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의 사회과 개념학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에서의 사회과 개념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사회과 개념학습
1) 사회교육과 개념
2) 사회교과의 개념학습 모형
3)개념형성에 있어 사례제시의 효과

3. 초등학교 사회교육에서의 개념학습
1)학습자의 발달과 개념학습
2)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주요 개념분석
3)초등학교 사회과에서의 개념학습모형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또한 Schvanneveidt(1966: 649-654)가 개념학습에서 부정적 사례의 중요성을 증명한 이래 70년대에 들어오면서 개념학습에서 부정적 사례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 Markle and Tiemann(1970)은 적절한 개념학습을 위해선 다양한 비결정적 속성을 갖는 긍정적 사례들을 통해서 한 개념의 범주로 일반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긍정적 사례와 유사한 비결정적 속성을 갖는 부정적 사례들을 이용하여 범위간의 변별을 촉진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부정적 사례까지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긍정적 사례로 보는 ‘과대일반화’나 긍정적 사례를 그 개념의 범주에서 제외시키는 ‘과소일반화’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 그러나 부정적 사례는 반드시 긍정적 사례와 짝지어질 때만 개념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Klausmeier, Ghatala, and Frayer, 1974: 192-193). Tennyson, Woolley, and Merrill(1972: 144-152)도 비결정적 속성이 유사한 긍정적 사례와 부정적 사례가 함께 제시되거나 비결정적 속성이 크게 다른 두 개의 긍정적 사례가 함께 제시되는 방식이 효과적인 사례제시라고 밝히고 있다. 이 연구 역시 부정적 사례가 중요한 역할을 하나 그것은 긍정적 사례와 연결되어야 함을 밝히는 것이다.
개념학습에서 긍정적 사례와 부정적 사례의 역할에 대한 이런 논의에 대해 Tennyson and Park(1980)은 개념학습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개관하면서 부정적 사례 또한 긍정적 사례만큼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부정적 사례가 긍정적 사례와 함께 제시될 때 학습자들이 결정적 속성(또는 전형)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도와주며, 만일 부정적 사례가 없다면 학습자들은 가변적(비결정적) 속성을 결정적 속성으로 지각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사례제시에서 긍정적 사례만 주느냐, 긍정적 사례와 부정적 사례를 함께 주느냐에 대한 사례제시 내용의 효과는 개념의 복잡성이나 개념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긍정적 사례와 부정적 사례를 함께 제시해 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볼 수 있다.
3. 초등학교 사회교육에서의 개념학습
1) 학습자의 발달과 개념학습
최근들어 이러한 개념학습의 방법이 모든 학습자에게 동일하지 않다는 입장이 밝혀지면서 학습자의 발달이나 특징을 고려한 개념학습방법의 차별화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었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개념학습에 대한 효과가 달리 나타나는가하는 문제는 독립된 연구 변인으로 다루어 졌기 보다는 사실상 수업방법과 관련하여 상호작용효과의 변인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개념학습에서 학습효를 높이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변수로서 이야기되지만 아직 그 분명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것이 바로 학습자의 발달수준과 연령에 관한 것이다. 개념학습에 있어 발달수준을 고려하자는 논의는 크게 두 방향으로 연구되어졌는데, 하나는 개념학습의 발달단계를 주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따라 개념학습방법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념학습의 발달적 입장을 주장한 Klausmeier(1974)는 개념학습의 발달단계를 4단계로 구분하였다. 구체적 단계 - 명료화 단계 - 유목화 단계 - 형식적 단계가 그것이다. 그는 개념학습의 발달모형에 의거하여 학습자는 4단계의 체계적 수준을 거치게 되며 각 수준에 포함된 인지적 조작과 습득된 개념에 의하여 사고와 문제 해결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Tagatz(1967)는 12살 이전의 아이들은 긍정적인 사례와 부정적인 사례를 통해서 개념을 추론화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증명하여 초등학생 시기에는 개념학습을 위한 논리적 합리화의 능력이 약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논리적인 추론화를 요구하는 속성모형의 수업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을 하게 하였다.
발달수준에 따라 개념학습의 방법이 달라야 한다는 주장은 최근들어 Ward & Scott(1987)의 논의에 의한 것이다. 그들은 어린 연령의 학습자는 전형(원형)이 형성에 의해 개념을 학습하는 경향이 있고 성인은 가설설정 및 검증에 의한 분석적 방법을 사용하는 속성모형에 의한 학습 경향이 있다고 밝힘으로써 개념학습 연구에서 발달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Wiviott(1970)은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지리적인 그림을 유목화하는 실험을 통해 개념을 분류하는데 있어 속성을 이용하는 것이 학년의 증가와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다고 하여 초등학생의 경우 개념학습에서 속성을 강조한 수업이 상위인지발달과정에 있는 학습자에 비해 약함이 알려졌다. 또한 배원자(1989)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사회과의 추상적 개념을 주고 속성모형과 전형모형이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경우 속성모형보다는 전형모형이 더 효과적이라고 밝혀졌다.
즉, 어린 연령의 초등학교 학습자의 경우엔 개념의 속성에 각 속성을 분석하여 그 분석된 자료를 중심으로 개념을 정리하는 속성모형보다는 개념의 최적의 사례를 보고 개념을 형성하는 전형모형이 더 적합하지 않나 하는 의견이 많이 제기되지만 아직은 이를 명확히 뒷받침할 많은 연구물이 부족한 편이다. 그러나 여러 학자의 논의와 몇가지 근소한 실험들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사회과 개념학습에서 유용한 학습모형은 원형모형에 근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2)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주요 개념분석
1997년 제7차 교육과정과 함께 개편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사회과(4학년-5학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을 요약하면 다음 표 4, 5, 6과 같다.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에서는 지리 영역이 내용의 중심을 이루며, 그 내용에 기초하여 사회문화, 경제 등의 영역을 다루고 있어 대부분의 개념들이 구체적인 개념형태를 띠고 있으며, 교과서 내용제시에서도 다양한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5학년 교과서의 경우는 경제영역이나 역사영역이 중심이 되는데, 이 두 영역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수준인 경우가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4.02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