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방언의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기방언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경기방언의 특성
1) 음운론적 특성
2) 문법론적 특성
3) 어휘의 의미적 특성

2.표준어에 상대되는 경기도의 지역별 방언형
-어휘와 문장 수록

본문내용

순모음의 자질이 상실되는 것에서 기인했다. 이는 또한 모음체계상 /o/와 / /가 원순성에 의한 대립을 이루고 있는 짝임을 전제로 한다.
t-구개음화 또한 경기도 방언에서 잘 나타나는 음운현상이다. 가령 \'밭이>바치(田)\', \'맏이>마지(맏아들)\'처럼 \'ㅌ\'이 \'ㅊ\'로, \'ㄷ\'이 \'ㅈ\'으로 바뀌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는 남부방언에서 먼저 일어나 평안방언을 제외한 전국으로 퍼진 현상이기도 하다. 반면 k-구개음화 현상은 충청도와 인접한 경기남부 일부 지역을 제외한 지역과 서울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숭년, 성(兄), 심(力)\'과 같이 h-구개음화를 경험한 예는 있다.
2) 문법론적 특성
경기 방언의 문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조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주격조사로 \'-이\'와 \'-가\'가 폐음절과 개음절 아래에서 각각 실현되고, 특이하게 \'누+이가→뉘가\', \'나(我)+이가→내가\'같은 경우에만 \'-이가\'가 실현된다는 점이 발견된다.
또한 다른 방언과 구별되는 것으로 존대법을 들 수 있다. 이 방언에서 주체존대법은 선어말어미에 의해, 청자존대법은 어말어미에 의해 이루어지며, 객체존대법은 어휘에 의해 결정된다. 객체존대법을 결정하는 이 방언에는 다른 방언과 구별되는 존대 말투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요\'의 사용이다. 거의 모든 방언에서도 이 \'-요\'나 그에 해당하는 말을 쓰고 있다. 이 \'-요\' 말투는 오늘날의 경기방언에서 가장 두루 쓰이는 존대말이기도 하다. 이 방언에서는 \'-합디다\' 형식은 웃어른한테는 쓰지 못하고 \'허우\'하는 사이에서 쓸 수 있다. 그런데 경기도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는 이 말을 웃어른한테 자연스럽게 쓰기도 한다.
경기방언에서는 서술어가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상태동사), 부정문에서 \'아니(안)\'를 상태동사 뒤에 놓는 것이 상례다. 즉 ‘날씨가 안 좋다’ 대신에 \'날씨가 좋지 않다\'로, ‘걸음이 안 빠르다’라고 쓰이지 않고 \'걸음이 빠르지는 않다\'라고 쓰인다는 것이다. 이는 서술어가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 \'먹지 않는다.\' 와 \'안 먹는다\' 두 가지가 함께 쓰이는 것과는 다르다. 즉, 상태동사에서만 부정어를 뒤로 돌린다는 것이다. 그런데 요즘 젊은 세대들은 ‘좋지 않다’라고 하지 않고 \'안 좋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즉 상태동사인 경우에도 서술어 앞에 부정사를 놓는 표현을 쓴다는 것이다. 이는 남부방언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먹어 못 봤음매\', \'앙이 빠지오\'와 같은 함경방언의 부정형식은 이 방언에서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니, 이 지역에서는 \'먹어 보지 못했오\', \'빠지지 않아요\'가 쓰일 뿐이다.
또한 현대 경기도 방언에서는 접속어미 가운데 \'-고\', \'-거든\', \'-(으)니까\'를 \'-구\', \'-거등\', \'-(으)니깐\' 따위로 쓰는 특징을 보인다. 그런데 일부 접속어미가 문의 종결어미로 사용되는 예들이 많다. \'비가 오니까 가지 못하겠어\'에서처럼 이유나 원인의 의미 기능을 보이는 \'-(으)니까\'에 \'-드루\'가 덧붙어 \'-(으)니깐드루\'가 되는 것이다.
\'비가 와서 가지 못 하겠어\'에서처럼 \'-(아)서\'가 어떤 이유나 원인을 나타낼 때에는 거기에 \'-ㄹ라무늬\'가 덧붙어 \'-(아)설라무늬\'가 된다. 즉 ‘비가 와설라무늬 가지 못하겠어’라고 쓰인다는 말이다. 한편, 남부방언에서 사용되는 \'-(아)가지고\'를 많이 쓰는 젊은층에서는 ‘비가 와가지고 가지 못 하겠어’ 정도로 표현하곤 한다.
3) 어휘의 의미적 특성
서울과 경기도 안에서 말의 지역적인 차이가 어떻게 경계를 이루는지 지금으로서는 분명히 말할 수가 없다. 다만 대체적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그 남쪽 지역과 그 북쪽 지역이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서해의 섬들은 또 다른 복잡성을 보인다는 정도로 그 경계를 이야기할 수 있다.
예를들면 \'게\'의 방언형으로 서울 북쪽에서는 \'궤\', 남쪽에서는 \'그이\'가 실현되며, \'새우\'(민물새우)는 서울과 북쪽 지역에서 쓰고 남쪽에서는 \'새갱이\'라고 한다. 그러나 안성지역에서는 남부방언 계통의 \'새뱅이\'가 실현된다. 그리고 서울과 그 북쪽 경기도 지역에서는 표준말인 \'가위\'나 \'가우\'를 쓰나, 그 남쪽에서는 \'가새\'가 실현된다. 경기도 동부지역인 포천군가평군양평군여주군 가운데 대체로 양평말과 여주말은 충청방언의 영향을 주고 받는다.
광주군 중부면의 남한산성말은 경기방언과 다를 바가 없지만 특이성을 좀 띤다. \'이제 오니?\'를 \'이제 오네?\'라고 하고 \'데리러\'와 \'차례차례\'를 \'데비러\', \'채비채비\'라고 한다. 이 남한산성 지역은 궁중과 오랫동안 관계를 맺었던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어 궁중말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경기도 서해 섬사람들이 쓰는 말에는 육지에서 쓰는 말과는 다른 표현들이 많이 있다. 이 사람들이 쓰는 \'도매(도마)\', \'소래(소라)\', \'바대(바다)\'와 같은 어휘는 우리나라 해안 지대의 말과 공통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그들 중에서도 인천 앞바다의 남쪽 섬에서 사는 이들은 충청남도와 비슷한 어휘를 많이 사용한다. 강화도 말은 개성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 서북부지역과 그에 연결된 황해도의 말과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 가장 특징적인 예는 \'있시다(있습니다)\', \'있시꺄(있습니까)\', \'하꺄(할까요)\', \'일 오시겨(이리 오세요)\', \'그랬시다(그랬습니다)\', \'그랬시니꺄(그랬습니까)\', \'그랬드랬나(그랬었나)\' 따위이다.
옹진군의 백령도 방언은 오히려 황해도 방언에 가까울 듯하다. 경기도 육지에서는 거의 표준말인 \'우박\'을 쓰는데 백령도에서는 황해도의 방언형인 \'무리\'를 쓴다. 그러나 연평도에서는 \'우박\'이라고 한다. 백령도는 국토가 갈라져 지금은 경기도 옹진군에 속해 있으나, 과거에는 황해도 문화현에 속했었다.
지금까지 예시들로 미루어 볼 때, 경기도 방언은 황해도, 충청도 방언과 영향을 주고 받는 점이지대의 특성을 띄기도 한다. 그 두 지역과의 인접성, 왕래의 용이성이 이런 사실에 한 몫 한 것으로 보여 진다.
2.표준어에 상대되는 경기도의 지역별 방언형
-어휘와 문장 200여개 수록
1) 평택군 현덕면
(1) 고유어와 한자어의 품사별 방언
① 고유어
*명사*
개구쟁이(개구장이) 괴기(고기) 구뎅이(구덩이) 밤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3.28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