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 기흉(pneuthorax)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케이스 기흉(pneuthorax)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기간 및 방법
1). 간호사정

개인력
신체검진
진단을 위한 검사
건강력
간호진단
치료및 경과

본문내용

화불량,가슴쓰림,설사,변비,구내염,습진,발한,자반,이명,청각장애,시각장애,부종,호흡곤란,드물게 속증상
체액저류, 고혈압,심기능부전환자,소화성궤양환자,신.간장애환자,기관지천식환자
전진성홍반성루프스(SLE)환자 및 혼합결합조직질환(MCTD)환자
Pethidine
수술전 투여로 마취보조, 격렬한 동통시, 무통분만에 이용
격렬한 동통시 진통,진정,진경:1회 35-50mg IM,SC,IV(긴급시만),필요시 3-4시간마다 투약
도취감,불쾌감,불안,흥분,구갈,오심,구토,호흡억제,환각,안면홍조,빈맥,서맥,기립성저혈압,배뇨장애
무통분만 목적으로 투여시 태아 호흡방지 목적에 pethiding 100mg에 levallorphan 1mg비율로 혼주
중증 간질환중증 호흡억제환자,두개내압 상승환자
▶약물치료
6)간호과정 적용
날짜
간호진단 및 치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11
#흉막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S: 대상자는 아파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O: 대상자는 가슴통증으로 입원했다
흉곽내 압력이 회복되어 통증이 완화된다.
-통증의 특성 및 정도를 사정한다.
-활력징후를 사정하여 통증으로 맥박과 호흡이 증가되고 혈압이 하강하는지 살폈다.
-Semi fowler position를 취해주어 횡격막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원활한 호흡을 유지하게 지지해 주었다.
-통증 유발 요인,악화 요인을 확인하여 피하도록 한다.
-필요시 처방된 항생제 및 진통제를 투여한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 결과 호흡곤란과 통증에 불편함이 없는 모습임
3/11
#흉막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S:대상자는 3월11일 호흡하기가 조금 불편하다고 말했다.
O:Pneumothorax로 인해 대상자는 호흡이 불규칙하고 힘들어하셨다.
대상자가 호흡하는 것이 편하게 된다.
-호흡양상을 사정한다.(관찰)
-필요시 산소요법를 시행한다.(지시에 따라 산소마스크 제공)
-필요한 일상 활동을 돕고 휴식을 제공한다.(충분한 휴식기간을 제공)
-충분한 영양섭취로 호흡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영양섭취를 잘 하도록 교육함)
-가장 효율적인 호흡자세를 가르친다.(semi fowler position으로 자세 취했음)
-산소마스크를 착용하고 나서 호흡하기 한결 편해졌다고 함.
-기타활동에 불편한 없이 잘 적응하고 계심.
-별다른 complain 없음.
3/12
#흉부 밀봉배액법에
관한 지식부족
O : 대상자는 수술 후 T-Drain으로 체액 및 공기를 배액하셨다.
튜브 삽관으로 인한 합병증 없이 배액이 유지된다
튜브삽관의 불안과 부작용 예방하기 위해 흉부 밀봉배액법의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교육함)
배액관 쪽으로 누울 경우 통증이 유발되므로 모래주머니는 배액관 쪽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자세 변화시 흉관의 꼬임이나 눌림이 있는지 관찰한다.(주의할 수 있도록 교육함)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교육함)
그 밖의 흉부밀봉배액시 유의 사항을 설명한다.
궁금한 것을 묻도록 유도한다.
교육한 내용에 대하여 이해정도를 사정한다.
-흉부 밀봉배액관에 대한 설명이 끝난 후 대충은 이해가 간다고 했고 궁금한 것, 불편이 생기면 물어보겠다고 말함
-500cc 배액함
3/12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O:대상자는 튜브 삽입과 관련하여 외적으로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모든 간호를 제공하기 전, 후에 올바른 손씻기를 시행한다.
감염을 예고하는 고체온과 빈맥의 관찰을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한다.(v/s측정함-이상없음)
체온 상승 시 그 원인 요소를 알아보고, 그 요인을 감소시켜서 체온이 정상 범 위 내에 돌아오도록 찬 물수건으로 닦아드리거나, 얼음 요법을 실시한다.
체온 상승 시 관찰, 기록하고 37.5°이상의 체온 상승 시 보고한다.
상처 및 드레싱 부위의 홍안, 온열감, 부종, 배액량 등을 관찰한다.(관찰함)
대상자의 체온이 37.2℃까지 올라간 적이 있지만 심한 고열증세는 나타나지
않음
두통이나 그 밖의 감염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아서 ,감염의 부작용 없음.
3/15
#수술에 대한 정보부족과 관련된 불안
O:대상자는 3월15일 Bullectomy 수술을 받는다.
대상자가 현재의 질병상황을 알고 대처하며 불안이 감소된다.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는다.(대상자의 말을 경청해 드림)
대상자와 신뢰감을 형성하며 조용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인다.
대상자가 대화를 나눠서 마음이 한결 편하고 함
대상자는 다행히 불안해 보임 없이 담담히 계셨음
3/15
#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s:“아파요 . 진통제좀 놓아주세요”
0:눈을 감고 인상을 쓰고 있는 모습이었다.
0:팔을 만져보니 뜨거웠다.
통증이 가라앉고 안위를 도모한다.
활력징후를 사정하여 고열,과호흡이 있는지 살펴본다.
(호흡은 20이며,
열이 38.2까지 올라가서 ice Bag를 만들어 옆구리에 지지해드림)
효율적 호흡을 위해 semi fowler position를 취하고 가습기를 제공했다.(가습기 틀어줌)
통증이 쉽게 가라않지 않아 의사의 처방지시대로 진통제를 투여했다.
(간호사선생님이 babel,pethidine를 IM으로 줌)
통증이 조금 완화된거 같다고 함.
열은 38.2에서 37.9로 조금밖에 떨어지지 않음
Ice bag를 중단하지 않음.
5. 결론
케이스환자를 보면서 이론에서 나와있듯이 젊고 키크고 마른 사람이 기흉이 잘생긴다는 것이 맞는 말인 듯 싶었고,(케이스 대상자외 기흉환자가 10,20대가 많이 입원했음) 기흉은 예방과 수술후의 재발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시해야 할 병으로 특히 금연이 중요하다.
기흉을 간호사례로 선정하여서 계속적으로 치료과정을 살펴보고 참여함으로써 기흉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였고 ,대상자의 회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었다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
문헌참고
▶서문자외 성인간호학 上Ⅱ 수문사 2003개정판
p1123~1132, p1218~1221,p1229~1241
▶http://www.taegumc.co.kr/gi/대구 의료원 기흉센터
▶http://cafe.daum.net/pneumothorax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3.20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