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들어가면서
<본론>
1. 민속극이란 무엇인가?
2. 가면극이란?
3. 가면극의 계통과 분포
1) 본대산놀이 계통 가면극
2) 마을굿 계통 가면극
3) 가면극의 분포
3. 가면극의 역사적 전개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5. 가면극 대사와 연극미학
6. 가면극의 주제와 사회의식
7. 가면극의 현대적 수용
<결론> - 마치면서
<본론>
1. 민속극이란 무엇인가?
2. 가면극이란?
3. 가면극의 계통과 분포
1) 본대산놀이 계통 가면극
2) 마을굿 계통 가면극
3) 가면극의 분포
3. 가면극의 역사적 전개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5. 가면극 대사와 연극미학
6. 가면극의 주제와 사회의식
7. 가면극의 현대적 수용
<결론> - 마치면서
본문내용
. 즉 옴니버스 스타일인데 이런 극적 구성이 한국 가면극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마을굿 계통 가면극
한국의 마을굿은 기본적으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는 종교적 성격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는 풍요제의의 성격을 겸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마을굿 계통 가면극은 대부분 농촌 지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마을굿의 일종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제1과장 주지춤, 제2과장 백정놀이, 제3과장 할미놀이, 제4과장 파계승놀이, 제 5과장 양반 선비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하회별신굿에서는 서낭당에서 강신한 후에 하산한다. 하산과정에서 베풀어지는 각시의 무동춤은 신성현시(神聖顯示) 신성을 나타내어보임
를 연출하는 본보기이다. 하회의 서낭신은 이 마을에 시집와 열다섯 살 때 남편과 사별하고 이곳의 서낭신이 되었다고 전한다. 시집온 지 며칠 안되어 남편을 잃고 쓸쓸하게 살다간, 한이 많은 각시신이다. 하회 사람들은 이 여신이 마을을 잘 지켜주기를 바라며 또 그렇게 해 왔다고 믿고 있다. 본 가면극에 앞서 서낭신인 각시의 가면을 쓴 놀이꾼이 무동을 타고 수시로 걸립을 했다. 서낭신인 각시의 등장은 이 가면극이 각시를 중심으로 각시에 의해서 주도되는 어떤 근원성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면서, 이 가면극과 마을굿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
강릉관노가면극은 제1과장 장자마리춤, 제2과장 양반광대 소매각시춤, 제3과장 시시딱딱이춤, 제4과장 소매각시 자살과 소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관노가면극은 한국의 가면극 가운데 유일하게 묵극(劇) 무언극
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지방의 가면극은 각 과장의 내용이 서로 독립적인 모습을 보이는 데 반해, 각 과장이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은 연희 내용과 등장 인물들이 다른 지방의 가면극과 전혀 다르다. 그것은 이 가면극들이 마을굿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3) 가면극의 분포서울 경기의 산대놀이
산대놀이는 서울 및 서울 인근의 경기도에서 전승되던 가면극이다. 본산대놀이가 있었다고는 하나 전해지지 않고, 본산대놀이에서 배워온 양주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댄로이가 현재 전승되고 있다. 산대놀이의 본거지는 애오개, 사직골 등이었지만, 여러 지방의 요청에 응해 순회공연했었고, 그 놀이꾼들은궁중나례나 중국사신 영접시에 동원되던 전문적 놀이꾼이었다.
황해도의 탈춤
황해도 일대의 가면극을 해서(海西)탈춤이라고 부른다. 해서탈춤은 가면, 의상, 춤사위, 대사의 유형으로 보아, 봉산탈춤형과 해주탈춤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경상남도의 야류와 오광대
경남에서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동쪽 지역에서 전승되어온 가면극을 야류(野遊)라고 부르고, 서쪽 지역에서 전승되어온 가면극을 오광대(五廣大)라고 부른다.
경상북도의하회별신굿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경상북도 안동군 풍천면 하회리에서 전승되어온 가면극으로서, 마을굿의 일종인 별신굿을 거행할 때 놀았다
함경북도의 북청사자놀음
극적인 요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사자가 방울소리를 울리면서 가가호호를 방문해 집안 구석구석의 잡귀를
2) 마을굿 계통 가면극
한국의 마을굿은 기본적으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는 종교적 성격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는 풍요제의의 성격을 겸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마을굿 계통 가면극은 대부분 농촌 지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마을굿의 일종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제1과장 주지춤, 제2과장 백정놀이, 제3과장 할미놀이, 제4과장 파계승놀이, 제 5과장 양반 선비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하회별신굿에서는 서낭당에서 강신한 후에 하산한다. 하산과정에서 베풀어지는 각시의 무동춤은 신성현시(神聖顯示) 신성을 나타내어보임
를 연출하는 본보기이다. 하회의 서낭신은 이 마을에 시집와 열다섯 살 때 남편과 사별하고 이곳의 서낭신이 되었다고 전한다. 시집온 지 며칠 안되어 남편을 잃고 쓸쓸하게 살다간, 한이 많은 각시신이다. 하회 사람들은 이 여신이 마을을 잘 지켜주기를 바라며 또 그렇게 해 왔다고 믿고 있다. 본 가면극에 앞서 서낭신인 각시의 가면을 쓴 놀이꾼이 무동을 타고 수시로 걸립을 했다. 서낭신인 각시의 등장은 이 가면극이 각시를 중심으로 각시에 의해서 주도되는 어떤 근원성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면서, 이 가면극과 마을굿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
강릉관노가면극은 제1과장 장자마리춤, 제2과장 양반광대 소매각시춤, 제3과장 시시딱딱이춤, 제4과장 소매각시 자살과 소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관노가면극은 한국의 가면극 가운데 유일하게 묵극(劇) 무언극
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지방의 가면극은 각 과장의 내용이 서로 독립적인 모습을 보이는 데 반해, 각 과장이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은 연희 내용과 등장 인물들이 다른 지방의 가면극과 전혀 다르다. 그것은 이 가면극들이 마을굿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3) 가면극의 분포서울 경기의 산대놀이
산대놀이는 서울 및 서울 인근의 경기도에서 전승되던 가면극이다. 본산대놀이가 있었다고는 하나 전해지지 않고, 본산대놀이에서 배워온 양주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댄로이가 현재 전승되고 있다. 산대놀이의 본거지는 애오개, 사직골 등이었지만, 여러 지방의 요청에 응해 순회공연했었고, 그 놀이꾼들은궁중나례나 중국사신 영접시에 동원되던 전문적 놀이꾼이었다.
황해도의 탈춤
황해도 일대의 가면극을 해서(海西)탈춤이라고 부른다. 해서탈춤은 가면, 의상, 춤사위, 대사의 유형으로 보아, 봉산탈춤형과 해주탈춤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경상남도의 야류와 오광대
경남에서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동쪽 지역에서 전승되어온 가면극을 야류(野遊)라고 부르고, 서쪽 지역에서 전승되어온 가면극을 오광대(五廣大)라고 부른다.
경상북도의하회별신굿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경상북도 안동군 풍천면 하회리에서 전승되어온 가면극으로서, 마을굿의 일종인 별신굿을 거행할 때 놀았다
함경북도의 북청사자놀음
극적인 요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사자가 방울소리를 울리면서 가가호호를 방문해 집안 구석구석의 잡귀를
추천자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교
구비설화에 담긴 `효`관념의 연구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핵심 정리
민속극을 통한 교육에 대한 고찰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교재 요약정리] 판소리, 무가,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전승문학을 재화하는데 있어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논하시오
시가(시가문학)와 전환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개화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신라시대시가...
[민속][민속문학][민속예술][전통예술][민속축제][민속놀이][전통놀이][민속화][민속극][민속...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
[고전문학개론] 민속극 - 봉산탈출 꼭두각시놀음과 그의 실용화 방안에 대하여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