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Ⅳ, 참고문헌
Ⅱ.본론
Ⅲ.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고환염 등 생식기 감염증, 패혈증, 심내막염 등
-용량/용법 :
# 성인 1일 1g, 2회 분할 정주 또는 근주
# 소아 20-40mg/kg/day, 2회 분할 정주 또는 근주
# 증상이 심한 경우 1일 성인 5g, 소아 100mg/kg까지 투여 가능
-부작용 : 쇽, 발열, 발진, 두드러기, 호산구 증가, 백혈구 감소, 무과립 세포증, 간효소치 상승, 급성신부전, 신장애, 복통, 설사, 경련, 비타민 결핍증 등
-금기 : 본제 또는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 쇽 기왕력자, 리도카인 등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에 과민증 기왕력자
-투여되는 이유 : 수술 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2) Nadoxol
-효능/효과 :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 만성 호흡기 질환; 급, 만성 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용량/용법 : 1일 1회 75mg, 아침 또는 저녁
-투여되는 이유 : 수술 후 효과적인 기도를 유지하기 위함
3) Erubin[(Methylergometrin),자궁수축제]
-효능/효과 : 출혈의 방지 및 치료(태반만출 후, 분만 후 출혈, 자궁 퇴축부전,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용량/용법 : 1회 0.1-0.2mg 피하 또는 근주, 응급시 정주 가능, 필요시에는 6시간 간격으로 근주, 심한 출혈시 2-4시간마다 반복 근주
-부작용 : 구역, 구토, 설사,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빈맥, 서맥, 심계항진, 두통, 졸음, 어지러움, 흥분, 경련, 발진, 아나필락시스 반응, 태반감돈, 발한, 복통, 쇽 등
-금기 : 임부, 분만중, 자간, 분만유도, 아두 만출전, 고혈압, 임신 중독증, 본제 또는 맥각알칼로이드 과민증자, 폐색성 혈관질환 또는 그 기왕력자, 중증 전염상태, 패혈증
-투여되는 이유 : 분만 후 자궁이완으로 인한 출혈 방지를 위해
5. 진단적 검사결과
1)whole blood
검사종류
검사결과
단위
참고치
임상적 의미
WBC
13.6↑
3.5~11.0
염증이나 감염, 백혈병, 알러지
RBC
3.32 ↓
3.8~5.2
조혈장애, 과다한 혈액세포의 파괴, 혈액소실, 만성질환, 체액의 증가, 일부 약물
Platelet
141
140~440
혈액 응고와 관여. 수치가 저하되면 출혈이 쉽게 됨
Hgb
9.8 ↓
12.0~16.0
적혈구 수와 비례, 빈혈, 산소교환 장애
Hematocrit
30 ↓
36~46
적혈구 수와 비례
[05.01.04]
검사종류
검사결과
단위
참고치
임상적 의미
WBC
12.3↑
3.5~11.0
염증이나 감염, 백혈병, 알러지
RBC
2.96 ↓
3.8~5.2
조혈장애, 과다한 혈액세포의 파괴, 혈액소실, 만성질환, 체액의 증가, 일부 약물
Platelet
156
140~440
혈액 응고와 관여. 수치가 저하되면 출혈이 쉽게 됨
Hgb
8.7 ↓
12.0~16.0
적혈구 수와 비례, 빈혈, 산소교환 장애
Hematocrit
26.7 ↓
36~46
적혈구 수와 비례
[05.01.06]
검사종류
검사결과
단위
참고치
임상적 의미
WBC
10.5↑
3.5~11.0
염증이나 감염, 백혈병, 알러지
RBC
3.41 ↓
3.8~5.2
조혈장애, 과다한 혈액세포의 파괴, 혈액소실, 만성질환, 체액의 증가, 일부 약물
Platelet
141
140~440
혈액 응고와 관여. 수치가 저하되면 출혈이 쉽게 됨
Hgb
10.6 ↓
12.0~16.0
적혈구 수와 비례, 빈혈, 산소교환 장애
Hematocrit
31.2 ↓
36~46
적혈구 수와 비례
[05.01.08]
Ⅲ.결론
이번 실습은 분만실이어서 분만에 관해서만 사전에 학습하고 갔는데 의외로 소아과 병동이 합쳐져서 당황했다. 그리고 자연분만을 볼 수 없어서 무척이나 아쉬웠지만 이제까지 실습 중에서 흔히 접할 수 없었던 특수 병동이라서 그런지 끝나가는 무렵 많은 걸 느끼고 배울 수 있었던 좋은 실습이었던 것 같다. 이번 실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었던 것은
첫째, 소아과 환자인 경우 아직 자기 의사 결정에 대해서 미흡하기 때문에 부모와 같이 입원하고 부모에게 사정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소아환자인 경우 나이에 따른 발달과업이 있기 때문에 발달과업에 따른 care를 해줘야 할 것 같다. 그리고 그 발달과업에 대한 보호자 교육도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대 병원은 너무 바빠서 그렇게까지 챙기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너무 아쉬웠다.
둘째, 요새는 대체로 맞벌이가 많아서 낮에는 주로 할머니가 계셨다. 나이가 드신데다 거동이 불편한 분도 계시고 이런 분들은 또 신세대 육아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갖고 계셨다. 이런 분들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셋째, 어느 부모든 자기 자녀가 아프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고 걱정을 많이 한다. 실습을 하면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모습이었다. 그런 부모들은 자녀들을 위해서 간호사나 의사에게 잘 치료해달라고 한없이 약해지기 마련이다. 그런 부모들을 위해 자세한 설명과 친절하고 성실한 태도를 갖을 필요성을 느꼈다.
넷째. 산부인과 병동은 내가 남자라서 접근하기가 아주 어려웠다. 대상자분들도 간호사도 산과로 입원한 분이나 부인과 질환을 갖고 입원한 분이나 사정하기도 학습하기도 너무 어려웠던 것 같다. 앞으로 그런 어색함을 이기고 좀 더 부담감 없이 접근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해 봐야 할 것 같다. (아직 답이 안나옴..ㅜㅡㅜ)
다섯째, 간호사는 언제어디서든 환자나 보호자가 궁금한 것을 물어볼 때 대답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보호자가 갑자기 이건 왜 그런건가요? 하고 물어보면 당황해서 잘 대답을 해주지 못했고 내가 모르는게 너무나 많았다. 앞으로 병리에 대해서 좀 더 학습하고 그에 대해서 친절하고 다정하게 대답해 주도록 해야겠다.
이번에 소아과 병동, 산부인과 병동을 실습하면서 어려웠던 점도 많았다. 하지만 이번 실습은 나에게 간호사는 실력도 중요하지만 간호사의 태도에 대해 다시금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아주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참 많은 것을 얻고 느끼는 이번 실습은 나에게 아주 보람찬 실습이었던 것 같다.
Ⅳ, 참고문헌
여성 건강 간호학 Ⅱ. 수문사. 최연순 외. (1999)
http://www.kimsonline.co.kr/
-용량/용법 :
# 성인 1일 1g, 2회 분할 정주 또는 근주
# 소아 20-40mg/kg/day, 2회 분할 정주 또는 근주
# 증상이 심한 경우 1일 성인 5g, 소아 100mg/kg까지 투여 가능
-부작용 : 쇽, 발열, 발진, 두드러기, 호산구 증가, 백혈구 감소, 무과립 세포증, 간효소치 상승, 급성신부전, 신장애, 복통, 설사, 경련, 비타민 결핍증 등
-금기 : 본제 또는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 쇽 기왕력자, 리도카인 등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에 과민증 기왕력자
-투여되는 이유 : 수술 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2) Nadoxol
-효능/효과 :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 만성 호흡기 질환; 급, 만성 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용량/용법 : 1일 1회 75mg, 아침 또는 저녁
-투여되는 이유 : 수술 후 효과적인 기도를 유지하기 위함
3) Erubin[(Methylergometrin),자궁수축제]
-효능/효과 : 출혈의 방지 및 치료(태반만출 후, 분만 후 출혈, 자궁 퇴축부전,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용량/용법 : 1회 0.1-0.2mg 피하 또는 근주, 응급시 정주 가능, 필요시에는 6시간 간격으로 근주, 심한 출혈시 2-4시간마다 반복 근주
-부작용 : 구역, 구토, 설사,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빈맥, 서맥, 심계항진, 두통, 졸음, 어지러움, 흥분, 경련, 발진, 아나필락시스 반응, 태반감돈, 발한, 복통, 쇽 등
-금기 : 임부, 분만중, 자간, 분만유도, 아두 만출전, 고혈압, 임신 중독증, 본제 또는 맥각알칼로이드 과민증자, 폐색성 혈관질환 또는 그 기왕력자, 중증 전염상태, 패혈증
-투여되는 이유 : 분만 후 자궁이완으로 인한 출혈 방지를 위해
5. 진단적 검사결과
1)whole blood
검사종류
검사결과
단위
참고치
임상적 의미
WBC
13.6↑
3.5~11.0
염증이나 감염, 백혈병, 알러지
RBC
3.32 ↓
3.8~5.2
조혈장애, 과다한 혈액세포의 파괴, 혈액소실, 만성질환, 체액의 증가, 일부 약물
Platelet
141
140~440
혈액 응고와 관여. 수치가 저하되면 출혈이 쉽게 됨
Hgb
9.8 ↓
12.0~16.0
적혈구 수와 비례, 빈혈, 산소교환 장애
Hematocrit
30 ↓
36~46
적혈구 수와 비례
[05.01.04]
검사종류
검사결과
단위
참고치
임상적 의미
WBC
12.3↑
3.5~11.0
염증이나 감염, 백혈병, 알러지
RBC
2.96 ↓
3.8~5.2
조혈장애, 과다한 혈액세포의 파괴, 혈액소실, 만성질환, 체액의 증가, 일부 약물
Platelet
156
140~440
혈액 응고와 관여. 수치가 저하되면 출혈이 쉽게 됨
Hgb
8.7 ↓
12.0~16.0
적혈구 수와 비례, 빈혈, 산소교환 장애
Hematocrit
26.7 ↓
36~46
적혈구 수와 비례
[05.01.06]
검사종류
검사결과
단위
참고치
임상적 의미
WBC
10.5↑
3.5~11.0
염증이나 감염, 백혈병, 알러지
RBC
3.41 ↓
3.8~5.2
조혈장애, 과다한 혈액세포의 파괴, 혈액소실, 만성질환, 체액의 증가, 일부 약물
Platelet
141
140~440
혈액 응고와 관여. 수치가 저하되면 출혈이 쉽게 됨
Hgb
10.6 ↓
12.0~16.0
적혈구 수와 비례, 빈혈, 산소교환 장애
Hematocrit
31.2 ↓
36~46
적혈구 수와 비례
[05.01.08]
Ⅲ.결론
이번 실습은 분만실이어서 분만에 관해서만 사전에 학습하고 갔는데 의외로 소아과 병동이 합쳐져서 당황했다. 그리고 자연분만을 볼 수 없어서 무척이나 아쉬웠지만 이제까지 실습 중에서 흔히 접할 수 없었던 특수 병동이라서 그런지 끝나가는 무렵 많은 걸 느끼고 배울 수 있었던 좋은 실습이었던 것 같다. 이번 실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었던 것은
첫째, 소아과 환자인 경우 아직 자기 의사 결정에 대해서 미흡하기 때문에 부모와 같이 입원하고 부모에게 사정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소아환자인 경우 나이에 따른 발달과업이 있기 때문에 발달과업에 따른 care를 해줘야 할 것 같다. 그리고 그 발달과업에 대한 보호자 교육도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대 병원은 너무 바빠서 그렇게까지 챙기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너무 아쉬웠다.
둘째, 요새는 대체로 맞벌이가 많아서 낮에는 주로 할머니가 계셨다. 나이가 드신데다 거동이 불편한 분도 계시고 이런 분들은 또 신세대 육아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갖고 계셨다. 이런 분들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셋째, 어느 부모든 자기 자녀가 아프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고 걱정을 많이 한다. 실습을 하면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모습이었다. 그런 부모들은 자녀들을 위해서 간호사나 의사에게 잘 치료해달라고 한없이 약해지기 마련이다. 그런 부모들을 위해 자세한 설명과 친절하고 성실한 태도를 갖을 필요성을 느꼈다.
넷째. 산부인과 병동은 내가 남자라서 접근하기가 아주 어려웠다. 대상자분들도 간호사도 산과로 입원한 분이나 부인과 질환을 갖고 입원한 분이나 사정하기도 학습하기도 너무 어려웠던 것 같다. 앞으로 그런 어색함을 이기고 좀 더 부담감 없이 접근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해 봐야 할 것 같다. (아직 답이 안나옴..ㅜㅡㅜ)
다섯째, 간호사는 언제어디서든 환자나 보호자가 궁금한 것을 물어볼 때 대답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보호자가 갑자기 이건 왜 그런건가요? 하고 물어보면 당황해서 잘 대답을 해주지 못했고 내가 모르는게 너무나 많았다. 앞으로 병리에 대해서 좀 더 학습하고 그에 대해서 친절하고 다정하게 대답해 주도록 해야겠다.
이번에 소아과 병동, 산부인과 병동을 실습하면서 어려웠던 점도 많았다. 하지만 이번 실습은 나에게 간호사는 실력도 중요하지만 간호사의 태도에 대해 다시금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아주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참 많은 것을 얻고 느끼는 이번 실습은 나에게 아주 보람찬 실습이었던 것 같다.
Ⅳ, 참고문헌
여성 건강 간호학 Ⅱ. 수문사. 최연순 외. (1999)
http://www.kimsonline.co.kr/
추천자료
간호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폐렴(뉴모니아), pneumonia
lung cancer case study 폐암케이스
지역사회(case)케이스 컨퍼
응급실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SAH(지주막하 출혈), 복부팽만, 뇌졸중, 충수돌...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뇌졸중 (Stroke.)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신생아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dy - 폐렴(pneumonia)
제왕절개 C-Sec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서비스경영 케이스] Case : 스타벅스 Starbucks
[서비스경영 케이스] Case : 100엔 스시집
자궁근종 케이스 myoma case study [모성간호실습]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AKI, colitis, HTN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Alcohol Dependence 알코올 의존증, 알코올 중독 ...
파킨슨 병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Parkinson dise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