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 1p
1. 연구목적 및 연구사 - 1p
2. 연구 자료 및 방법 - 2p
Ⅱ. 本 論 - 3p
1. 제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과목의 위상과 성격 고찰 - 3p
2. 제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과목의 목표와 내용체계 고찰 - 5p
3. 문학 교과서 구성 체제 분석 - 8p
3.1.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편찬 지침 분석 - 8p
3.2. 11종 문학 교과서별 대단원 구성 체제 분석 - 10p
4. 문학 교과서 작품 수록 양상 분석 - 21p
Ⅲ. 結 論 - 22p
Ⅳ. 參 考 文 獻 - 24p
1. 기본자료 - 24p
2. 논저 및 논문 - 24p
1. 연구목적 및 연구사 - 1p
2. 연구 자료 및 방법 - 2p
Ⅱ. 本 論 - 3p
1. 제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과목의 위상과 성격 고찰 - 3p
2. 제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과목의 목표와 내용체계 고찰 - 5p
3. 문학 교과서 구성 체제 분석 - 8p
3.1.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편찬 지침 분석 - 8p
3.2. 11종 문학 교과서별 대단원 구성 체제 분석 - 10p
4. 문학 교과서 작품 수록 양상 분석 - 21p
Ⅲ. 結 論 - 22p
Ⅳ. 參 考 文 獻 - 24p
1. 기본자료 - 24p
2. 논저 및 논문 - 24p
본문내용
대 수필ㆍ평론(비평)에서 두드러지게 수록 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작품을 다양하게 수록한 점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지만,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구성비가 6차에 비해 너무 차이가 심하다. 또한 고전문학의 경우 교과서들에 중복 수록된 상황이 특히 심하다. 이는 당시의 작가가 한정되어 있고 작품 또한 다양하지 못한 결과로 현대문학보다는 고정적이고 한정적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문학가들은 우수한 고전문학을 발굴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고, 교과서 집필자들도 민요 등의 구비문학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신중하게 선정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다양한 갈래의 작품을 수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교과서마다 고대가요, 경기체가, 악장, 언해, 개화가사, 가전체, 신소설, 방송극본 등을 아예 수록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보인다.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갈래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려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다.
Ⅲ. 結 論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실천적으로 구현하는 수단 자료로 활용될 때 가치가 있는 것이지만 아직까지도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들의 수업이 전적으로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교사나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교과서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본고는 7차 11종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구성체제, 작품 수록 양상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교육 과정을 실천적으로 구현하는 수단자료로서의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에게 얼마나 유용한가를 살피었고, 특히 대단원 구성 체제를 중점으로 하여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우선 제 7차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문학’ 과목의 위상, 성격, 목표, 내용체계 등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11종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세부 구성 체제를 비교ㆍ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편찬지침을 살핀 후 11종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구성 체제를 교과서별로 살피는 순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학 교과서 갈래별 작품 수록 양상을 분석하여 작품 수록에 있어서의 문제점이나 중요하게 다루어진 갈래 등을 6차와 비교하여 고찰해 보았다.
효율적인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구성체제는 ‘단원의 길잡이-대단원 학습목표-준비학습-중, 소단원 학습목표-본문(이론 및 작품)-작품에 대한 설명, 보충, 참고자료-자기진단-학습활동-단원의 마무리-더 읽을 거리’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맞는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는 창작 활동과, 토의와 토론 활동, 그리고 단답형 문제가 아닌 생각을 요구하는 서술형 문제 등을 많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수준별 교육을 지향하는 7차 교육방향에 맞추어 ‘자기진단’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이 따분하지 않도록 삽화나 그림, 참고자료 등을 많이 집어넣는 것도 학습에 효율적인 교과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일부 문학 교과서에는 준비학습이 빠져 있거나, 학습목표, 자기평가를 할 수 있는 부분이 빠져 있는 등 구성에 있어서 체계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작품 수록 양상의 문제점은 고전과 현대문학의 비율이 너무 차이가 심하다는 것과 모든 교과서가 다양한 갈래를 다 실어놓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6차 보다 외국 문학작품을 다양하게 실어야 했음에도, 작품 수가 더 줄어들었다.
이렇게 아직 미흡한 점이 보이긴 하지만, 7차 문학 교과서는 자율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주입식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탐구 학습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가 심도 있는 논의까지 가지 못했지만, 그것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이러한 문학 교과서 자체의 분석과 아울러 교사 및 학습자의 요구와 반영 등에 관한 실제적인 교수ㆍ학습 현장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Ⅳ. 參 考 文 獻
1. 기본자료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1998.
교육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 교육부, 2001.
교육인적자원부,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2종 도서 검정기준>>, 2001.
강황구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상문연구사, 2003.
구인환 외 5명, <<고등학교 문학>>, (주) 교학사, 2003.
김병국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한국교육미디어, 2003.
김윤식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도서출판 디딤돌, 2003.
김창원 외 3명, <<고등학교 문학>>, (주) 민중서림, 2003.
박경신 외 3명, <<고등학교 문학>>, (주) 금성교과서, 2003.
우한용 외 5명, <<고등학교 문학>>, (주) 두산, 2003.
조남현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중앙교육, 2003.
한계전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블랙박스, 2003.
한철우 외 7명, <<고등학교 문학>>, (주) 문원각, 2003.
홍신선 외 2명, <<고등학교 문학>>, (주) 천재교육, 2003.
2. 논저 및 논문
고은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18종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철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체재 및 내용 연구 :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김해영, <제 6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유일환,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 5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대상으로>,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윤환준,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 및 ‘문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학습 지도 방안>,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이미선, <第 6次 高等學校 文學 敎科書 分析 硏究>,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최영규, <문학 교과서 분석과 교재개발에 관한 연구>, 강릉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이처럼 작품을 다양하게 수록한 점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지만,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구성비가 6차에 비해 너무 차이가 심하다. 또한 고전문학의 경우 교과서들에 중복 수록된 상황이 특히 심하다. 이는 당시의 작가가 한정되어 있고 작품 또한 다양하지 못한 결과로 현대문학보다는 고정적이고 한정적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문학가들은 우수한 고전문학을 발굴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고, 교과서 집필자들도 민요 등의 구비문학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신중하게 선정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다양한 갈래의 작품을 수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교과서마다 고대가요, 경기체가, 악장, 언해, 개화가사, 가전체, 신소설, 방송극본 등을 아예 수록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보인다.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갈래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려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다.
Ⅲ. 結 論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실천적으로 구현하는 수단 자료로 활용될 때 가치가 있는 것이지만 아직까지도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들의 수업이 전적으로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교사나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교과서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본고는 7차 11종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구성체제, 작품 수록 양상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교육 과정을 실천적으로 구현하는 수단자료로서의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에게 얼마나 유용한가를 살피었고, 특히 대단원 구성 체제를 중점으로 하여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우선 제 7차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문학’ 과목의 위상, 성격, 목표, 내용체계 등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11종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세부 구성 체제를 비교ㆍ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편찬지침을 살핀 후 11종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구성 체제를 교과서별로 살피는 순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학 교과서 갈래별 작품 수록 양상을 분석하여 작품 수록에 있어서의 문제점이나 중요하게 다루어진 갈래 등을 6차와 비교하여 고찰해 보았다.
효율적인 문학 교과서의 대단원 구성체제는 ‘단원의 길잡이-대단원 학습목표-준비학습-중, 소단원 학습목표-본문(이론 및 작품)-작품에 대한 설명, 보충, 참고자료-자기진단-학습활동-단원의 마무리-더 읽을 거리’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맞는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는 창작 활동과, 토의와 토론 활동, 그리고 단답형 문제가 아닌 생각을 요구하는 서술형 문제 등을 많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수준별 교육을 지향하는 7차 교육방향에 맞추어 ‘자기진단’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이 따분하지 않도록 삽화나 그림, 참고자료 등을 많이 집어넣는 것도 학습에 효율적인 교과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일부 문학 교과서에는 준비학습이 빠져 있거나, 학습목표, 자기평가를 할 수 있는 부분이 빠져 있는 등 구성에 있어서 체계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작품 수록 양상의 문제점은 고전과 현대문학의 비율이 너무 차이가 심하다는 것과 모든 교과서가 다양한 갈래를 다 실어놓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6차 보다 외국 문학작품을 다양하게 실어야 했음에도, 작품 수가 더 줄어들었다.
이렇게 아직 미흡한 점이 보이긴 하지만, 7차 문학 교과서는 자율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주입식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탐구 학습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가 심도 있는 논의까지 가지 못했지만, 그것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이러한 문학 교과서 자체의 분석과 아울러 교사 및 학습자의 요구와 반영 등에 관한 실제적인 교수ㆍ학습 현장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Ⅳ. 參 考 文 獻
1. 기본자료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1998.
교육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 교육부, 2001.
교육인적자원부,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2종 도서 검정기준>>, 2001.
강황구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상문연구사, 2003.
구인환 외 5명, <<고등학교 문학>>, (주) 교학사, 2003.
김병국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한국교육미디어, 2003.
김윤식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도서출판 디딤돌, 2003.
김창원 외 3명, <<고등학교 문학>>, (주) 민중서림, 2003.
박경신 외 3명, <<고등학교 문학>>, (주) 금성교과서, 2003.
우한용 외 5명, <<고등학교 문학>>, (주) 두산, 2003.
조남현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중앙교육, 2003.
한계전 외 4명, <<고등학교 문학>>, (주) 블랙박스, 2003.
한철우 외 7명, <<고등학교 문학>>, (주) 문원각, 2003.
홍신선 외 2명, <<고등학교 문학>>, (주) 천재교육, 2003.
2. 논저 및 논문
고은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18종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철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체재 및 내용 연구 :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김해영, <제 6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유일환,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 5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대상으로>,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윤환준,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 및 ‘문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학습 지도 방안>,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이미선, <第 6次 高等學校 文學 敎科書 分析 硏究>,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최영규, <문학 교과서 분석과 교재개발에 관한 연구>, 강릉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키워드
추천자료
- 초등 국어과 수준별 학습을 위한 교과서 재구성 방안
- 중등 서양사 교과서 교육의 기본적인 특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고대,중세)
- 중등 서양사 교과서 교육의 기본적인 특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근,현대)
- 북한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대하여
- 최남선-海에게서 少年에게(해에게서 소년에게) 작품 분석과 수업 지도 방법
- 표준화법 관련 교과서 분석
- 학지광 소재 소성, 유암 등의 신시의 문학사적 의의
- 해냄에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
- 초등국어 국어 수업지도안 말하기 듣기 교과서 분석 및 수업설계 2학년 1학기 셋째마당(환경...
-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분석 4학년 1학기 [둘째마당 고운꿈 아름답게]
- 교과서 속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
- 운수 좋은 날을 통해 살펴본 문학교육에 대한 논의
- [유아문학] <한국아동문학의 역사와 발전> 구비문학 시대, 아동문화운동시대, 아동문학운동...
- [동화][동화와 하우프트만][동화와 동화 작가][동화와 소년운동]동화의 의미, 동화의 종합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