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백화점비교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일백화점비교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일 백화점의 일반적 영업현황
1. 4P로 본 한국의 백화점
2. 4P로 본 일본의 백화점
3. 한.일 백화점의 수익성 비교분석

Ⅱ. 한.일 백화점의 비교 분석(한신코아 백화점 VS 다이마루 백화점)
1. 한신코아 백화점
2. 다이마루 백화점

Ⅲ. 한.일 백화점의 차이점과 유사점(한신코아 VS 다이마루 )

Ⅳ. 한.일 백화점의 전체적인 유사점과 차이점
1. 유사점
2. 차이점

Ⅴ. 향후 백화점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Ⅰ. 한일 백화점의 일반적 영업현황
1. 4P로 본 한국의 백화점
1) 입지(place)
평균 매장면적은 4967.8평으로 점차 대형화 추세로 가고 있으며 주 고객층은 31~40세이며 구매시간대는 점차 야간시간대로 옮겨가고 있다.
2) 매입(product)
점포당 평균재고액이 163억 7440만원으로 점차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감소로 인한 판매실적의 저조로 인해 물건의 회전율이 낮아진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이다. 또한 점포당 컴퓨터 비율은 평균 85%이며, POS의 대수는 평균 74.7대이다. 이와 같이 컴퓨터 수와 POS의 대수가 증가한 이유는 매입관리나 재고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가격(price)
직영부분이 83.7%로서 buying power를 높여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매출액순이익률도 커진다.
4) 판매관리(promotion)
점포당 매출액은 1221억원으로 감소추세이며 매출총이익율도 점차 감소 추세이다. 판매액 비율로는 의류가 가장 높고 다음 음.식료품, 신변잡화 순이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신변잡화를 제외한 생활에 꼭 필요하지 않은 상품 즉 전문품의 구매를 자제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채비율은 평균 556.1%로 재무상태가 상당히 불건전하다. 현재 정부가 대기업들에게 요구하는 부채비율이 200%임을 감안한다면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PB상품의 비율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아직 PB상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상품에 대한 신뢰도가 없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신판매로 인한 상품발송은 타사배송(택배)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용종사자수가 대폭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백화점이 감량경영을 통한 영업경비의 절감을 이루기 위함이다.
영업경비는 인건비-> 판촉비-> 감가상각비순으로 많이 들고 있는데 현재 자구책의 일환으로 판관비의 감소를 통한 감량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2. 4P로 본 일본의 백화점
1) 입지(place)
지가세의 상승으로 점차 교외로 나가 대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해외기지신설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다점포화를 통한 입지전략을 구사하며 타 백화점과의 제휴를 토하여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2) 매입(product)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저가격지향의 머천다이징을 실시하며 독자적인 상품조달 루트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수발주를 위한 POS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목표고객을 위주로한 표적매입을 실시하고 있다.
3) 가격(price)
대면판매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에 따라 감량경영을 모색하고 있으며 해외 직수입을 통해 소비자에게 이익을 환원하고 있다.
4) 판매관리(promotion)
총매출액은 8조 7713억엔으로 감소했으며 매출액 순이익률도 0.5%로 낮은 수준이다.
판매액 비율은 식품-> 잡화-> 의류-> 가정용품순이다. 이는 소비패턴이 생활에 필요한 상품만을 구입하는 알뜰구매패턴경향으로 바뀌고 있다는 증거이다.
영업경비는 인건비-> 판촉비-> 임차료-> 감가상각비-> 금융비용순으로 많이 들고 있다. 또한 고령사원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의 악화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다.
<표 1> 4P로 본 한일 백화점의 비교
특징
한국의 백화점
일본의 백화점
입지
(place)
1. 평균 매장면적 4967.8평으로 점차 대형화
2. 31~40세가 가장 많은 고객 층이며 구매시간대는 점차 야간시간대로 이동
1. 지가세의 상승으로 인한 대형화
2. 해외기지신설에 주력
3. 다점포화를 통한 입지전략을 구사
4. 타 백화점과의 제휴
매입
(product)
1. 점포당 평균재고액이 163억 7440만원으로 점차 상승하고 물건의 회전율이 낮아짐
2. 점포당 컴퓨터 수는 평균 85%이며, POS의 대수는 평균 74.7대
1.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저가격지향의 머천다이징 실시
2. 독자적인 상품조달 루트 확보
3. 효율적 수발주를 위한 POS시스템사용
4. 목표고객을 위주로 한 표적 매입
가격
(price)
1. 직영부분이 83.7%로서 buying power를 높여가고 있어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매출액순이익률도 커짐
1. 대면판매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
2. 해외 직수입을 통해 소비자에게 이익 환원
판매관리
(promotion)
1. 점포당 매출액: 1221억원(감소)
2. 판매액 비율: 의류-> 음.식료품-> 신변잡화.
3. 부채비율: 평균 556.1%
4. PB상품의 비율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
5. 통신판매로 인한 상품발송은 타사배송(택배)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6. 상용종사자수가 대폭 감소
7. 영업경비 비율: 인건비-> 판촉비-> 감가상각비
1. 총매출액: 8조 7713억엔(감소)
2. 매출액 순이익률: 0.5%(낮은 수준)
3. 판매액 비율: 식품-> 잡화-> 의류-> 가정용품
4. 영업경비: 인건비-> 판촉비-> 임차료->감가상각비-> 금융비용
5. 고령사원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의 악화
3. 한일 백화점의 수익성 비교분석
매출이익률. 매출총이익률
1) 정 의 : 매출총이익(매출액-매출원가)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경비와 이익의 근본이 되는 수익성지표.
2) 산출식 : 매출총이익 / 매출액 x 100
은 일본보다 낮은데 비해서 영업이익률은 일본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매출이익률이 낮게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첫째, 신용카드매출로 인한 자금운용의 어려움과 바겐세일, 위탁판매방식으로 인한 원인을 꼽을 수 있고, 둘째, 타 업태에 비해 인건비비중이 높고 점포구성 내부장식이 과다하게 투자되는 비용이 많기 때문으로 들 수 있는데 우리 나라의 백화점은 낮은 생산성으로 인한 고비용저 효율의 문제점이 수익성의 비교에서도 여실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영업이익률. 영업이익률
1) 정 의 : 매출액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영업이익은 매출총이익에서 영업비(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공제한 것으로 영업활동 그 자체의 업적평가를 행하는 수익성지표.
2) 산출식 : 영업이익 / 매출액 x 100
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원인으로는 일본보다 마케팅비용에 대한 지출이 작기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03.22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