 번식장애
새끼돼지 : 고열, 구토, 설사 및 신경증상을 나타내고 대부분 폐사
비육돈 등 : 고열, 식욕부진, 기침 등 감기 비슷한 증세 후 대부분 회복
발생한지 수개월이 지난 양돈농가의 경우
새끼돼지 : 어미젖으로부터 항체를 받기 때문에 폐사율 감소
비육돈 등 : 어미젖으로부터 받은 항체가 없어질 때(비육초기) 감염될 수 있으며,
성장부진, 호흡기증상을 나타냄
- 전파경로
돼지오제스키병의 전파경로는 가축중개상인, 수송/사료차량, 출입차량, 외부인, 축산도구, 인근발생농가, 감염돼지와 외부요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감염 후 회복되어 건강하게 보이는 돼지도 일생동안 병원체를 몸 속에 가지고 있게 되며, 분만, 수송, 기후변동, 영양장애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다시 악화되어 병원체를 퍼뜨리고 양돈장은 계속적인 피해를 보게 됩니다.
- 치료방법
바이러스 질병이기
- 점막 고유내에 심한 충혈, 출혈 및 부종이 관찰되고 단핵세포의 침윤이 관찰됨.
ㄴ. 결장
- 대장에서는 단지 결장에서만 장 상피세포의 변성과 약간의 단핵세포의 침윤이 보이며 입방화된 상피세포의 증식도 관찰됨.
ㄱ. 소장
- 새끼돼지에 비해 융모의 위축이나 융합은 심하지 않으나, 입방화된 융모상피세포의 증식이나 단핵세포의 침윤은 심함.
ㄴ. 결장
- 새끼돼지와 마찬가지로 대장 중 단지 결장에서만 장 상피세포의 변성과 약간의 단핵세포의 침윤이 보이며 입방화된 상피세포의 증식도 관찰됨.
ㄷ. 허리근육
- 허리근육의 괴사가 관찰된다.
- 진단
① 임상 병리학적 진단
- 임상소견 및 병리학적 소견의 종합으로 진단함.
ㄱ. 역학적 관찰
- 전 연령에 걸쳐 거의 대부분의 돼지에서 설사가 발생
- 전염성이 높아 한 돈사에 거의 동시에 발생
- 새끼돼지에서는 50%이상의 폐사율을 나타낸다.
- 육성돈과 성돈에서는 드물게 폐사가 나타난다.
ㄴ. 임상 병리학적 소견
- 심한 회백색의 수양성 설사
- 병변은 오직 장에만 국한 됨
- 팽창된 장관 안에는 액체가 가득차 있음
- 심한 융모의 위축 및 융합이 관찰됨
- 결장의 장 상피세포의 변성이 관찰됨
- 급사한 육성돈과 비육돈에서는 허리근육의 괴사가 관찰되기도 함
② 면역조직학적 진단 : 가장 신속하고 유용한 진단법
ㄱ. 형광 항체법
- 냉동 절편한 소장과 결장의 상피세포 그리고 장간막 임파절에서 양성반응 관찰
ㄴ. 면역과산화 효소법
- 형광항체법과 동일하나 진단하기 위해서는 3일의 시간이 소요됨
ㄷ. ISH (In Situ Hybridization)法 등
- 치료 및 예후
① 효과있는 치료법은 없음
② 폐사율은 돼지의 연령과 관계가 있으며 어릴수록 폐사율이 높아 새끼돼지는 50%이상의 폐사율을 보이나 육성돈과 비육돈 및 성돈에서는 폐사가 거의 없다.
- 예방 관리
① 예방
ㄱ. 본 질병 예방용 백신이 국내에서도 개발되었으며 유럽에서도 사용하고 있음.
ㄴ. 면역된 모돈은 초유를 통하여 새끼돼지에게 모체면역항체를 부여함.
ㄷ. 하나의 예방법으로서는 임신돈에게 분만 3주전에 병돈의 설사변 또는 장을 먹여 임신돈으로 하여금 가볍게 앓고 면역되어 새끼돼지에게 모체면역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음.
② 관리
ㄱ. 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철저한 소독과 차단방역
ㄴ. 분만시기에 외부로부터 돼지반입의 금지
ㄷ. 오염된 돈사의 소독
ㄹ. 병이 발생시 2차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항생제 투여
돼지 오제스키병
- 정의
돼지오제스키병은 주로 돼지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모돈은 유산을 일으키며 새끼돼지는 폐사율이 높은 제2종 가축전염병이며, 사람은 감염되지 않습니다.
- 주요증상
처음 발생한 양돈농가의 경우
임신모돈 : 유산, 사산, 허약자돈 분만 등 심각한 번식장애
새끼돼지 : 고열, 구토, 설사 및 신경증상을 나타내고 대부분 폐사
비육돈 등 : 고열, 식욕부진, 기침 등 감기 비슷한 증세 후 대부분 회복
발생한지 수개월이 지난 양돈농가의 경우
새끼돼지 : 어미젖으로부터 항체를 받기 때문에 폐사율 감소
비육돈 등 : 어미젖으로부터 받은 항체가 없어질 때(비육초기) 감염될 수 있으며,
성장부진, 호흡기증상을 나타냄
- 전파경로
돼지오제스키병의 전파경로는 가축중개상인, 수송/사료차량, 출입차량, 외부인, 축산도구, 인근발생농가, 감염돼지와 외부요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감염 후 회복되어 건강하게 보이는 돼지도 일생동안 병원체를 몸 속에 가지고 있게 되며, 분만, 수송, 기후변동, 영양장애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다시 악화되어 병원체를 퍼뜨리고 양돈장은 계속적인 피해를 보게 됩니다.
- 치료방법
바이러스 질병이기
추천자료
탄저균과 환경의 관계
개의생식기질환
소의 기종저
[생물학] 바이러스의 종류와 특성(배양법, 감염메카니즘, 세포영향력, 질병성립경로 등)
사람이나 동물에서의 유전자 검사
[분석/조사] [동물생명] 생명과학의 중요성과 발달사
연골어류(두툽상어) 해부 실습 발표 자료
질병치료에 도움을 주는 약용식물과 효능
광견병(Rabies)에 대해
조류인플루엔자
애견 훈련소의 실태조사
[당뇨병][당뇨][질병][당뇨병 정의][당뇨병 분류][합병증][민간요법]당뇨병(당뇨)의 정의, 당...
[단백질] 단백질의 종류, 아미노산의 종류,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 단백질 부족 및 ...
탄수화물의 대사 및 기능, 탄수화물 종류, 탄수화물과 건강(질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