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한류란 무엇인가?
2. 한류의 형성배경
3. 외국의 한류 현황
1) 중국
2) 일본
4. 반한감정(혐한류(嫌韓流))의 형성
5. 문화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6. 한류의 현황과 지원방안
7. 문화 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8. 한류의 지속화 방안
2. 한류의 형성배경
3. 외국의 한류 현황
1) 중국
2) 일본
4. 반한감정(혐한류(嫌韓流))의 형성
5. 문화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6. 한류의 현황과 지원방안
7. 문화 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8. 한류의 지속화 방안
본문내용
위, 김남주를 모델로 기용한 LG 생활건강의 드봉 화장품은 베트남에서 세계적 화장품인 랑콤 을 누르고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는 사실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2008년 북경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중국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마케팅 방법에 있어서도 한류를 활용한 문화마케팅 전략은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한류 스타 연예인들과 직접 만나고 활동하는 한류여행 관광상품도 점차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지역의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류 가수 콘서트, 영화시사회,팬 서비스, 방송국 견학 등의 이벤트를 관광상품으로 개발한다면 관광상품으로서 뿐 만 아니라 한국의 대중문화산업을 외국에 홍보하는 훌륭한 수단이 될 것이다.
(4) <영상물수출지원센터>의 적극적 활용
방송영상물의 경우, 수출용 프로그램 재제작 및 해외 마케팅을 대행하는 국제방송교류재단의 <영상물수출지원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출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장려되어야 한다. 한류열풍을 수출시장 확대의 계기로 삼기 위해서는 해외시장 개척을 무시한 제작풍토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외국의 프로그램바이어를 대상으로 한조사 결과 사극보다 화려한 트렌디드라마나 자연다큐를 선호하며 더빙이 가능하도록 대사 없이 효과음만 따로 녹음한 M&E트랙 및 프로그램 앞뒤의 한글자막(제목,배우이름)이 없는 크린 비디오(Clean Video)를 요구한다. 이러한 점을 십분 수용하는 것이 프로그램 해외수출의 필수조건이다.
(5) 해외 문화원 활용
현재 일본, 미국은 뉴욕과 LA, 프랑스 등 4곳에 해외 주재 문화원이 있다. 문화산업과 문화예술의 해외진출을 위한 체계적인 현지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이를 활용하고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한국의 전통문화만을 소개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중국의 문화와 특성, 시스템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 지원을 할 수 있다.
(6) 견본시 및 해외투자유치 설명회의 활성화
세계적인 문화콘텐츠 이벤트를 다양하게 개최하는 것은 이를 통하여 국내 문화상품의 세계시장 진출을 시도하며 우리 문화산업의 눈높이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제 규모의 견본시나 해외투자유치 설명회, 비즈니스포럼 등을 효율적으로 개최하여 국내외 유수 콘텐츠업체, 투자자, 개인 등을 아우르는 콘텐츠배급기지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회들의 제공으로 외국유수 기업과의 문화콘텐츠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촉진하는 성과도 올릴 수 있다.
4) 자 본 및 세 제 지 원
(1) 합작 투자 및 공동 제작에 대한 세제 지원
드라마나 영화의 공동제작은 투자유치를 통해 재정적 위험을 분산시키고, 고품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국의 진입을 쉽게 할 수 있다. 현재 드라마의 경우 중국 후난 TV와의 아파트 를 비롯하여 일본 등에서 드라마 공동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동제작으로 방송프로그램의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 영화의 경우, 공동제작은 제작진 구성, 공동투자자금확보, 판권 분할 및 공유 등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획단계에서부터 해당국가에서의 투자와 배급망을 확보하고 공동으로 기획을 진행하며, 투자국에서 동시에 개봉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서 자본금 회수의 리스크(Risk)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해외 업자와의 공동제작을 할 경우 투자전문조합에서 우선적으로 자금을 지원해 주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하나로 펀드 조성시 총 자본금의 30%∼40%를 공동제작 및 이미 해외 배급망을 확보한 프로젝트에 한해서 지원가능하도록 한정을 정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 가능하도록 부산이 영화제작의 중심지가 되고 있는 것과도 흡사하다고 볼 수 있음.
(2) 해외진출 전문 펀드의 조성
현재 한국대중문화의 발전가능성은 최소한 중화권시장과 일본시장에서 인정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이들 나라에서 한국영화를 비롯한 게임, 드라마, 공연, 뮤지컬이 히트를 치면서 국민적 여론의 대상이 된 것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들 나라에 진출하는 전문적인 펀드를 만들어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방안도 검토 가능할 것이다.
(3) 문화상품 수출시 세제혜택
5) 인 력 부 문
(1) 자막번역 전문가 육성 - 내용 전달력의 제고
뮤지컬 지하철 1호선 의 경우, 도쿄 공연에서 관객들이 이구동성으로 칭찬한 사항 중의 하나가 자막이 훌륭하다는 것이었다. 쉬우면서도 본질을 꿰뚫는 자막 덕분에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과를 내는데는 한국에서 공부하였고, 이미 영화 쉬리 , 박하사탕 , 친구 등의 일본어 자막작업을 통해 이 분야에서 검증을 받은 일본인 여성에 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 1995년 태백산맥 이 베를린 영화제 본선에 올라갔지만 내용을 따라가기에는 영어자막이 너무 부실해서 장시간 자리를 지키기 힘들었다는 현지의 평이나 1997년 뮤지컬 명성황후 의 뉴욕공연 때도 미흡한 영어자막 때문에 작품을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고 한다. 실험극도 아니고 명성황후 처럼 스타일 못지 않게 드라마의 내용이 중요한 공연이 해외에 나갈 경우 제대로 된 자막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2) 전문 마케터의 육성
정부에서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주요 문화산업별로 아시아, 미국, 유럽 등 권역별 문화콘텐츠 전문 마케터를 연차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문화콘텐츠 전문 마케터는 브랜드 이미지관리, 현지정보 종합수집 및 분석, 마케팅기법 개발, 해외 네트워크화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문화콘텐츠 전문인력으로 대학, 유관기관 등 마케팅 전문교육기관과 제휴하여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지역별, 산업별, 전문에이전트 양성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유통측면에서는 무엇보다도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수출을
총괄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전문적인 프로그램 배급회사를 양성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세계적인 광고회사 덴츠 는 영세 프로덕션사를 대상으로 수출용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판매를 도와줌으로써 일본 프로그램의 해외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 전문가뱅크 시스템 구축 -
(4) <영상물수출지원센터>의 적극적 활용
방송영상물의 경우, 수출용 프로그램 재제작 및 해외 마케팅을 대행하는 국제방송교류재단의 <영상물수출지원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출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장려되어야 한다. 한류열풍을 수출시장 확대의 계기로 삼기 위해서는 해외시장 개척을 무시한 제작풍토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외국의 프로그램바이어를 대상으로 한조사 결과 사극보다 화려한 트렌디드라마나 자연다큐를 선호하며 더빙이 가능하도록 대사 없이 효과음만 따로 녹음한 M&E트랙 및 프로그램 앞뒤의 한글자막(제목,배우이름)이 없는 크린 비디오(Clean Video)를 요구한다. 이러한 점을 십분 수용하는 것이 프로그램 해외수출의 필수조건이다.
(5) 해외 문화원 활용
현재 일본, 미국은 뉴욕과 LA, 프랑스 등 4곳에 해외 주재 문화원이 있다. 문화산업과 문화예술의 해외진출을 위한 체계적인 현지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이를 활용하고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한국의 전통문화만을 소개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중국의 문화와 특성, 시스템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 지원을 할 수 있다.
(6) 견본시 및 해외투자유치 설명회의 활성화
세계적인 문화콘텐츠 이벤트를 다양하게 개최하는 것은 이를 통하여 국내 문화상품의 세계시장 진출을 시도하며 우리 문화산업의 눈높이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제 규모의 견본시나 해외투자유치 설명회, 비즈니스포럼 등을 효율적으로 개최하여 국내외 유수 콘텐츠업체, 투자자, 개인 등을 아우르는 콘텐츠배급기지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회들의 제공으로 외국유수 기업과의 문화콘텐츠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촉진하는 성과도 올릴 수 있다.
4) 자 본 및 세 제 지 원
(1) 합작 투자 및 공동 제작에 대한 세제 지원
드라마나 영화의 공동제작은 투자유치를 통해 재정적 위험을 분산시키고, 고품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국의 진입을 쉽게 할 수 있다. 현재 드라마의 경우 중국 후난 TV와의 아파트 를 비롯하여 일본 등에서 드라마 공동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동제작으로 방송프로그램의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 영화의 경우, 공동제작은 제작진 구성, 공동투자자금확보, 판권 분할 및 공유 등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획단계에서부터 해당국가에서의 투자와 배급망을 확보하고 공동으로 기획을 진행하며, 투자국에서 동시에 개봉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서 자본금 회수의 리스크(Risk)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해외 업자와의 공동제작을 할 경우 투자전문조합에서 우선적으로 자금을 지원해 주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하나로 펀드 조성시 총 자본금의 30%∼40%를 공동제작 및 이미 해외 배급망을 확보한 프로젝트에 한해서 지원가능하도록 한정을 정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 가능하도록 부산이 영화제작의 중심지가 되고 있는 것과도 흡사하다고 볼 수 있음.
(2) 해외진출 전문 펀드의 조성
현재 한국대중문화의 발전가능성은 최소한 중화권시장과 일본시장에서 인정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이들 나라에서 한국영화를 비롯한 게임, 드라마, 공연, 뮤지컬이 히트를 치면서 국민적 여론의 대상이 된 것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들 나라에 진출하는 전문적인 펀드를 만들어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방안도 검토 가능할 것이다.
(3) 문화상품 수출시 세제혜택
5) 인 력 부 문
(1) 자막번역 전문가 육성 - 내용 전달력의 제고
뮤지컬 지하철 1호선 의 경우, 도쿄 공연에서 관객들이 이구동성으로 칭찬한 사항 중의 하나가 자막이 훌륭하다는 것이었다. 쉬우면서도 본질을 꿰뚫는 자막 덕분에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과를 내는데는 한국에서 공부하였고, 이미 영화 쉬리 , 박하사탕 , 친구 등의 일본어 자막작업을 통해 이 분야에서 검증을 받은 일본인 여성에 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 1995년 태백산맥 이 베를린 영화제 본선에 올라갔지만 내용을 따라가기에는 영어자막이 너무 부실해서 장시간 자리를 지키기 힘들었다는 현지의 평이나 1997년 뮤지컬 명성황후 의 뉴욕공연 때도 미흡한 영어자막 때문에 작품을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고 한다. 실험극도 아니고 명성황후 처럼 스타일 못지 않게 드라마의 내용이 중요한 공연이 해외에 나갈 경우 제대로 된 자막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2) 전문 마케터의 육성
정부에서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주요 문화산업별로 아시아, 미국, 유럽 등 권역별 문화콘텐츠 전문 마케터를 연차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문화콘텐츠 전문 마케터는 브랜드 이미지관리, 현지정보 종합수집 및 분석, 마케팅기법 개발, 해외 네트워크화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문화콘텐츠 전문인력으로 대학, 유관기관 등 마케팅 전문교육기관과 제휴하여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지역별, 산업별, 전문에이전트 양성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유통측면에서는 무엇보다도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수출을
총괄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전문적인 프로그램 배급회사를 양성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세계적인 광고회사 덴츠 는 영세 프로덕션사를 대상으로 수출용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판매를 도와줌으로써 일본 프로그램의 해외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 전문가뱅크 시스템 구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