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정상해부생리
3. 병태생리
4. 원인
5. 진단
6. 분류
7. 치료
8. 합병증
9. 흉관삽입 대상자 관리
10. 간호중재
2. 정상해부생리
3. 병태생리
4. 원인
5. 진단
6. 분류
7. 치료
8. 합병증
9. 흉관삽입 대상자 관리
10. 간호중재
본문내용
, 종격동 장기의 압축으로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정맥귀환이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 개방성 기흉 : 관통성 흉부창상이 늑막내강을 대기압에 노출시켜 나타난다. 흡기시마다 공기가 늑막내강으로 흡인되어 늑막내압이 증가된다. 개방성 기흉은 호흡시 창상부위에서 흡인되는 소리를 내므로 흡인성 흉부창상이라고 부른다. 또한 혈액이 늑막강내로 유출되면 혈흉이 될 수 있다.
- 기흉에 잘 걸리는 사람 : 일차성 자연 기흉의 경우 통계적으로 키가 크고, 마른 사람 - 저 체중인 경우가 68.7%, 정상체중인 경우가 28.7%, 젊은 사람 - 10, 20대가 전체 발생의 83%, 특히 고등학교 2, 3학년 및 대학교 1학년 학생, 남자 - 남자가 여자보다 8 배정도 높음, 담배 피우는 사람이 잘 걸린다고 한다.
4. 원인
- 폐의 작은 부분이 약해지면서 폐 표면에 작은 기포들이 형성되고 그 기포의 파열로 폐속의 공기가 늑망강내로 유출된다. 수술로서 절제되지 않은 폐기포는 또한 재발의 원인도 된다.
▷ 대기오염
▷ 대기압력의 급격한 변화
▷ 흡연
▷ 빠른 성장(특히 키가 빨리 자라지만 폐가 그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5. 진단
-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흉부 진찰 소견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단순 흉부 방사선(X-ray) 사진을 찍으면 확진이 가능하다. 간혹 폐기종이 심한 환자에 있어서는 기흉이 뚜렷이 보이지 않거나 커다란 기포와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산화 단층촬영(CT)이 도움이 된다.
6. 분류
1)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 외상 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흉막강 내로 공기가 누출되어 축적되는 상태로 폐가 허탈 된다. 큰 수포가 파열되거나 결핵성 병변이 흉막강 내로 침식해서 발생하는 증상으로 급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하강, 약하고 빠른 맥박, 병소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기절, 흉부압박감, 허탈된 폐,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병소 있는 흉부의 움직임 소실 등이 관찰된다.
- 치료 및 약물요법 : 작은 기흉은 활동을 제한하고 산소를 투여하면 흉막강내의 공기가 점차 흡수되고, 큰 기흉은 천자나(18gauze)카테터를 삽입하여 흡인하거나 밀봉 배액병 에 연결하여 공기를 빼주고 재팽창 시킨다. 약물요법으로 vibramycin이나 tetracyclin과 같은 항생제 또는 talcum powder를 식염수에 녹여 주입한다. 이 치료는 매우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발열이 있으므로 이에 다른 간호가 필요하다. 반복기흉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해 개흉하여 수술하기도 한다.
- 검사 및 간호 : 기흉이 발생하면 얼마동안 안정하도록 권고 한다. 기흉에서 회복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X-선 검사를 하여 폐의 재팽창이 잘 되는지 관찰하며 동맥혈액 가스분석을 실시한다. 산소를 투여하여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고 (COPD 대상자인 경우 CO2 마취를 방지하기 위해 주의해서 투여) 앉은 자세로 조용히 쉬게 한다.
2)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 손상된 폐조직(기관지, 폐포 등의 파열)을 통하여 흡기 시 매번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지만 호기시에 나오지 못하는 매우 심한 밸브 타입의 기흉이다. 공기 양이 축적되어 늑막강내압이 상승되기 때문에 심장과 폐의 충만이 방해된다. 증상으로는 심한 호흡곤란, 피하기종, 청색증, 급성흉부 통증, 기관변위, 타진시 고음(북치는 소리), 높은 공명음, 병소 부위의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맥박과 호흡증가, 흉부압박감, 흡기 시 병소 부위의 운동 감소 등이 관찰된다. 긴장성 기흉은 심각한 순환 및 폐손상을 유발하여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잃는다.
- 치료 및 약물요법 : 흉막강내에 공기가 나가는 개방성 기흉으로 만들어 치료한다. 흉막강 내로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때 주사바늘에 끝을 절개한 finger tip을 묶어 flutter valve의 역할을 하게 한다. 흉곽천자를 할 수 있으면 즉시 시행한다. 이는 가장 빠른 치료법이다. 또한 합병증으로 농흉이 되기 쉬우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3) 개방성 기흉(open pneumothorax)
- 흉벽상처로 인해 대기의 공기가 흉곽 안으로 빨려들어가 발생한 기흉이다. 공기가 호흡운동에 따라 상처를 통해 흉곽 안팎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을 만큼 크다. 개방성 기흉은 사고로도 생기지만 밀봉 배액병의 연결관이 빠
- 개방성 기흉 : 관통성 흉부창상이 늑막내강을 대기압에 노출시켜 나타난다. 흡기시마다 공기가 늑막내강으로 흡인되어 늑막내압이 증가된다. 개방성 기흉은 호흡시 창상부위에서 흡인되는 소리를 내므로 흡인성 흉부창상이라고 부른다. 또한 혈액이 늑막강내로 유출되면 혈흉이 될 수 있다.
- 기흉에 잘 걸리는 사람 : 일차성 자연 기흉의 경우 통계적으로 키가 크고, 마른 사람 - 저 체중인 경우가 68.7%, 정상체중인 경우가 28.7%, 젊은 사람 - 10, 20대가 전체 발생의 83%, 특히 고등학교 2, 3학년 및 대학교 1학년 학생, 남자 - 남자가 여자보다 8 배정도 높음, 담배 피우는 사람이 잘 걸린다고 한다.
4. 원인
- 폐의 작은 부분이 약해지면서 폐 표면에 작은 기포들이 형성되고 그 기포의 파열로 폐속의 공기가 늑망강내로 유출된다. 수술로서 절제되지 않은 폐기포는 또한 재발의 원인도 된다.
▷ 대기오염
▷ 대기압력의 급격한 변화
▷ 흡연
▷ 빠른 성장(특히 키가 빨리 자라지만 폐가 그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5. 진단
-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흉부 진찰 소견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단순 흉부 방사선(X-ray) 사진을 찍으면 확진이 가능하다. 간혹 폐기종이 심한 환자에 있어서는 기흉이 뚜렷이 보이지 않거나 커다란 기포와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산화 단층촬영(CT)이 도움이 된다.
6. 분류
1)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 외상 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흉막강 내로 공기가 누출되어 축적되는 상태로 폐가 허탈 된다. 큰 수포가 파열되거나 결핵성 병변이 흉막강 내로 침식해서 발생하는 증상으로 급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하강, 약하고 빠른 맥박, 병소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기절, 흉부압박감, 허탈된 폐,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병소 있는 흉부의 움직임 소실 등이 관찰된다.
- 치료 및 약물요법 : 작은 기흉은 활동을 제한하고 산소를 투여하면 흉막강내의 공기가 점차 흡수되고, 큰 기흉은 천자나(18gauze)카테터를 삽입하여 흡인하거나 밀봉 배액병 에 연결하여 공기를 빼주고 재팽창 시킨다. 약물요법으로 vibramycin이나 tetracyclin과 같은 항생제 또는 talcum powder를 식염수에 녹여 주입한다. 이 치료는 매우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발열이 있으므로 이에 다른 간호가 필요하다. 반복기흉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해 개흉하여 수술하기도 한다.
- 검사 및 간호 : 기흉이 발생하면 얼마동안 안정하도록 권고 한다. 기흉에서 회복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X-선 검사를 하여 폐의 재팽창이 잘 되는지 관찰하며 동맥혈액 가스분석을 실시한다. 산소를 투여하여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고 (COPD 대상자인 경우 CO2 마취를 방지하기 위해 주의해서 투여) 앉은 자세로 조용히 쉬게 한다.
2)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 손상된 폐조직(기관지, 폐포 등의 파열)을 통하여 흡기 시 매번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지만 호기시에 나오지 못하는 매우 심한 밸브 타입의 기흉이다. 공기 양이 축적되어 늑막강내압이 상승되기 때문에 심장과 폐의 충만이 방해된다. 증상으로는 심한 호흡곤란, 피하기종, 청색증, 급성흉부 통증, 기관변위, 타진시 고음(북치는 소리), 높은 공명음, 병소 부위의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맥박과 호흡증가, 흉부압박감, 흡기 시 병소 부위의 운동 감소 등이 관찰된다. 긴장성 기흉은 심각한 순환 및 폐손상을 유발하여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잃는다.
- 치료 및 약물요법 : 흉막강내에 공기가 나가는 개방성 기흉으로 만들어 치료한다. 흉막강 내로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때 주사바늘에 끝을 절개한 finger tip을 묶어 flutter valve의 역할을 하게 한다. 흉곽천자를 할 수 있으면 즉시 시행한다. 이는 가장 빠른 치료법이다. 또한 합병증으로 농흉이 되기 쉬우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3) 개방성 기흉(open pneumothorax)
- 흉벽상처로 인해 대기의 공기가 흉곽 안으로 빨려들어가 발생한 기흉이다. 공기가 호흡운동에 따라 상처를 통해 흉곽 안팎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을 만큼 크다. 개방성 기흉은 사고로도 생기지만 밀봉 배액병의 연결관이 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